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그 1은 프랑스 최상위 남자 프로 축구 리그로, 1932년에 출범했다. 18개 팀이 참가하며, 8월부터 5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34경기를 치른다.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하며, 상위 팀들은 UEFA 챔피언스리그, 유로파리그, 컨퍼런스리그 진출권을 얻는다. 리그 1은 1930년 프로 축구 도입 결정 이후, 2024-25 시즌까지 총 74개 구단이 참가했으며, 파리 생제르맹이 최다 우승 기록(12회)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그 1 - 프랑스 프로축구연맹
프랑스 프로축구연맹(LFP)은 프랑스 프로 축구 리그를 조직, 관리, 규제하는 기관으로 리그 1과 리그 2를 운영하고 클럽 재정 운영을 감시하며 프랑스 축구 이익을 옹호하고 컵 대회를 조직한다. - 프랑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톱 14
톱 14는 프랑스의 프로 럭비 유니온 리그로, 14개 클럽이 참가하여 매년 8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진행되며, 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리그 중 하나로, 스타드 툴루즈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프랑스의 프로 스포츠 리그 - 리그 2
리그 2는 1933년 출범한 프랑스 프로 축구 2부 리그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리그 1으로 승격하거나 샹피오나 나시오날로 강등되며, 스폰서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리그 1 | |
---|---|
기본 정보 | |
![]() | |
주최 기관 | LFP |
국가 | (17개 팀) |
기타 참여 국가 | (1개 팀) |
연맹 | UEFA |
창립 | (공식)| (리그 1 명칭)}} |
참가 팀 수 | 18 (2023-24 시즌부터) |
강등 리그 | 리그 2 |
리그 등급 | 1 |
유럽 클럽 대항전 | |
최다 출전 선수 | 미카엘 랑드로 (618경기) |
최다 득점 선수 | 델리오 오니스 (299득점) |
시즌 | 2023-24 |
현재 시즌 | 리그 1 2024-25 |
웹사이트 | ligue1.com |
명칭 | |
프랑스어 | Ligue 1 McDonald's |
로마자 표기 | Ligue 1 McDonald's (리게 앙 맥도날드) |
미디어 | |
TV 중계 | 중계 방송사 목록 |
클럽 | |
참가 클럽 | 참가 클럽 목록 |
2. 역사
프랑스의 리그 1은 잉글랜드의 프리미어리그, 스페인의 라리가, 이탈리아의 세리에 A, 독일의 분데스리가와 함께 유럽 5대 프로 축구 리그 중 하나이다.[36] UEFA 랭킹에서 1위를 차지한 적은 없지만, 이들 4개 리그 다음 순위를 꾸준히 유지하며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국제 대회에서는 AS 모나코가 2003-04 시즌 UEFA 챔피언스리그 준우승,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가 같은 시즌 UEFA컵 준우승을 차지했고, 올랭피크 리옹은 2003-04 시즌부터 3시즌 연속 챔피언스리그 8강에 진출하는 등 특정 팀들이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리그 전체적으로는 꾸준히 상위권에 진출하는 팀이 부족했다.
2000년대 이후 리옹이 리그를 지배하던 시기가 있었지만, 자금력을 갖춘 빅 클럽들이 기대만큼의 성적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0-11 시즌 AS 모나코의 강등, 2011-12 시즌 몽펠리에 HSC의 우승 등 예측 불가능한 혼전 양상이 이어졌다. 이후 2012-13 시즌부터 파리 생제르맹 FC가 4연패를 달성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리그 1에는 프랑스와 브라질 등 여러 국가 대표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아프리카계 흑인 선수들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마이클 에시엔(올랭피크 리옹), 디디에 드로그바(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호나우지뉴(파리 생제르맹 FC), 에덴 아자르(LOSC 릴) 등 많은 유망주들이 리그 1을 거쳐 다른 리그 강팀으로 이적하면서, 한때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함께 유망주 등용문 리그로 여겨지기도 했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파리 생제르맹의 부상과 함께 각국 대표 선수들의 리그 1 진출이 늘면서 이러한 이미지는 점차 사라지고 있다.
2021년 6월 3일 프랑스 프로 축구 리그(LFP) 총회에서 2023-24 시즌부터 리그 1 참가팀을 18개 팀으로 줄이기로 결정했다.[37] 2022-23 시즌에는 4개 팀이 자동 강등되고, 리그 2에서는 2개 팀만 승격한다. 현재 리그 1은 1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순위를 결정하며, 시즌 종료 후 하위 2개 팀은 리그 2로 자동 강등, 리그 2 상위 2개 팀은 리그 1으로 승격한다. 리그 1 16위 팀과 리그 2 3위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잔류 또는 승격을 결정한다.
2. 1. 출범 (1930-1932)
프랑스 축구는 1930년 7월, 프랑스 축구 연맹 전국 회의에서 128 대 20으로 프로화를 결정하면서 전환기를 맞았다. 조르주 베루, 에마뉘엘 강바르데야, 가브리엘 아노가 프랑스 프로 축구 출범을 주도했고, 1932년에 프로 축구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1]프로 축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연맹은 리그 참가 구단 수를 20개로 제한하고 다음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1]
조건 | 내용 |
---|---|
1 | 과거의 준수한 성적 |
2 | 수지타산 |
3 | 최소 8명의 프로 선수 영입 |
스트라스부르, 루베, 아미앵, 스타드 프랑세 등은 조건에 반발했고, 렌은 파산 우려, 릴은 이해충돌로 프로 구단 전환을 꺼렸다. 특히 앙리 조리 릴 회장은 리그 폐지를 우려해 기존 리그를 2부 리그로 편입할 것을 제안했다.[1]
결국 북부의 여러 구단을 설득하여 프로 지위를 획득하도록 했다. 스트라스부르, 루베, 아미앵은 참가를 거부했지만, 뮐루즈, 엑셀시오르 루베, 메스, 피베는 프로 구단 전향을 수락했다. 마르세유, 이에르, 몽펠리에, 님, 칸, 앙티브, 니스는 프로 전향을 적극 지지하며 이의 없이 프로 구단으로 전환했다.[1]
2. 2. 정착 (1932-현재)
프로 전용 리그 출범 원년의 리그명은 '''나시오날'''(National, ''전국 리그'')이었고, 1932-33 시즌에 진행되었다. ''나시오날'' 원년 리그 참가 20개 구단은 앙티브, CA 파리, 칸, 클럽 프랑세, 엑셀시오르 AC 루베, 피브, 이에르, 마르세유, 메츠, 뮐루즈, 니스, 님, 알레, 릴, 라싱 클럽 드 프랑스, 레드 스타 올랭피크, 렌, 소쇼, 세트 및 몽펠리에였다.20개 구단은 10개 구단씩 2개 조로 나뉘어 리그를 치렀고, 각 조 최하위 3개 구단은 디비시옹 2로 강등되었다. 각 조 상위 2개 구단은 중립 구장에서 ''결선''을 펼쳤는데, 이후 이브 뒤 마누아르에서 진행되었다. 첫 결선 경기는 1933년 5월 14일에 A조 1위인 릴루아와 B조 2위인 칸의 경기였다. B조 1위 앙티브는 결선에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프랑스 축구 연맹이 심판 매수 의혹으로 퇴출시켰다. 초대 결선에서 릴루아는 4-3 승리를 거두고 초대 우승 구단으로 이름을 올렸다. 시즌 종료 후, 리그 사무국은 14개 구단으로 1933-34 시즌을 진행하고, 2부 리그 승격 구단을 합류시키지 않기로 결정했다. 1934-35 시즌에 리그는 정식 승강제를 도입했고, 참가 구단 수도 16개로 늘어났다. 16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 체제는 1938-39 시즌까지 이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프랑스 정부와 (LFP)은 축구를 중단했지만, 소속 회원 구단들은 지역 리그에서 계속 축구를 했다. 소위 "난중 대회"에서 비시 정권에 프로 리그가 폐지되고, 리그가 '''존 쉬'''(Zone Sud, ''남부 권역 대회'')와 '''존 노르'''(Zone Nord, ''북부 권역 대회'')로 쪼개졌다. (LFP)과 (FFF)는 당시 기록을 인정하지 않았고,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기록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종전 및 프랑스 해방에 따라 프랑스의 프로 축구가 재개되었다. 1부 리그 참가 구단 수는 18개로 증가했다. 이 수는 1965-66 시즌까지 유지되었는데, 이후 참가 구단 수가 20개로 늘어났다. 2002년, 리그 공식 명칭은 '''디비시옹 1'''(Division 1, ''1부 리그'')에서 '''리그 1'''(Ligue 1, ''제1 리그'')로 개칭했다.
3. 대회 형식
리그 1은 유럽 5대 프로 축구 리그 중 하나로, 잉글랜드의 프리미어리그, 스페인의 라리가, 이탈리아의 세리에 A, 독일의 분데스리가와 함께 높은 수준의 리그로 평가받는다.[36] 2016-17 시즌의 평균 관중 동원 수는 20,499명으로, 유럽 리그 중 5위를 기록했다.[43]
리그 1의 참가 구단 수는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기간 | 구단 수 |
---|---|
1932–1933 | 20개 |
1933–1934 | 14개 |
1934–1939 | 16개 |
1945–1946 | 18개 |
1946–1947 | 20개 |
1947–1958 | 18개 |
1958–1963 | 20개 |
1963–1965 | 18개 |
1965–1968 | 20개 |
1968–1970 | 18개 |
1970–1997 | 20개 |
1997–2002 | 18개 |
2002–2023 | 20개 |
2023–현재 | 18개 |
3. 1. 리그 진행 방식
리그 1은 18개 구단이 참가한다. 대체로 8월부터 5월까지 시즌이 진행되며, 각 구단은 다른 구단과 두 번씩(안방 한 번, 상대 안방 한 번) 맞붙어 총 34경기를 치른다. 예외적으로 2007년과 2008년에 릴이 리옹과의 안방 경기를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치른 적도 있다.[47] 구단은 승리하면 승점 3점, 무승부면 1점을 얻고, 패배하면 승점을 얻지 못한다. 순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결정된다. 시즌 종료 후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구단이 우승한다. 승점이 같으면 골득실과 다득점으로 우승 구단을 결정한다. 이 조건들로도 순위가 같으면 동일 순위로 간주한다. 우승, 강등, 주요 대회 진출 구단이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이면 중립 구장에서 경기를 치러 순위를 결정한다.2015-16 시즌에는 강등 구단이 2개로 줄고 리그 2에서 상위 2개 구단만 승격하기로 했으나, 이 결정은 번복되어 기존의 3개 구단 강등, 3개 구단 승격으로 환원되었다.[47] 2016-17 시즌부터 리그 1의 18위 구단과 리그 2의 3위 구단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리그 2 구단이 1차전을 안방에서 치렀다.[48]
과거 리그 승강 방식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5년까지는 최하위 2개 구단이 강등되고, 리그 1 뒤에서 3번째 구단과 리그 2 3위 구단이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이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독일 분데스리가와 같았다. 리그는 1973년부터 1976년까지 3골 이상 득점하면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승점 1점을 추가하는 "보너스" 규정을 실험하기도 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2006-07 시즌부터는 공격 축구를 장려하기 위해 '공격 축구 순위표'를 도입하여 리그 1과 리그 2에서 다득점 경기를 한 구단에게 금전적 지원을 했다.
2021년 6월, 프랑스 프로축구연맹은 2023-24 시즌부터 리그 1 참가 구단을 18개로 줄이기 위해 2022-23 시즌에 4개 구단을 강등시키고 리그 2에서 2개 구단만 승격시키기로 결정했다.[46]
3. 2. 순위 결정 방식
리그 1은 18개 구단이 참가하여 8월부터 5월까지 시즌을 진행한다. 각 구단은 홈과 원정에서 두 번씩 경기를 치러 총 34경기를 소화한다. 예외적으로 릴이 리옹과의 홈경기를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치른 경우도 있었다.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으며, 패배 시에는 승점을 얻지 못한다. 순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결정된다. 시즌 종료 후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구단이 우승하며, 승점이 같을 경우 골득실과 다득점으로 우승 구단을 결정한다. 우승, 강등, 주요 대회 진출에 있어 동률일 경우 중립 구장에서 경기를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47]2015-16 시즌에는 강등 구단 수를 2개로 줄이고 리그 2에서 2개 구단만 승격시키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나, 이 결정은 번복되어 기존의 3개 구단 강등, 3개 구단 승격 규정으로 환원되었다.[7] 2016-17 시즌부터는 리그 1의 18위 구단과 리그 2의 3위 구단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강 여부를 결정했다. 리그 2 구단이 1차전을 홈에서 치렀다.[48]
과거 리그는 다양한 승강 방식을 시도했다. 1995년 이전에는 최하위 2개 구단이 강등되고, 리그 1 하위 3위 구단과 리그 2 플레이오프 우승 구단이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이는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독일 분데스리가와 유사했다. 또한 1973년부터 1976년까지는 공격 축구를 장려하기 위해 3골 이상 득점한 팀에게 승점 1점을 추가하는 '보너스' 규정을 시행하기도 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2006-07 시즌부터는 다득점 경기를 장려하기 위해 '공격 축구 순위표'를 도입하여 가장 많은 골을 넣은 팀에게 금전적 보상을 제공했다.
2021년 6월, 프랑스 프로축구연맹은 2023-24 시즌부터 리그 1 참가 구단 수를 18개로 줄이기 위해 2022-23 시즌에 4개 구단을 강등시키고 리그 2에서 2개 구단만 승격시키는 방안을 압도적인 찬성표로 통과시켰다.[46]
3. 3. 승강제
리그 1은 18개 구단이 참가한다. 시즌은 대체로 8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며, 각 구단은 다른 구단과 두 번씩(홈과 원정) 총 34경기를 치른다. 릴이 리옹과의 홈경기를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치른 것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다. 구단은 승리 시 승점 3점, 무승부 시 1점을 얻고, 패배 시에는 승점을 얻지 못한다. 순위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 순으로 결정된다. 시즌 종료 후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구단이 우승하며, 승점이 같을 경우 골득실과 다득점으로 우승 구단을 결정한다. 우승, 강등, 기타 대회 진출에 있어 동률일 경우 중립 구장에서 경기를 통해 순위를 결정한다.2015-16 시즌에는 강등 구단 수가 2개로 줄고 리그 2에서 2개 구단이 승격되었으나,[47] 이 결정은 번복되어 3개 구단 강등, 3개 구단 승격으로 환원되었다.[47] 2016-17 시즌부터 리그 1의 18위와 리그 2의 3위 구단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리그 2 구단이 1차전을 홈에서 치렀다.[48]
1995년까지 리그 최하위 2개 구단은 자동 강등되고, 뒤에서 3번째 구단과 2부 리그 3위 구단이 플레이오프를 치르는 방식은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와 독일 분데스리가와 동일했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는 3골 이상 득점 시 승점 1점을 추가하는 '보너스' 규정을 실험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 2006-07 시즌부터는 공격 축구를 장려하기 위해 '공격 축구 순위표'를 도입하여 다득점 구단에 금전적 지원을 했지만, 공식 리그 순위표와는 별개였다.
2021년 6월, 프랑스 프로축구연맹은 2023-24 시즌부터 리그 1 참가 구단 수를 18개로 줄이기 위해 2022-23 시즌에 4개 구단을 강등시키고 리그 2에서 2개 구단을 승격시키기로 결정했다.[46]
3. 4. 공격 축구 장려 정책 (1973-1976, 2006-2007)
리그는 "보너스" 규정을 실험하기도 했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 3골 이상 득점할 경우 경기 결과와 무관하게 승점 1점을 추가하는 규정을 도입해 공격 축구를 독려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실험은 소득 없이 끝났다.[47] 2006-07 시즌부터는 '공격 축구 순위표'를 도입해 리그 1과 리그 2의 다득점 경기를 장려했다. 프랑스 프로축구연맹은 전직 감독 미셸 이달고의 자문을 받아 더 많은 득점을 올린 구단에 금전적인 보상을 제공했다. 이 순위표는 이전 보너스 규정과 유사했지만, 공식 리그 순위표와는 별개였다.[47]3. 5. 유럽 대항전 진출권
UEFA 계수에 따라 2023-24 시즌 국내 리그 성적을 기준으로 2024-25 유럽 시즌부터 리그 1의 상위 4개 구단이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획득할 수 있는데, 상위 3개 구단은 리그 단계로 직행한다. 4위 구단은 3차 예선부터 대회에 참가한다. 쿠프 드 프랑스 우승팀과 5위 구단은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얻을 수 있다. 6위 구단은 컨퍼런스리그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얻을 수 있다. 쿠프 드 프랑스 우승팀이 리그 1에서 상위 5~6위 이내 성적을 기록하면, 리그 6위 팀과 7위 팀이 순서대로 유로파리그와 컨퍼런스리그 진출권을 승계한다.4. 참가 구단
1932-33 시즌 창설부터 2024-25 시즌 시작까지 총 74개의 클럽이 리그 1에서 활동했다.[9] 마르세유, 몽펠리에, 니스와 렌은 리그 창립 멤버 중 현재까지 리그 1에서 활동하는 유일한 구단들이다. 파리 생제르맹은 승점 강등을 겪지 않은 유일한 클럽으로, 1974-75 시즌 1부 리그 승격 이후 한 번도 강등되지 않았다. 파리 생제르맹은 1972년 파리 FC와 분리된 후 리그에 의해 행정적으로 강등되었지만, 두 시즌 만에 최상위 리그로 복귀했다.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리그 1 클럽으로는 마르세유, 리옹, 모나코, 릴 등이 있다.
2024-25 시즌 리그 1 참가 구단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클럽 (원어 표기) | 연고 도시 | 홈 구장 | 수용 인원 | 전년도 성적 |
---|---|---|---|---|
파리 생제르맹 FC (Paris Saint-Germain Football Club) | 파리 | 파르크 데 프랭스 | 47,929 | 1위 |
AS 모나코 (Association Sportive de Monaco Football Club) | 모나코 | 스타드 루이 II | 18,524 | 2위 |
스타드 브레스투아 29 (Stade Brestois 29) | 브레스트 | 스타드 프랑시스-르 블레 | 15,931 | 3위 |
LOSC 릴 (Lille Olympique Sporting Club) | 릴 | 스타드 피에르 모루아 | 50,186 | 4위 |
OGC 니스 (Olympique Gymnaste Club de Nice) | 니스 | 알리안츠 리비에라 | 36,178 | 5위 |
올랭피크 리옹 (Olympique Lyonnais) | 리옹 | 파르크 올랭피크 리옹 | 59,186 | 6위 |
RC 랑스 (Racing Club de Lens) | 랑스 | 스타드 펠릭스 볼라르 | 38,223 | 7위 |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Olympique de Marseille) | 마르세유 | 스타드 벨로드롬 | 67,394 | 8위 |
스타드 드 랭스 (Stade de Reims) | 랭스 | 스타드 오귀스트 들론 | 21,029 | 9위 |
스타드 렌 FC (Stade Rennais Football Club) | 렌 | 로아존 파르크 | 29,778 | 10위 |
툴루즈 FC (Toulouse Football Club) | 툴루즈 | 스타디움 드 툴루즈 | 35,472 | 11위 |
몽펠리에 HSC (Montpellier Hérault Sport Club) | 몽펠리에 | 스타드 드 라 모송 | 32,950 | 12위 |
RC 스트라스부르 (Racing Club de Strasbourg Alsace) | 스트라스부르 | 스타드 드 라 메노 | 29,230 | 13위 |
FC 낭트 (Football Club de Nantes) | 낭트 | 스타드 드 라 보주아르 | 35,322 | 14위 |
르아브르 AC (Le Havre Athletic Club Football Association) | 르아브르 | 스타드 오세안 | 25,278 | 15위 |
AJ 오세르 (Modification de Association de la Jeunesse auxerroise) | 오세르 | 스타드 드 라베 데샹 | 18,541 | 리그 2 1위 |
앙제 SCO (Angers Sporting Club de l'Ouest) | 앙제 | 스타드 레이몽 코파 | 18,752 | 리그 2 2위 |
AS 생테티엔 (Association Sportive de Saint-Étienne Loire) | 생테티엔 | 스타드 제프루아-기샤르 | 35,616 | 리그 2 3위 |
4. 1. 참가 구단 수 변동
기간 | 참가 구단 수 |
---|---|
1932–33 | 20개 |
1933–34 | 14개 |
1934–1939 | 16개 |
1945–46 | 18개 |
1946–47 | 20개 |
1947–1958 | 18개 |
1958–1963 | 20개 |
1963–1965 | 18개 |
1965–1968 | 20개 |
1968–1970 | 18개 |
1970–1997 | 20개 |
1997–2002 | 18개 |
2002–2023 | 20개 |
2023–현재 | 18개 |
4. 2. 2024-25 시즌 참가 구단
성적첫 시즌
참가 시즌 수
1부 리그 합류 시즌
합류 후 시즌 수
우승 횟수
최근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