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샹피오나 나시오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 1993년 창설되었다. 1970년 프로와 아마추어의 경계를 허물고 2부 리그를 개편한 후 리그의 질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1993년 대규모 개혁을 통해 현재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18개 팀이 추춘제로 홈&어웨이 경기를 치르며, 상위 2팀은 리그 2로 자동 승격, 3위는 리그 2 16위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하위 4팀은 나시오날 2로 강등된다. 2024-25 시즌에는 18개 팀이 참가하며, 레드 스타 FC가 최다 우승(3회)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축구 리그 - 샹피오나 나시오날 2
    샹피오나 나시오날 2는 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이며, 1993년 디비지옹 3의 후신으로 출범하여 아마추어 클럽과 프로 구단 2군 팀이 참가하고, 2024-25 시즌부터 3개 그룹으로 운영되며, 각 그룹 우승팀은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승격한다.
  • 프랑스의 축구 리그 - 샹피오나 나시오날 3
    샹피오나 나시오날 3는 프랑스의 5부 축구 리그로, 1993년 나시오날 3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여 아마추어 축구 재편을 거쳐 2017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불리며, 2022년부터는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팀 수가 축소되고 프랑스 축구 연맹의 통제를 받고 있다.
  • 프랑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톱 14
    톱 14는 프랑스의 프로 럭비 유니온 리그로, 14개 클럽이 참가하여 매년 8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진행되며, 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리그 중 하나로, 스타드 툴루즈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프랑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리그 2
    리그 2는 1933년 출범한 프랑스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 1으로 승격하거나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며, 스폰서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유럽의 축구 3부 리그 - 3. 리가
    3. 리가는 독일 축구 협회의 관리를 받는 독일 3부 축구 리그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2. 분데스리가 승격을 목표로 경쟁하며 하위 팀은 레기오날리가로 강등된다.
  • 유럽의 축구 3부 리그 - EFL 리그 원
    EFL 리그 원은 잉글랜드 축구 리그 시스템의 3부 리그로, 상위 팀은 EFL 챔피언십으로 승격하고 하위 팀은 EFL 리그 투로 강등되며, 24개 팀이 참가하여 상위 팀은 자동 승격,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승격팀을 결정한다.
샹피오나 나시오날
기본 정보
샹피오나 나시오날 로고
샹피오나 나시오날 로고
국가프랑스
주최 기관FFF
창립 연도1993년
참가 팀 수17
리그 등급3
승격리그 2
강등프랑스 전국 선수권 2
국내 컵 대회쿠프 드 프랑스
대륙 컵 대회유로파리그 (컵 대회 우승팀 자격)
최근 우승팀레드 스타
최다 우승팀레드 스타 (3회)
현재 시즌2024-25 프랑스 전국 선수권
공식 웹사이트FFF 공식 웹사이트
이전 시즌2023-24
일반 정보
명칭샹피오나 나시오날
프랑스어 명칭Championnat de France de football de National
기타
혼동 방지シャンピオナ・フェデラル・ナシオナル
관련 항목샹피오나 나시오날(나시오날, N1)

2. 역사

1997년, 프랑스 전국 선수권 1은 현재의 명칭인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개칭되었다. 이와 동시에 1997-1998 시즌부터 2개 그룹 제도가 폐지되고 단일 리그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2. 1. 디비지옹 3 시절 (1993년 이전)

현재 샹피오나 나시오날의 전신은 1971년에 창설되어 1993년까지 존재했던 디비지옹 3(Division 3)이다. 이 리그는 기존에 존재하던 CFA[4]를 대체하면서 프로와 아마추어 리그 간의 승강제를 도입했다는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5][6] 이전에는 프로 구단은 디비지옹 1과 디비지옹 2 사이에서만, 아마추어 구단은 CFA와 그 이하 리그 사이에서만 승강이 가능했다.

이러한 변화는 1932년부터 프로와 아마추어 간의 구분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 전 프랑스 축구 협회 회장 페르낭 사스트르와 전 PSG 회장 앙리 파트렐의 노력의 결과였다.

하지만 당시 디비지옹 3는 지금처럼 전국 리그로 운영되지 않았다. 16개 팀으로 이루어진 6개 그룹, 총 96개 팀이 리그를 치렀다. 각 그룹 우승팀 6팀은 상위 리그인 디비지옹 2로 승격되었고, 하위 2~3개 팀(총 16개 팀)은 하부 리그인 디비지옹 4로 강등되었다.

2. 2. 나시오날 1의 탄생 (1993년-1997년)

1993년 프랑스 축구 리그는 대대적인 개혁을 맞이하게 된다. 이 시기에 현대 프랑스 리그의 전체적인 구조와 운영 방식이 거의 모두 구성되었다. 디비지옹 3는 이 개편 과정에서 사라지고, 그 자리를 지금의 샹피오나 나시오날이 대체하게 되었는데, 1993년 최초 창설 당시 샹피오나 나시오날의 명칭은 나시오날 1(National 1)이었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나시오날 1은 각 18팀으로 이루어진 2개 그룹, 총 36팀이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1]

1970년까지 프랑스 프로 축구는 2부 리그에서 재정 문제를 겪는 것 외에는 하부 리그로 강등되는 일이 없었고, 시즌을 최하위로 마쳐도 마찬가지였다. 프로와 아마추어는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그러나 1960년대에 프로 지위를 버리고 리그에서 탈락하는 클럽이 끊이지 않아, 아마추어 중 유력한 클럽에게 프로 자격을 부여하여 2부 리그 참가를 요청했다. 디종 FCO나 가젤레 아작시오처럼 아마추어리즘을 추구하는 클럽은 승격을 거부하기도 했다.

1970년에 프랑스 축구 연맹(FFF)과 프랑스 프로 축구 연합회(현재의 LFP)는 리그 편성에 착수한다. 프로와 아마추어의 벽은 철폐되었고, 2부 리그는 오픈화되어 프로, 세미 프로, 아마추어가 혼재하는 리그가 되었다. 그러나 이는 리그의 질을 저하시켜 프랑스 축구계의 걸림돌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1992년에 대규모 개혁을 단행했다. 1992-93 시즌까지 프로 20개 클럽으로 구성된 디비시옹 1, 프로와 아마가 혼재된 18개 클럽 2개 그룹으로 구성된 디비시옹 2, 아마추어와 프로 리저브팀의 16개 클럽 3개 그룹으로 구성된 디비시옹 3, 아마추어의 14개 클럽 8개 그룹으로 구성된 디비시옹 4로 나뉘어 있었다. 1993-94 시즌부터 디비시옹 2와 디비시옹 3 사이에 새롭게 '''프랑스 전국 선수권 1'''을 설립하고, 디비시옹 2의 각 그룹 12위 이하의 14개 클럽을 디비시옹 3으로 강등시키는 대신 전적시켰다.

이에 디비시옹 3의 각 그룹 상위 클럽 중 참가 의사를 표명한 22개 클럽을 더한 36개 클럽이 첫 해(1993-94)의 프랑스 전국 선수권 1 참가 멤버가 되어 18개 클럽씩 2개 그룹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리그 시스템은 구 디비시옹 2를 참고했기 때문에 각 그룹 상위 2개 클럽이 디비시옹 2로 승격, 하위 3개 클럽이 4부 리그로 강등되는 형식을 따르게 되었다.[1]

2. 3. ASOA 발랑스의 승격 무산 사태 (1997년-2013년)

2005년,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ASOA 발랑스의 리그 2 승격 무산 사건으로 주목받았다. ASOA 발랑스는 전 시즌 리그 2에서 강등되어 샹피오나 나시오날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2004-2005 샹피오나 나시오날에서 2위를 기록하여 자동 승격권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DNCG[7]는 1300000EUR의 재정적 잔고 부족을 이유로 승격을 불허했다. 이로 인해 ASOA 발랑스는 디비지옹 도뇌흐[8]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다.

1997-1998 시즌부터 2012-2013 시즌까지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20개 팀으로 이루어진 1개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2010-2011 시즌에는 DNCG와 RC 스트라스부르 간의 권리 회복 신청 절차[9]가 길어짐에 따라 21개 팀으로 리그를 운영하기도 했다.

이 기간부터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너무 많은 클럽 수 때문에 하부 리그와의 팀 순환이 느려질 것을 우려하여, 강등 팀 수 및 CFA[10]로부터의 승격 팀 수를 모두 늘렸다.

2. 4. 18팀 구성의 정착 (2013년-현재)

2011년, 프랑스 축구 협회(FFF)는 샹피오나 나시오날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FFF는 샹피오나 나시오날이 더 매력적이고, 리그의 수준과 질 또한 높아질 것이라고 선언했다. 그들이 가장 먼저 꺼낸 개혁안은 리그 참가 팀 수를 기존보다 2팀 줄인 18팀으로 운영한다는 것이었다.

2012-2013 샹피오나 나시오날에서는 18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상위 3팀은 자동 승격, 하위 3팀은 자동 강등되어 6팀이 감소하고 14팀이 남았다. 그리고 하위 3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잔류 또는 강등을 결정할 계획이었다. 또한 리그 2로부터의 강등팀 없이, CFA 그룹별 우승팀 4팀을 포함하여 18팀을 만들 예정이었다.

그러나 그해 5위를 기록한 FC 루엉이 DNCG의 재정 감사에서 낙제점을 받아 행정적 강등 처리되면서 한 팀이 부족하게 되었다. 결국 리그 2에서 최하위(20위)를 기록한 가젤렉 아작시오가 예정에 없던 강등을 당하며 샹피오나 나시오날의 마지막 한 자리를 채우게 되었다.

2012/2013 시즌부터 비 프로 클럽 선수들은 Contrat Fédéral[11]의 개정에 따라 1835.5유로의 연봉을 받으며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되었다.

3. 대회 진행 방식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추춘제로 진행되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 내 다른 모든 팀들과 홈과 원정에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총 34경기를 치른다.[3] 시즌 종료 후 상위 2개 팀은 리그 2로 자동 승격되며, 3위 팀은 리그 2의 18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하위 4개 팀은 나시오날 2로 자동 강등된다.[3]

매 시즌마다 리그 2 하위 2팀과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팀이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 또는 잔류하고, 나시오날 2의 4개 그룹 우승팀 4팀이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승격한다.[3]

리그 2에서 강등된 클럽은 재정 문제 등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2년간만 프로 자격이 인정된다.[3] 따라서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프로와 아마추어 팀이 혼재하는 리그이다. 2년 안에 4부 리그인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 강등될 경우, 프로 팀 자격이 박탈된다.[3]

3. 1. 일반적인 진행 방식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추춘제로 진행되며, 총 18개 팀이 참가한다. 각 팀은 리그 내 다른 모든 팀들과 홈 경기와 원정 경기를 두 번씩 치러 총 34경기를 소화한다.

경기 결과에 따라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을 획득한다. 시즌 종료 후, 팀 순위는 다음 순서대로 결정된다.[3]

순위기준
1총 승점
2승자승 승점
3골득실차
4득점



승점이 같은 팀이 나올 경우, 골득실차와 득점을 비교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그럼에도 순위가 같으면, 해당 팀들은 같은 순위로 간주한다. 단, 우승팀 결정이나 강등팀 결정과 같이 중요한 순위 결정에 동률이 발생하면 중립 구장에서 플레이오프 경기를 치러 최종 순위를 가린다.

시즌 종료 후 상위 2개 팀은 리그 2로 자동 승격되며, 3위 팀은 리그 2 18위 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하위 4개 팀은 나시오날 2로 자동 강등된다.[3]

매 시즌 리그 2에서 하위 2팀과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팀이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거나 잔류하고, 나시오날 2의 4개 그룹 우승팀 4팀이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승격하여 리그 팀 구성이 변경된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2 클럽 수가 18개로 줄어들면서, 샹피오나 나시오날 상위 2개 팀만 자동 승격되고 리그 2 18위 팀과의 승강 플레이오프는 진행되지 않았다.[2] 2024-25 시즌에는 지롱댕 드 보르도가 재정 문제로 프랑스 전국 선수권 2로 추가 강등 처분을 받으면서, 17개 팀으로 리그가 진행될 예정이다.[2]

3. 2. 승강 플레이오프

리그 2의 16위 클럽과 샹피오나 나시오날 3위 클럽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다음 시즌 소속 리그를 결정한다. 승자는 리그 2에서, 패자는 샹피오나 나시오날에서 다음 시즌을 치르게 된다.[2] 2023-24 시즌에는 리그 2 클럽 수가 18개로 줄어듦에 따라 상위 2팀만 자동 승격되고, 리그 2 18위 팀과 샹피오나 나시오날 3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는 진행되지 않았다.

3. 3. 참가 팀 수 변경

프랑스 축구 협회(FFF)는 2011년에 샹피오나 나시오날을 더 매력적이고 수준 높은 리그로 만들기 위한 개혁을 추진하면서, 리그 참가 팀 수를 기존 20팀에서 18팀으로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했다.[3]

2012-2013 시즌에는 이 계획에 따라 상위 3팀이 리그 2로 자동 승격하고 하위 3팀이 자동 강등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해당 시즌 5위를 기록한 FC 루앙이 재정 문제로 강등되면서, 리그 2에서 최하위(20위)였던 가젤렉 아작시오가 추가로 강등되어 샹피오나 나시오날에 합류했다. 같은 시즌부터 비 프로 클럽 선수들은 Contrat Fédéral[11] 개정에 따라 1835.5유로의 연봉을 받게 되어 생활 여건이 개선되었다.

2013-14 시즌부터는 유럽 경제의 혼란 속에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클럽들이 늘어남에 따라 리그 규모 축소 조치의 일환으로 참가 팀 수가 18개로 줄었다.[2] 2012-13 시즌에는 하위 6개 팀이 자동 강등될 예정이었으나, FC 루앙, 르 망 FC, CS 스당이 재정 문제로 하위 리그로 강등되면서 실제로는 하위 3개 팀만 자동 강등되었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2 클럽 수가 18개로 줄어들면서 상위 2개 팀만 자동 승격되었고, 리그 2 18위 팀과 샹피오나 나시오날 3위 팀 간의 승강 플레이오프는 진행되지 않았다. 2024-25 시즌에는 지롱댕 드 보르도가 재정 문제로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 추가 강등되면서, 17개 팀으로 리그가 진행될 예정이다.[2] 이에 따라 샹피오나 나시오날 2로의 강등 팀 수는 3팀에서 2팀으로 감소했다.

4. 2024-25 시즌 참가 클럽

2024-25 시즌 샹피오나 나시오날에는 리그 2에서 강등된 3개 팀, 나시오날 2에서 승격된 4개 팀을 포함하여 총 18개 팀이 참가한다.

4. 1. 클럽 목록

메트로폴 ▼르 프티
퀘빌리스타드 로베르 디오숑8,372US 콩카르노 ▼콩카르노스타드 기 피리우2,539발랑시엔 FC발랑시엔스타드 뒤 에노25,000디종디종스타드 가스통 제라르15,459르망르망스타드 마리 마르방25,064AS 낭시 로렌낭시스타드 마르셀 피코20,087FC 루앙 1899루앙스타드 로베르 디오숑8,372FC 소쇼
몽벨리아르몽벨리아르스타드 오귀스트 보나르20,005FC 베르사유 78베르사유스타드 장
부앵19,904오를레앙오를레앙스타드 드 라 소르스6,863스타드 데 안토냉8,033샤토루샤토루스타드 가스통 프티14,500FC 빌프랑슈
보조레빌프랑슈 쉬르 손스타드 아르망 쇼페3,500오바뉴 △오바뉴스타드 드 라트르 드 타시니3,000파리
아틀레티코 △파리스타드 펠레995US 불로뉴 코트 도팔 △불로뉴
쉬르 메르스타드 드 라 리베라시옹9,534부르-페로나 △페로나스타드 마르셀 베르셰르8,840



;2024-25 시즌

전 시즌 최종 순위 순. ▼는 리그 2에서 강등된 클럽, △는 프랑스 전국 선수권 2에서 승격된 클럽.

4. 2. 클럽 위치 지도

wikitext

클럽연고지경기장수용 인원
US 퀘빌리 루앙 메트로폴르 프티 퀘빌리스타드 로베르 디오숑8,372
US 콩카르노콩카르노스타드 기 피리우2,539
발랑시엔 FC발랑시엔스타드 뒤 에노25,000
디종FCO디종스타드 가스통 제라르15,459
르망 FC르망스타드 마리 마르방25,064
AS 낭시 로렌낭시스타드 마르셀 피코20,087
FC 루앙 1899루앙스타드 로베르 디오숑8,372
FC 소쇼 몽벨리아르몽벨리아르스타드 오귀스트 보나르20,005
FC 베르사유 78베르사유스타드 장 부앵19,904
US 오를레앙 로레오를레앙스타드 드 라 소르스6,863
님 올랭피크스타드 데 안토냉8,033
LB 샤토루샤토루스타드 가스통 프티14,500
FC 빌프랑슈 보조레빌프랑슈 쉬르 손스타드 아르망 쇼페3,500
오바뉴 FC오바뉴스타드 드 라트르 드 타시니3,000
파리 13 아틀레티코파리스타드 펠레995
US 불로뉴 코트 도팔불로뉴 쉬르 메르스타드 드 라 리베라시옹9,534
풋볼 부르캉브레스 페로 01페로나스타드 마르셀 베르셰르8,840


5. 각종 기록

샹피오나 나시오날은 프랑스 축구 리그 시스템에서 3부 리그 역할을 하는 중요한 리그이다.

역대 샹피오나 나시오날 시즌별 우승팀과 승격팀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시즌A조 우승팀B조 우승팀기타 승격팀
1993–94갱강샤토루아미앵 및 페르피냥 FC
1994–95로리앙SAS 에피날스타드 푸아티뱅 및 CS 루앙-퀴조
1995–96스타드 브리오신툴롱트로예 AC 협회 및 AS 보베 우아즈
1996–97ES 와스칼
시즌챔피언준우승3위
1997–98아작시오CS 세당 아르덴US 크레테유-루지타노 (승격 실패)
1998–99CS 루앙-퀴조US 크레테유-루지타노가젤레 아작시오 (승격 실패)
1999–2000AS 보베 우아즈FC 마르티그앙제 SCO
2000–01그르노블아미앵FC 이스트르
2001–02클레르몽랭스ASOA 발랑스 및 툴루즈 FC (이 시즌에는 4개 클럽이 승격)
2002–03베상송 라싱 클럽앙제 SCOFC 루앙
2003–04랭스브레스트디종 FCO
2004–05발랑시엔ASOA 발랑스 (재정 문제로 승격 실패)FC 세트 34
2005–06샤모아 니오르테투르 FCFC 리부른-생-세랭
2006–07클레르몽 (2)US 불로뉴앙제 SCO
2007–08반 OC투르 FC
2008–09FC 이스트르라발AC 아를
2009–10에비앙 토농 가야르랭스ES 트루아 AC
2010–11바스티아아미앵갱강
2011–12 (2)샤모아 니오르테가젤레 아작시오
2012–13US 크레테유-루지타노메스CA 바스티아
2013–14오를레앙US 뤼즈낭가젤레 아작시오
2014–15레드 스타파리 FCFC 부르-페로
2015–16스트라스부르오를레앙아미앵
2016–17샤토루퀘빌리파리 FC (승격 플레이오프)
2017–18레드 스타 (2)베지에그르노블
2018–19로데샹블리르 망
2019–20 (시즌 조기 종료로 챔피언십 미수여)USL 덩케르크US 불로뉴
2020–21바스티아 (2)퀘빌리-루앙빌프랑슈
2021–22라발아네시빌프랑슈
2022–23콩카르노덩케르크레드 스타
2023–24레드 스타 (3)마르티그샤모아 니오르테 (승격 실패)
2024–25TBDTBDTBD



이 외에도 다양한 기록들이 존재한다.

5. 1. 숫자로 보는 기록

기록 종류내용구단(해당 시즌)
한 시즌 최다 승점91점SC 바스티아 (2011년)
한 시즌 최다 승리27승SC 바스티아 (2011년)
한 시즌 최소 승점10점AC 아를 (1994년)
한 시즌 단일리그 최소 승점15점SAS 에피날 (2015년)
한 시즌 최다 패배30패FC 규뇽 (2011년)
한 시즌 최다 득점31골그레고리 틸 (US 불론뉴, 2007-2008 시즌)


6. 역대 우승 클럽

시즌챔피언준우승기타 승격팀
1993–94갱강샤토루아미앵, 페르피냥 FC
1994–95로리앙SAS 에피날스타드 푸아티뱅, CS 루앙-퀴조
1995–96스타드 브리오신툴롱트로예 AC 협회, AS 보베 우아즈
1996–97ES 와스칼
1997–98아작시오CS 세당 아르덴US 크레테유-루지타노 (승격 실패)
1998–99CS 루앙-퀴조US 크레테유-루지타노가젤레 아작시오 (승격 실패)
1999–2000AS 보베 우아즈FC 마르티그앙제 SCO
2000–01그르노블아미앵FC 이스트르
2001–02클레르몽랭스ASOA 발랑스, 툴루즈 FC
2002–03베상송 라싱 클럽앙제 SCOFC 루앙
2003–04랭스브레스트디종 FCO
2004–05발랑시엔ASOA 발랑스 (재정 문제로 승격 실패)FC 세트 34
2005–06샤모아 니오르테투르 FCFC 리부른-생-세랭
2006–07클레르몽 (2)US 불로뉴앙제 SCO
2007–08반 OC투르 FC
2008–09FC 이스트르라발AC 아를
2009–10에비앙 토농 가야르랭스ES 트루아 AC
2010–11바스티아아미앵갱강
2011–12 (2)샤모아 니오르테가젤레 아작시오
2012–13US 크레테유-루지타노메스CA 바스티아
2013–14오를레앙US 뤼즈낭가젤레 아작시오
2014–15레드 스타파리 FCFC 부르-페로
2015–16스트라스부르오를레앙아미앵
2016–17샤토루퀘빌리파리 FC (승격 플레이오프)
2017–18레드 스타 (2)베지에그르노블
2018–19로데샹블리르 망
2019–20 (시즌 조기 종료로 챔피언십 미수여[1])USL 덩케르크US 불로뉴
2020–21바스티아 (2)퀘빌리-루앙빌프랑슈
2021–22라발아네시빌프랑슈
2022–23콩카르노덩케르크레드 스타
2023–24레드 스타 (3)마르티그샤모아 니오르테 (승격 실패)
2024–25TBDTBDTBD


참조

[1] 웹사이트 FFF : Pas de titre en National, les Lyonnaises championnes http://www.foot-nati[...] foot-national.com 2020-05-11
[2] 웹사이트 Football. National : le repêchage s’éloigne pour le GOAL FC, recalé par le CNOSF https://www.leprogre[...] www.leprogres.fr 2024-08-12
[3] 문서 A(동남부), B(남서부 및 중부), C(북서부), D(북동부)
[4] 문서 Championnat de France amateur de football, 현재 존재하는 [[나시오날 2]]의 선조격
[5] 문서 현재의 [[리그 1]]
[6] 문서 현재의 [[리그 2]]
[7] 문서 Direction nationale du contrôle de gestion, 프랑스 프로 축구팀들의 재정을 감독하는 LFP 산하 기관
[8] 문서 Division d'Honneur, 현재의 [[레지오날 1]]격(Ligue régionale de football), 당시로선 5부 리그이다
[9] 문서 RC 스트라스부르는 재정적인 이유로 CFA(현재의 [[나시오날 2]])로 강등당할 위기에 놓여있었다.
[10] 문서 현재의 [[나시오날 2]]
[11] 문서 샹피오나 나시오날, [[나시오날 2]], [[나시오날 3]]와 [[레지오날 1]]의 비 프로 선수들의 급료에 대한 규정
[12] 문서 3부→[[리그 2|2부]]→[[리그 1|1부]] 승격을 도중에 한번의 지체도 없이 해낸 팀
[13] 문서 [[리그 1]] 참가팀이 18팀에서 20팀으로 늘어난 시즌이라 예외적으로 4위도 승격한 케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