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샤우트캐스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우트캐스트는 1998년 Nullsoft에서 개발한 스트리밍 서버 및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이다. MP3, HE-AAC 등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형식을 지원하며, 윈앰프의 DSP 플러그인을 통해 방송 서버에 MP3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가능하게 한다. 1999년 AOL에 인수되었으며, 이후 라디오노미 그룹과 Azerion에 매각되었다. 샤우트캐스트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며, HTTP를 전송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FreeBSD, 리눅스, macOS, 윈도우 등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윈앰프, Amarok, iTunes 등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사용 가능하다. 샤우트캐스트 서버는 스테이션 디렉토리에 서버 정보를 게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디렉토리에서 방송국을 선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AOL - 엔가젯
    엔가젯은 2004년 피터 로하스가 설립한 기술 관련 웹사이트로, 가젯 정보, 팟캐스트 운영, 여러 언어 블로그 운영, 논란 등을 특징으로 한다.
  • AOL - ICQ
    ICQ는 1996년에 개발되어 텍스트 기반 메신저로 인기를 얻었으며, AOL과 Mail.Ru 그룹을 거쳐 2024년 6월 26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사운드 포지
    사운드 포지는 다중 채널 멀티트랙 레코딩을 지원하는 오디오 편집 소프트웨어로, 인공지능 기반 음성 활동 감지 기능, CD 마스터링 작업 활용을 위한 DDP 포맷 내보내기, 고해상도 오디오 및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그리고 DirectX 및 VST3 플러그인 확장 기능을 제공한다.
  •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프랩스
    프랩스는 게임 플레이 영상 캡처, 화면 캡처, 프레임 속도 표시 및 벤치마킹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로, 고품질 영상 녹화가 가능하지만 파일 크기가 크고, 업데이트 중단 및 고객 지원 부족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 윈앰프
    윈앰프는 플러그인과 스킨으로 기능 확장 및 인터페이스 변경이 가능한 윈도우용 미디어 플레이어로, MP3 파일 재생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라디오노미에 인수 후 부분적으로 오픈 소스화되었다.
  •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
    윈도우 미디어 인코더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오디오 및 비디오 인코딩 소프트웨어이며,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되었고, 이후 익스프레션 인코더로 대체되었다.
샤우트캐스트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2. 역사

샤우트캐스트(ShoutCast)는 1998년 널소프트에서 개발되었다.[13] 초기 버전(1.5.X)은 윈도에 내장된 프라운호퍼 MP3 코덱을 사용하여 56KB까지 방송을 제한했지만, 코덱을 설치하면 이 제한을 늘릴 수 있었다. 이후 1.8.X 버전에서는 LAME 인코더를 통해 MP3가 제공하는 모든 비트레이트를 지원하도록 개선되었다. 1.9.X 버전부터는 AAC PLUS V2 코덱을 지원하여 고품질 방송이 가능해졌다. 샤우트캐스트의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I Can Yell"(ICY)의 약자로 시작하는 메타데이터 태그와 응답을 사용한다. 1999년 6월 1일, Nullsoft는 AOL에 인수되었다.[14]

2014년 1월, AOL은 Nullsoft를 라디오노미 그룹에 매각했고, 2018년에 소프트웨어 브랜드명이 Shoutcast로 변경되었다. 2020년에는 Radionomy의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가 종료되고 Shoutcast 플랫폼으로 이전되었다. 2022년 12월에는 Azerion이 Radionomy로부터 Targetspot과 Shoutcast를 인수했다.[15]

2. 1. 개발 및 AOL 인수 (1998년 ~ 2014년)

1998년에 널소프트에서 샤우트캐스트를 개발했다.[13] 샤우트캐스트 스트리밍 프로토콜은 "I Can Yell"(ICY)의 약자로 시작하는 메타데이터 태그와 응답을 사용한다. 1999년 6월 1일, AOL이 널소프트를 8600만달러에 인수했다.[14]

ShoutCast Source DSP 1.5.X 버전에서는 윈도 내장 프라운호퍼 MP3 코덱으로 인해 방송 품질이 56KB로 제한되었으나, 별도 코덱 설치로 개선할 수 있었다. 1.8.X 버전에서는 LAME 인코더를 사용하여 MP3가 제공하는 모든 비트레이트를 지원하게 되었다. 1.9.X 버전부터는 AAC PLUS V2를 지원하여 더욱 고품질 방송이 가능해졌다.

2014년 1월 14일, AOL은 널소프트를 벨기에 온라인 라디오 통합업체인 라디오노미 그룹에 매각했다. 구체적인 매각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2. 2. 라디오노미 및 Azerion 인수 (2014년 ~ 현재)

AOL은 2014년 1월 14일에 Nullsoft를 벨기에의 온라인 라디오 통합업체인 라디오노미 그룹에 매각했다.[15] 재정적인 세부 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 2018년에는 소프트웨어 브랜드명이 SHOUTcast에서 Shoutcast로 변경되었다. 2020년, Radionomy는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를 종료하고 Shoutcast 플랫폼으로 이전했다. 2022년 12월 23일, Azerion이 Radionomy로부터 Targetspot과 Shoutcast를 인수했다.[15]

3. 기술적 특징

샤우트캐스트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며, 각 구성 요소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메타데이터(곡명, 방송국명 등)를 혼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한다.[9] 전송 프로토콜로는 HTTP를 사용한다.[9] 스트리밍 프로토콜에서 메타데이터 태그와 응답은 모두 "ICY"로 시작하는데, 이는 "I Can Yell"(나는 소리칠 수 있다)의 약자이다. Nullsoft가 프로토콜 명칭을 "I Can Yell"에서 샤우트캐스트로 변경했지만, ICY라는 접두사는 그대로 남아 있다.

샤우트캐스트는 MP3HE-AAC 형식 등의 디지털 오디오 콘텐츠를 미디어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로 방송할 수 있게 해준다. 방송을 위해서는 윈앰프 DSP 플러그인인 ShoutCast Source DSP를 이용해 방송 서버인 샤우트캐스트 서버에 MP3 데이터를 전송해야 한다. ShoutCast Source DSP는 버전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버전특징
1.5.X윈도 내장 프라운호퍼 MP3로 제한적 56KB까지 방송 가능 (코덱 설치 시 확장 가능)
1.8.XLAME 인코더를 사용하여 MP3가 제공하는 모든 KB 지원
1.9.XAAC PLUS V2 지원으로 고품질 방송 가능



개인 사용자는 별도의 샤우트캐스트 서버 프로그램을 받아서 실행시켜 해당 프로그램 포트로 전송해야 방송이 가능하다. 샤우트캐스트의 기본 포트는 8000번이며,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3. 1. 소프트웨어 지원

FreeBSD, 리눅스, macO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솔라리스에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OS, iOS (아이패드, 아이폰), 팜 OS, 웹OS (라디오 히비키),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윈도우 모바일, 심비안 S60, UIQ,[9] 닌텐도 DS (DSOrganize), Wii용 클라이언트 전용 버전도 있다.

Winamp를 비롯하여 Amarok, Exaile, foobar2000, 아이튠즈, Songbird, Totem, XMMS, Zinf 등 여러 클라이언트에서 출력 형식이 지원된다. 샤우트캐스트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를 위해 샤우트캐스트 서버는 메타데이터 없이 스트림을 전송하여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클라이언트에서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샤우트캐스트 서버는 일반적으로 .pls 또는 .m3u 확장자를 가진 재생 목록 파일을 통해 연결되며, 이 파일에는 샤우트캐스트 서버의 URL이 포함되어 있다.

4. 샤우트캐스트 디렉토리 및 웹사이트

샤우트캐스트 서버는 현재 청취자 수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게시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널소프트(Nullsoft)가 운영하는 샤우트캐스트 웹사이트의 방송국 디렉토리에 게시된다. 사이트 방문자는 디렉토리에서 방송국을 선택하고 재생 목록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샤우트캐스트를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로 청취할 수 있다.[12]

2008년 9월, 널소프트는 2000년경부터 거의 변경되지 않았던 샤우트캐스트 사이트 디자인을 변경했다. 이와 함께 디렉토리와 서비스 이름을 "샤우트캐스트 라디오(SHOUTcast Radio)"로 바꾸었다. 기존 레이아웃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5. 한국에서의 샤우트캐스트

샤우트캐스트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을 구축하고 청취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샤우트캐스트를 이용하면 실제 라디오 방송국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을 개설할 수 있어, 취미나 생업으로 방송국을 운영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6. 비판 및 논란

2010년, 비디오LAN은 VLC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샤우트캐스트 지원을 중단했다.[10] 이는 샤우트캐스트의 라이선스가 자유 소프트웨어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다른 소프트웨어에 통합하는 것을 금지하고, "스파이웨어 및 애드웨어 기반 샤우트캐스트 라디오 툴바를 브라우저 내부에 통합하도록 강요한다"는 조항 때문이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Icecast가 제시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DNAS 2.1.6 Build 777 Changelog https://yp.shoutcast[...] 2022-01-30
[2] 웹사이트 Can I stream video through SHOUTcast? {{!}} Internet Radio & Audio Streaming https://www.asuracas[...] 2017-11-15
[3] 웹사이트 Shoutcast - Pricing https://www.shoutcas[...] 2022-06-08
[4] 간행물 The Overwatch Videogame League Aims to Become the New NFL https://www.wired.co[...] 2017-12-07
[5] 웹사이트 Internet Radio -- Computers Help You Hear What Might Be Broadcasts | The Seattle Times https://archive.seat[...]
[6] 뉴스 AOL Sells Winamp And Shoutcast Music Services To Online Radio Aggregator Radionomy https://techcrunch.c[...] AOL 2014-01-01
[7] 웹사이트 Winamp lives on after acquisition by Radionomy https://www.theverge[...] 2014-01-14
[8] 웹사이트 Radionomy + SHOUTcast? http://www.broadcast[...] 2014-01-16
[9] 웹사이트 PlayStation®5 | Play Has No Limits https://www.playstat[...]
[10] 웹사이트 Press Release about Shoutcast Removal in VLC https://www.videolan[...] 2022-06-08
[11] 웹사이트 Differences between shoutcast and Icecast https://www.gossdhos[...]
[12] 웹사이트 Shoutcast https://directory.sh[...] 2022-06-08
[13] 뉴스 Internet Radio -- Computers Help You Hear What Might Be Broadcasts http://seattletimes.[...] The Seattle Times 1999-06-27
[14] 웹사이트 Nullsoft Founder to Leave AOL Subsidiary https://www.latimes.[...] 2024-10-18
[15] 문서 Azerion completes acquisition of Targetspot subsidiaries https://www.azerion.[...]
[16] 문서 Internet Radio | PSP (PlayStationPortable) http://www.playsta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