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은 도봉산 천축사 일주문 뒤편 암벽에 새겨진 2기의 사리탑으로, 19세기 후반에 조성되었다. 남향 사리탑에는 여성 재가자 정월의 사리가, 동향 사리탑에는 신녀 ○영의 사리가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리탑들은 명문을 통해 제작 연대와 주인공을 알 수 있으며,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애탑 - 서울 학도암 마애사리탑
    서울 학도암 마애사리탑은 강북구 학도암 경내에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조성된 조선 시대 추정의 화강암 사각형 마애사리탑 2기로, "봉안사리탑 위보부모은" 명문이 새겨져 있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수도권에 위치한 특징을 지닌다.
  • 1882년 작품 - 국가란 무엇인가?
    국가란 무엇인가는 르낭의 국가관을 중심으로, 국가를 영토나 제도가 아닌 공유된 기억과 미래에 대한 열망으로 정의하며, 인종, 언어, 종교보다 과거의 망각과 미래를 향한 의지를 중요시하는 '의지국가' 개념을 제시하지만, 역사적 폭력 은폐 시도라는 비판도 받는 문서이다.
  • 사리탑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된 높이 4.1m의 석탑으로, 2중 기단 위에 세워진 3층 석탑이며, 각 면 기둥 형태 조각과 1층 탑신 문비 조각이 특징이고 통일신라 후기 석탑 양식을 보여주는 보물이다.
  • 사리탑 -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
    울산 태화사지 십이지상 사리탑은 9세기경 통일신라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리탑으로, 바닥돌 안상과 몸돌 윗부분의 십이지신상이 특징이며 능묘 의례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천축사 마애사리탑
국가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65
지정일2016년 2월 18일
시대조선시대 19세기 후반
소유자천축사
주소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길 (천축사)
수량1건 2기
천축사 마애사리탑 이미지
천축사 마애사리탑

2. 역사적 배경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 2기는 도봉구 도봉산 만장봉 동쪽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인 천축사의 일주문 뒤편 암벽에 각각 새겨져 있다.[1]

암벽 남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사리를 넣었던 감실 위에 "청신녀정월 영주봉안탑 정축사월일(淸信女淨月 靈珠奉安塔 丁丑四月日)"이라고 음각되어 있어, 여성 재가자인 정월(淨月)의 사리를 봉안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동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신녀○영영주탑 임오팔월(信女○英靈珠塔 壬午八月)"이라고 새겨져 있다.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은 명문을 통하여 제작 연대와 사리탑의 주인공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1]

2. 1. 천축사의 역사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 2기는 도봉구 도봉산 만장봉 동쪽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인 천축사의 일주문 뒤편 암벽에 각각 새겨져 있다.

암벽의 남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사리를 넣었던 감실 위에 음각으로 “청신녀정월 영주봉안탑 정축사월일(淸信女淨月 靈珠奉安塔 丁丑四月日)이라고 새겨져 있어, 여성 재가자인 정월(淨月)의 사리를 봉안한 것임을 알 수 있고, 동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신녀○영영주탑 임오팔월(信女○英靈珠塔 壬午八月)이라고 새겨져 있다.

천축사 마애사리탑은 명문을 통하여 제작연대와 사리탑의 주인공을 확인할 수 있고,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2. 2. 마애사리탑 조성 배경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 2기는 도봉구 도봉산 만장봉 동쪽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직할사찰인 천축사의 일주문 뒤편 암벽에 각각 새겨져 있다.

암벽 남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사리를 넣었던 감실 위에 "청신녀정월 영주봉안탑 정축사월일(淸信女淨月 靈珠奉安塔 丁丑四月日)"이라고 음각되어 있어, 여성 재가자인 정월(淨月)의 사리를 봉안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동향으로 조각된 사리탑은 "신녀○영영주탑 임오팔월(信女○英靈珠塔 壬午八月)"이라고 새겨져 있다.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은 명문을 통하여 제작 연대와 사리탑의 주인공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는 자료이다.

3. 마애사리탑의 특징

도봉산 만장봉 동쪽 기슭에 자리한 천축사 일주문 뒤쪽 암벽에는 남향과 동향으로 마애사리탑 2기가 새겨져 있다.[1]

암벽 남향의 사리탑은 사각형 몸체에 윗부분이 반원형인 마애비 형태로, 높이 93cm, 폭 47cm이다. 탑 하부에 사각형 사리공(19cm×17.5cm, 깊이 13.5cm)이 있어 유골이나 사리 등의 봉안물을 넣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감실 위에는 "청신녀정월 영주봉안탑 정축사월일(淸信女淨月 靈珠奉安塔 丁丑四月日)"이라는 음각 명문이 새겨져 있어, 여성 재가자인 정월(淨月)의 사리를 봉안한 것임을 알 수 있다.[1] '정월'은 1858년에 조성된 천축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에 등장하는 인물로, 19세기 중반 천축사 불사에 관련된 인물로 추정된다.[1]

암벽 동향의 사리탑은 몸체와 윗부분이 모두 사각형이며, 하부에 사각형 사리공(13.5cm×13cm, 깊이 11.5cm)이 있다. 감실 위에는 "신녀○영영주탑임오팔월(信女○英靈珠塔 壬午八月)"이라는 음각 명문이 새겨져 있다.[1] '○영'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마애사리탑의 형태나 치석 수법 등으로 보아 '청신녀 정월 마애사리탑'과 비슷한 시기인 1882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

이 마애사리탑들은 명문을 통해 주인공과 건립 연대를 추정할 수 있으며, 조선 후기 마애비 형태를 따르고 있다. 탑 하부에 사각형 감실이 남아있어 용도와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1] 이는 19세기 후반까지 천축사가 법등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며, 당시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다.[1]

3. 1. 정월 마애사리탑

3. 2. ○영 마애사리탑

3. 3. 공통 특징

4. 학술적 가치

서울 천축사 마애사리탑은 제작 연대와 사리탑의 주인공을 추정할 수 있는 유적으로,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다.[1] 천축사가 19세기 후반까지 법등(法燈)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하다.[1]

마애사리탑은 승려뿐만 아니라 재가신자들도 건립한 기념비적인 조형물이다.[1] 명문을 통해 주인공과 건립 연대를 추정할 수 있으며, 봉안되었던 복장유물은 파악할 수 없지만 탑 하부에 사각형 감실이 남아있어 용도와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1]

조선 후기 기년명 마애사리탑으로는 경기 안양 염불암 현진당부도(1783년), 경기 안양 불성사 각원선사마애부도(1796년 추정), 서울 학도암 청신녀월영영주지탑(1819년), 경북 청도 신둔사 마애현수이씨사리탑(1852년), 서울 강북 도선사 김상궁마애사리탑(1873년), 안양 염불암 여산송씨마애부도(1890년) 등이 있다.[1]

5. 보존 및 관리

천축사 마애사리탑 2기는 제작 연대와 사리탑의 주인공을 추정할 수 있는 유물이며, 19세기 후반까지 천축사가 법등(法燈)으로 유지되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1] 19세기 후반 석조미술사 연구에 학술적 가치가 있어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