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도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우도호부는 당나라가 외몽골의 철륵 제부족 침략을 막기 위해 설치한 도호부 중 하나이다. 내몽골 지역을 지배했으며, 귀화성 부근에 위치했다. 돌궐 계 민족을 통괄하여 유목 민족에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664년 운중도호부에서 개칭되었으나, 682년 돌궐의 쿠트루크에게 정복당하며 멸망했다. 낭산도독부, 운중도독부, 상건도독부 등 3도독부와 24주를 관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북도호부
안북도호부는 당나라가 669년 한해도호부에서 개칭한 행정구역으로, 후돌궐의 성장에 따라 치소를 여러 차례 옮기며 유목민족을 관할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권한을 상실했고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한 상태이다.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동도호부
안동도호부는 668년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복한 후 평양에 설치한 행정구역으로, 군사 주둔 및 현을 관할하며 동북아시아 정세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고구려 유민과 신라의 압력으로 위치를 옮기다 폐지되었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선우도호부 | |
---|---|
기본 정보 | |
유형 | 도호부 |
관할 지역 | 몽골 고원 |
존속 기간 | 664년 ~ 698년 |
전신 | 옹우도호부 |
후신 | 안북도호부 |
위치 | |
중심지 | 오르도스 지역 |
역사 | |
설립 | 664년 |
폐지 | 698년 |
정치 | |
종주국 | 당나라 |
2. 역사
663년 연연도호부가 '''한해도호부(瀚海都護府)'''로 개칭되고, 내몽골 지역에 설치된 '''운중도호부(雲中都護府)'''는 돌궐족의 침략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듬해 운중도호부는 선우도호부로 개칭되었다.
682년 돌궐의 쿠트루크가 선우도호부를 정복하고 내몽골 지역 전체를 지배하였으며, 당나라의 남부 도시들도 돌궐에 의해 정복당했다.
2. 1. 배경
646년 투르크의 일족인 설연타(薛延陀)가 멸망했을 때, 당은 외몽골의 철륵(鐵勒) 제 부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6도독부(六都督府)와 7자사주(七刺史州)를 두었다.이듬해에는 오르도스 남부에 '''연연도호부(燕然都護府)'''를 설치하여 공격을 방어하였다.
663년 연연도호부를 '''한해도호부(瀚海都護府)'''로 개칭하였다. 내몽골 지역에는 '''운중도호부(雲中都護府)'''를 두어 오로지 돌궐족의 침략을 감시하였으며 이듬해 운중도호부는 선우도호부로 개칭하였다.
결국 682년 돌궐의 쿠트루크(骨咄祿)가 선우도호부를 정복하고 내몽골 지역을 전체 지배하였다. 또한 당나라의 남부 도시들도 돌궐에 의해 정복당했다. 돌궐계가 멸망시켰다. 이러한 도호부와 자사들에 의해, 오랫동안 중국 왕조에게 위협이었던 북방 유목 민족에 대비했다.
2. 2. 설치
646년 투르크계 일족인 설연타(薛延陀)가 멸망했을 때, 당은 외몽골의 철륵(鐵勒) 제 부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6도독부(六都督府)와 7자사주(七刺史州)를 두었다.이듬해에는 오르도스 남부에 '''연연도호부(燕然都護府)'''를 설치하여 공격을 방어하였다.
663년 연연도호부를 '''한해도호부(瀚海都護府)'''로 개칭하였다. 내몽골 지역에는 '''운중도호부(雲中都護府)'''를 두어 돌궐족의 침략을 감시하였으며, 이듬해 운중도호부는 선우도호부로 개칭하였다.
2. 3. 멸망
682년 돌궐 쿠트루크가 선우도호부를 정복하고 내몽골 지역 전체를 지배하였다. 또한 당나라의 남부 도시들도 돌궐에 의해 정복당했다.3. 통치
이 도호부는 주로 내몽골 지역을 지배했으며, 귀화성(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부근에 있었다. 당 고종 때 설치된 육도호부 중 하나이며, 돌궐계 민족의 여러 부를 통솔했다. 돌궐계가 멸망시켰다. 선우도호부는 돌궐계 민족의 여러 부를 통괄하여 당의 오랜 적이었던 유목 민족에 대비했다.
4. 부속 관할
당나라 고종 때 설치된 육도호부 중 하나인 선우도호부는 내몽골 지역을 지배했으며, 귀화성 부근에 있었다. 돌궐 계 민족의 여러 부를 통괄하여 유목 민족에 대비했다.
선우도호부에는 3개의 도독부(낭산도독부(호연도독부), 운중도독부, 상건도독부)와 24개의 주(사리주, 사피주, 아사나주, 작주, 백등주, 소농주, 아덕주, 집실주, 발연주, 울야주, 예실주, 비실주, 질략주, 하노주, 갈라주, 수질주 등)가 있었다.
4. 1. 3도독부(3都督府)
도독부 이름 | 비고 |
---|---|
낭산도독부 (호연도독부) | 낭산도독부는 후에 호연도독부로 개칭됨. |
운중도독부 | |
상건도독부 |
4. 2. 24주(24州)
주(州) 이름 |
---|
사리주(舍利州) |
사피주(思辟州) |
아사나주(阿史那州) |
작주(綽州) |
백등주(白登州) |
소농주(蘇農州) |
아덕주(阿德州) |
집실주(執失州) |
발연주(拔延州) |
울야주(郁射州) |
예실주(藝失州) |
비실주(卑失州) |
질략주(叱略州) |
하노주(賀魯州) |
갈라주(葛邏州) |
수질주(閖跌州)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