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춘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선)은 춘추 시대에 존재했던 작은 제후국이다. 처음에는 주나라 왕실 직할지로 여겨졌으며, 하남성 맹진현 동남쪽으로 추정되었다. 섬서성 부풍현과 미현 일대에서 선나라와 관련된 유물이 출토되었고, 계보를 통해 서주 초기에는 섬서성 미현 일대에 선 일족이 거주했음이 밝혀졌다. 선나라의 혈통은 서주 성왕의 아들 진에게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으나, 서주 문왕 때부터 주나라를 보필했다는 기록도 있어 논란이 있다. 역대 군주로는 진(臻), 목공, 호생, 원보, 양공, 경공, 정공, 헌공, 성공, 목공, 무공, 평공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시대 -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 춘추 시대 - 소 (기성)
소(蘇)씨는 중국 성씨로, 주나라 시대 소분생을 시조로 하며 춘추시대 자퇴의 난과 온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 - 허난성의 역사 - 상나라
상나라는 기원전 1600년경부터 기원전 1046년까지 중국을 지배한 왕조로, 갑골문 발견을 통해 역사적 사실이 증명되었으며, 발달된 청동기 문화와 문자 체계를 가졌고, 주나라에 의해 멸망한 후에도 일부 잔재가 이어졌다. - 허난성의 역사 - 정강의 변
정강의 변은 1125년부터 1127년까지 금나라의 침입으로 북송이 멸망한 사건으로, 휘종과 흠종을 포함한 황족들이 포로로 잡혀가고 사회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 선 (춘추) | |
|---|---|
| 개요 | |
| 국명 | 단(單) |
| 국성 | 희성(姬姓) |
| 작위 | 백작, 후에 자작 |
| 수도 | 단(單) (허난성뤄양시멍진현) |
| 건국자 | 무왕 |
| 시조 | 단공 |
| 건국 시기 | 주나라 초기 |
| 멸망 시기 | 불명 |
| 멸망 원인 | 불명 |
| 역사적 정보 | |
| 사서 기록 | 《국어》 주어 하 |
2. 위치
두예가 춘추좌전집해에서 천자기내(주나라 왕실 직할지)에 비정했고, 후에 이름을 알 수 없는 이의 학설에 따라 하남성(河南省) 맹진현(孟津縣) 동남쪽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맹진현 지역과 부풍현 지역에서 각각 선나라와 관련된 명문이 있는 청동기가 출토되었으며, 2003년 보계시에서 선 일족의 자세한 계보가 적힌 계보가 출토되어 서주 초기 선 일족이 섬서성(陕西省) 미현 일대에 거주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원래는 섬서성(陕西省) 부풍현에 있다가 미현(眉縣)에 옮겼으나 후에 주 왕실이 동천할 때 따라가 맹진현으로 옮겨간 것으로 추정되었다.
서주 성왕의 작은아들 진이 분봉되었다는 기록이 노사(路史) 등에 나타나지만, 내반(逨盤)의 명문에 따르면 이미 서주 문왕 때부터 선 일족이 주나라를 보필했다는 기록이 있어 신빙성이 부정된다. 따라서 선나라가 초창기부터 희성이었을 가능성은 낮아졌다. 발견된 서주 초기 부풍·미 일대의 명문에서도 주족이 아닌 상족의 특징이 나타난다. 그러나 춘추시대 선양공은 자신을 희성의 분족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은 확인된다.
wikitable
한편 맹진현에서 출토된 선 일족 관련 청동기들이 서주 초기에 제작된 것이므로, 선나라가 동천 때 옮겨간 것이 아니라 이미 서주 초기에 미현과 맹진현에 각각의 선 일족들이 거주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더 나아가서, 미현 일대의 선 일족과 맹진현 일대의 선 일족의 족휘(族徽)가 약간 다르므로 두 선 일족은 별개의 족이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춘추시대의 선나라는 맹진현의 선 일족의 후예로 본다.
춘추시대의 선나라의 수도를 단(檀)으로 보기도 하는 견해는 단(檀)이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제원현(濟源縣)이 맹진현과 황하를 마주보고 가까이 있으며, 선의 위치를 추정한 고조우(顧祖禹)는 단을 누락했고 단의 위치를 추정한 고동고(顧棟高)가 선을 누락한 데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정 여공이 단백(檀伯)을 쳐죽인 일 등 단과 선을 구별하는 기록이 제법 있어, 선나라의 수도를 단으로 보는 견해는 대부분 부정된다.
3. 혈통
4. 역대 군주
대수 시호 이름 재위 1 진(臻) 1 목공(穆公) 2 호생(昊生) 3 원보(原父) 4 양공(襄公) 조(朝) 5 경공(頃公) 6 정공(靖公) 7 헌공(獻公) 멸(蔑) 8 성공(成公) 기원전 534년 ~ 기원전 531년 9 목공(穆公) 기(旗) 기원전 530년 ~ 기원전 520년 10 무공(武公) 11 평공(平公)
5. 세계도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양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〡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경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 style="width:8%;" | style="width:8%;" | 정공 style="width:8%;" | 공자 건기(愆期) style="width:8%;" | style="width:8%;" |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헌공 성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〡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〡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목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〡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무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〡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평공 style="width:8%;" | style="width:8%;" | style="width: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