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호부는 중국과 한국에서 사용된 지방 행정 구역 명칭이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원나라 등 여러 왕조에서 주변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도호부를 설치했다.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군사 요충지에 처음 도입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국 8도에 18개의 도호부를 설치하여 지방 행정 체계를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치사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중국의 정치사 -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은 시진핑이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된 이후 발전하여 중국공산당의 지도 이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권력 집중, 인권 침해 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당나라 - 황소의 난
    황소의 난은 당나라 말기의 정치 부패, 가혹한 수탈, 자연재해로 삶이 피폐해진 백성들이 소금 밀매업자 왕선지와 황소를 중심으로 874년부터 884년까지 일으킨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당나라 멸망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당나라 - 안사의 난
    안사의 난은 당나라 말기에 안록산이 일으킨 대규모 반란으로, 당나라의 쇠퇴를 가속화시켰으며,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도호부
개요
유형변경된 군사 정부 형태
존속 기간기원전 2세기 - 8세기
위치중국의 변경 지역
역사
설립기원전 2세기
해체8세기
정부
수장도호 (都護)
관할군사 및 민간 행정 권한
하위 행정 구역진 (鎮)
관련 직책절도사 (節度使)
중요 인물
역대 도호곽헌 (郭憲), 두희 (杜 희), 정길 (鄭吉), 풍봉세 (馮奉世), 감연수 (甘延壽), 진탕 (陳湯), 이충 (李충), 단흠 (段欣)
특징
기능변경 지역 통제
군사 주둔지 역할
외교 관계 수행
관련 용어
관련 용어안서도호부, 안동도호부, 진서도호부, 선우도호부, 북정도호부, 단서도호부, 안남도호부

2. 중국의 도호부

중국 역사에서 도호부는 주변 지역을 통치하기 위한 행정 구역이었다.

2. 1. 한나라

한나라서역도호부를 설치했다. 신작 3년(기원전 59년)에 오루성(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바인골린 몽골 자치주 룬타이현 부근)에 설치되었다.[2]

2. 2. 당나라

당나라는 주변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여러 도호부를 설치했다.

  • 내몽골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50년한해도호부(翰海都護府)후허하오터 부근동돌궐 평정 후 설치
663년운중도호부(雲中都護府)후허하오터 부근한해도호부에서 개칭
664년단우대도호부(単于大都護府)후허하오터 부근운중도호부에서 개칭


  • 외몽골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47년연연도호부(燕然都護府)외튀켄 산철륵 제부 귀순, 13주부 설치
663년한해도호부(翰海都護府)외튀켄 산연연도호부에서 개칭
669년안북대도호부음산 방면한해도호부에서 개칭, 동돌궐 세력 확장에 따라 이동


  • 준가얼 분지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40년비릉도호위부(毗陵都護衛府)지무싸얼현 북정향실크로드 천산 북로 근처
702년북정도호부(北庭大都護府)지무싸얼현 북정향비릉도호위부에서 개칭
709년북정대도호부지무싸얼현 북정향북정도호부에서 승격
790년(토번에 점령)지무싸얼현 북정향토번에 점령


  • 타림 분지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40년서주도호부(西州都護府)고창국고창국 멸망 후 설치
651년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고창 옛 땅서주도호부에서 개칭
658년안서대도호부(安西大都護府)구자성이전
787년(토번에 멸망)구자성고선지가 안서도호 역임, 토번에 멸망


  • 중앙아시아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비고
658년몽지도호부(濛池都護府)서돌궐의 아사나하로 토벌 후 설치
658년곤릉도호부(昆陵都護府)서돌궐의 아사나하로 토벌 후 설치


  • 한반도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60년웅진도독부백제 옛 영역백제 멸망 후 설치, 나당전쟁으로 요동 지역 건안성으로 이전
663년계림대도독부신라 영토문무왕을 계림주대도독에 임명, 나당 전쟁으로 유명무실
668년안동도호부평양고구려 멸망 후 설치, 한반도 북부와 만주 지배, 676년 요동성으로 후퇴, 677년 신성으로 이전, 697년 대조영과의 항쟁으로 폐지, 705년 재설치, 안사의 난 때 최종 폐지


  • 동남아시아 지역

설치 시기도호부 이름위치비고
681년안남도호부하노이 부근622년 설치된 교주대총관부에서 개칭, 아베노 나카마로가 도호 역임, 860년, 863년 남조에 점령



안서대도호부, 북정대도호부, 안북대도호부, 단우도호부, 안동도호부, 안남도호부를 육도호부라 하여 가장 유명하다.

당나라 영토

2. 3. 송나라

용유도호부[2]

2. 4. 원나라

3. 한국의 도호부

원나라고려1270년부터 1356년까지 간접 통치하면서 동녕부, 쌍성총관부, 탐라총관부를 설치했다.[2]

3. 1. 고려

995년(성종 14년)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지방 제도를 개편할 때 군사 요충지에 처음 도입되었다. 이 시기에 설치된 도호부는 군사적 성격이 강하였는데, 고려 후기로 가면서 일반 행정 관청으로서의 도호부가 다수 설치되었다.

  •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화주(和州)에 설치, 1018년 등주(登州)로 이전
  • 안서도호부(安西都護府): 풍주(豊州)에 설치, 해주(海州)로 이전, 1122년 대도호부로 승격
  •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 경주(慶州)로 이전, 1027년 폐지
  •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 전주(全州)에 설치, 1022년 폐지
  • 안북대도호부(安北大都護府): 영주(寧州, 평안도 안주)에 설치[2]

3. 2. 조선

조선1392년 개국 초 고려의 지방 관직 체계를 계승하여 전국 8도에 18개의 도호부를 두었다. 인구 증가, 왕비 출생지역 우대, 군사상 필요 등에 의해 도호부 수는 계속 증가하여 19세기 고종 때 75개까지 늘어났다. 도호부에는 종3품 도호부사가 임명되었으며, 지명 또는 관직 명칭에서 '도호'를 제외하고 부(府)라고 약칭하기도 하였다.[3] 1894년 갑오개혁으로 중앙과 지방 행정을 개편할 때 대부분 군(郡)으로 개칭되었다.

참조

[1] 서적 Brief History of the Official System in China
[2]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3] 문서 순천도호부와 순천부 호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