맨위로가기

분류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류군은 생물을 계통 분류할 때 사용되는 분류학적 단위이다. 1926년 아돌프 마이어-아비히가 동물 그룹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했으며, 1948년 헤르만 요하네스 람이 식물에 적용할 것을 제안했다. 분류군은 명명되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계통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유기체의 개체군 또는 개체군 집단을 의미한다. 분류학자의 관점에 따라 분류군 인정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계급은 도메인, 계, 문, 강, 목, 과, 속, 종 등으로 나뉜다. 분류군의 이름은 분류학자가 기재함으로써 유효하게 되며, 동물, 조류, 균류, 식물, 원핵생물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명명 규약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류군 - 자매군
    자매군은 계통 발생 나무에서 최근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 두 분류군을 지칭하며, 이는 공통 조상의 다른 모든 자손들과 함께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고, 분석 대상에 따라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 분류군 - 아과
  • 동물의 명명법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동물의 명명법 - 모식종
    모식종은 속의 기준이 되는 종으로, 분류군 분할 시 기존 분류군 이름을 자동으로 할당하며,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속명과 종을 영구히 연결하는 종의 분류 및 명명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 식물의 명명법 - 속 (생물학)
    속은 생물 분류의 기본 단위로, 유사한 종들을 묶은 분류군이며, 학명에서 속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고 이탤릭체로 표기되며, 모식종이 지정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고, 동물과 식물 간에 속명이 중복될 수 있으며, 종을 속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 식물의 명명법 - 모식종
    모식종은 속의 기준이 되는 종으로, 분류군 분할 시 기존 분류군 이름을 자동으로 할당하며,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라 속명과 종을 영구히 연결하는 종의 분류 및 명명에 필수적인 개념이다.
분류군
지도 정보
분류군
정의생물 분류에서, 생물을 분류하는 단위
다른 용어택슨
분류 단위
생물군
설명생물 개체군을 묶는 개념
종, 속, 과, 목, 강, 문, 계 등 다양한 계급 존재
계급을 꼭 따르지 않는 분류군도 존재 (예: 척추동물)
범위하위 분류군을 포함하는 포괄적 분류군 (예: 척추동물은 어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포함)
하위 분류군을 포함하지 않는 가장 작은 단위의 분류군 (예: 종)
명명법모든 분류군은 고유한 이름을 가짐
명명법은 국제 규약에 따름
분류 체계
계층 구조Linnaeus 분류 체계: 계, 문, 강, 목, 과, 속, 종
현대 분류 체계: 계, 문, 강, 목, 과, 속, 종 + 상위/하위 단계 추가
계급종(species)이 기본 단위
속(genus)은 종을 묶는 단위
과(family), 목(order), 강(class), 문(phylum), 계(kingdom) 순으로 상위 계급으로 분류
상위 및 하위 단계 추가 가능 (예: 아강, 상목)
계통 분류학분기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분류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관계를 반영
단일 계통군(monophyletic group)을 우선시
주요 분류군동물, 식물, 균류, 원생생물, 세균, 고세균 등의 계(domain) 수준 분류군
각 계는 문, 강, 목, 과, 속, 종 등 하위 단계로 분류
분류군 이름의 정의
명확한 정의 필요분류군의 이름을 사용할 때 정확한 정의 필수
정의 방법: 계통 발생적 정의 또는 명명법에 따른 정의
계통 발생적 정의분류군을 공통 조상을 기반으로 정의
분기군(clade) 단위로 정의
분류군 이름이 진화적 관계를 반영하도록 함
명명법적 정의분류군의 이름을 종이나 표본 등을 참조하여 정의
명명법적 정의에 의해 분류군의 내용이 명확해짐
다양한 분류군
전통적 분류군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분류군
계통 발생학적으로 단일 계통군이 아닐 수 있음
멸종 분류군화석 기록으로만 알려진 멸종된 분류군
멸종된 생물의 계통 발생적 관계를 규명
분류군의 중요성
생물 다양성 연구생물 종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
생물학 연구생물학 연구의 기초를 제공
보전 생물학멸종 위기종 보존 노력에 기여
진화 연구생물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필요
의학 연구질병 치료법 개발에 기여
참고 자료
관련 서적International Code of Phylogenetic Nomenclature (PhyloCode)
Prodromus historiae generalis plantarum
Elemens de botanique
관련 저널Taxon
관련 기사A Passion for Order
관련 논문Phylogeny as a Central Principle in Taxonomy: Phylogenetic Definitions of Taxon Names

2. 역사

'분류군'이라는 용어는 1926년 아돌프 마이어-아비히가 동물 그룹을 지칭하는 용어로 처음 사용했다. 이는 '분류학(taxonomy)이라는 단어에서 역어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분류학'이라는 단어는 1세기 전에 그리스어 구성 요소 τάξις(τάξις), 즉 "배열"이라는 뜻과 νόμος(νόμος), 즉 "방법"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에서 만들어졌다.[7][8] 식물의 경우, 1948년 헤르만 요하네스 람이 제안했고, 1950년에 열린 제7차 국제식물학회의에서 채택되었다.[9]

3. 정의

국제동물명명규약》(1999)에서는 분류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0]

:"명명되었든 명명되지 않았든 분류학적 단위: 즉, 일반적으로 계통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그러한 단위와 구별되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유기체의 개체군 또는 개체군 집단을 말한다. 분류군은 하위 계급의 모든 포함된 분류군과 개별 유기체를 포함한다. [...]"

예를 들어 “극피동물문”, “포유강”, “딱정벌레목”, “오이속”, “두꺼비속 아종” 등이 분류군에 해당한다.

어떤 생물 집합이 분류군이 되는지 여부는 분류학자의 관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분지분류학에서는 측계통군을 분류군으로 인정하지 않고, 단계통군만을 인정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분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충류에 속하는 종들의 집합”은 진화분류학이나 표형분류학의 입장에서는 분류군으로 인정되지만, 파충류의 계통 안에 조류가 포함되므로 단계통이 아니라 측계통이 되어, 분지분류학의 입장에서는 분류군이 되지 않는다.

4. 계급

분류군에는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이름이 부여될 때 분류 계급이 할당된다. 주요 생물 계급에는 도메인, 계, 문, 강, 목, 과, 속, 종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간 계급을 설정하기도 한다.

어떤 분류군을 묶을 때는 그 상위 계급 명 앞에 "상"이나 "초"를 붙이고, 하위로 세분할 경우에는 "하", "아"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의 추가 계급에는 상강, 아강 및 하강이 있다.

전통적으로 동물에는 '문'을, 식물, 균류 등에는 '강'을 사용한다. 분지학에서는 좁은 계급 집합의 사용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5. 학명 및 명명 규약

종과 속은 분류학적 절차상 그 존재가 인정되며, 학명을 정할 때의 규범은 병립하고 있다. 동물국제동물명명규약을 따른다. 조류, 균류와 식물은 국제조류·균류·식물명명규약을 따른다. 원핵생물은 국제세균명명규약을 따른다.[1]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Code of Phylogenetic Nomenclature (PhyloCode): A Phylogenetic Code of Biological Nomenclature https://www.routledg[...] CRC Press 2000
[2] 서적 Prodromus historiae generalis plantarum in quo familiae plantarum per tabulas disponuntur https://books.google[...] Pech 1689
[3] 서적 Elemens de botanique, ou Methode pour connoître les plantes. I. [Texte.] / . Par Mr Pitton Tournefort... [T. I-III] https://gallica.bnf.[...] L’Imprimerie Royale 1694
[4] 웹사이트 A Passion for Order http://ngm.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2013-04-27
[5] 학술지 Phylogeny as a Central Principle in Taxonomy: Phylogenetic Definitions of Taxon Names http://vertebrates.s[...]
[6] 서적 The Vertebrate Body W.B. Saunders
[7] 서적 Principes de paléontologie https://books.google[...] Dunod 2013-09-25
[8] 서적 Logik der Morphologie im Rahmen einer Logik der gesamten Biologie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9] 서적 Taxonomy of Angiosperms Tata McGraw Hill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de of Zoological Nomenclature. Glossary http://www.iczn.org/[...]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11] 서적 해양과학용어사전 아카데미서적
[12] 서적 생명 생물의 과학 교보문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