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어 (역사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어》는 주나라, 노나라, 제나라, 진나라, 정나라, 초나라, 오나라, 월나라 등 8개국의 이야기를 21권으로 엮은 역사서이다. 각 나라의 왕과 신하들의 대화, 연설, 정치적 사건 등을 기록하고 있으며, 서주 후기부터 기원전 481년까지의 역사를 다룬다. 《춘추좌씨전》, 《사기》 등과 함께 중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지만, 내용과 문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세기 역사책 -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투키디데스가 기록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아테네와 스파르타 간의 전쟁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서술하여 서양 역사 서술과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완의 역사서이다.
  • 기원전 5세기 역사책 - 춘추공양전
    《춘추공양전》은 《춘추》의 주석서로서, 문답 형식으로 한 글자 한 글자의 의미를 풀이하여 문자의 운용에 따른 의미 차이와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밝히고 공자의 사회 정치적 질서를 담았다고 주장하며, 춘추좌씨전, 춘추곡량전과 함께 춘추삼전으로 불린다.
  • 중국의 역사책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역사책 - 춘추좌씨전
    《춘추좌씨전》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춘추 시대의 사건들을 노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하며, 문학적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국어 (역사서)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 (한자)國語
제목 (간체자)国语
병음Guóyǔ
웨이드-자일스Kuo-yü
표준 중국어 (IPA)/gwǒ.ỳ/
광둥어 (예일)Gwok3-jyu5
광둥어 (IPA)/gwɔk̚˧.jyː⁵/
민난어 (페-오-지)Kok-gí
중고음Kwok-ngjo
고대음 (정장상방언)*[C.q]ˤʷək ŋ(r)aʔ
의미제후국들의 담론
언어고대 중국어
주제춘추 시대 국가들의 역사
출판 연도기원전 4세기
역사적 배경
시기기원전 956년 - 기원전 918년
추가 정보
위키문헌국어

2. 구성

《국어》는 《좌전》과 시기, 인물, 사건이 겹치며, 한나라 말기에는 좌전의 서문이라고 불렸다. 서간과 같은 학자들은 그들의 저서에서 이를 언급했지만, 그 전통은 사라졌다.

《국어》는 주나라 조정에 관한 8권의 책과 7개의 봉건 국가에 관한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21개의 장으로 나뉜다. 각 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중국어핀인번역
1周語Zhōu Yǔ의 담론3
2魯語Lǔ Yǔ의 담론2
3齊語Qí Yǔ제의 담론1
4晉語Jìn Yǔ진의 담론9
5鄭語Zhèng Yǔ의 담론1
6楚語Chǔ Yǔ의 담론2
7吳語Wú Yǔ의 담론1
8越語Yuè Yǔ의 담론2



서주 후기부터 『춘추』의 끝으로 여겨지는 기원전 481년까지의 주나라·노나라 2개국과 춘추오패로 일컬어지는 제·진·초·오·월나라 5개국, 그리고 정나라 총 8개국 왕후나 문무관의 언동('어')을 채집·기록한 것이다. 공자가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춘추』 등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점이나 예언, 권모술수에 관한 기사도 다루어져 있으며, 유교적인 필터가 걸려 있지 않은, 보다 원래의 원사료에 따른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오어」, 「월어」에서는 오·월의 다툼을 중심으로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집중적인 서술이 나타난다. 그러나 『춘추좌씨전』보다 딱딱하고 평탄한 문장으로 쓰여 있다.

2. 1. 주어 (周語)

周語|주어중국어는 주나라의 역사를 다루며,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
1주어 상
2주어 중
3주어 하


2. 2. 노어 (魯語)

魯語|노어중국어노나라의 역사를 다루며, 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2. 3. 제어 (齊語)

齊語|Qí Yǔ중국어는 제나라의 역사를 다루며, 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2. 4. 진어 (晉語)

''진어(晉語)''는 진의 담론으로, 국어 전체에서 가장 많은 분량인 9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진어 1

# 진어 2

# 진어 3

# 진어 4

# 진어 5

# 진어 6

# 진어 7

# 진어 8

# 진어 9

2. 5. 정어 (鄭語)

의 역사를 다루며, 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중국어핀인번역
5鄭語Zhèng Yǔ의 담론1


2. 6. 초어 (楚語)

의 역사를 다룬다. 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1]

# 초어 상

# 초어 하

2. 7. 오어 (吳語)

吳語중국어의 역사를 다루며, 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2. 8. 월어 (越語)

越語중국어의 담론을 다루며, 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

번호중국어핀인한국어 번역
8越語Yuè Yǔ의 담론2



# 월어 상

# 월어 하

3. 내용

國語중국어는 좌전과 시기, 인물, 사건이 겹친다. 한나라 말기에는 좌전의 서문이라고 불렸다.

주나라 조정에 관한 8권의 책과 7개의 봉건 국가에 관한 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1개의 장으로 나뉜다.

번호중국어핀인번역
1周語Zhōu Yǔ의 담론3
2魯語Lǔ Yǔ의 담론2
3齊語Qí Yǔ제의 담론1
4晉語Jìn Yǔ진의 담론9
5鄭語Zhèng Yǔ의 담론1
6楚語Chǔ Yǔ의 담론2
7吳語Wú Yǔ의 담론1
8越語Yuè Yǔ의 담론2



서주 후기부터 『춘추』의 끝으로 여겨지는 기원전 481년까지의 주나라, 노나라 2개국과 춘추오패로 일컬어지는 제, 진, 초, 오, 월나라 5개국, 그리고 정나라 총 8개국(「정어」에 관해서는 원래 「주어」의 일부이며, 본래는 7개국 구성이었다고 한다)의 왕후나 문무관의 언동('''어''')을 채집·기록하여 21편으로 엮은 것이라고 한다. 공자가 부정적이었기 때문에 『춘추』 등에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점이나 예언, 권모술수에 관한 기사도 다루어져 있으며, 유교적인 시각이 반영되지 않은, 보다 원래의 원사료에 따른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오어」, 「월어」에서는 오나라와 월나라의 다툼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집중적인 서술이 보인다. 그러나 『춘추좌씨전』보다 딱딱하고 평탄한 문장으로 쓰여 있다. 전체 21권 중 9권이 「진어」이다.

4. 평가

《국어》는 《춘추좌씨전》, 《사기》, 《한서》와 함께 중국 고대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5] 당나라 유종원은 《국어》의 내용이 황당무계하고 성인의 도에 어긋난다고 비판하며 《비국어》를 저술하기도 했다.[6]

남송 주희는 내용과 문체를 비판했다. 반면, 후한 가규, 삼국 시대 나라 위소우번 등은 《국어》에 주석을 달았으며, 북송 소식유종원의 비판에 반론을 제기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국어》를 통해 춘추전국시대의 다양한 관점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특히, 유교적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된다.

5. 주요 주석

오노 타카시(小野 峻|오노 다카시일본어)의 주석이 널리 알려져 있다. 관련 주석은 다음과 같다.


  • 国語 新釈漢文大系|국어 신석 한문대계일본어 66·67, 오노 타카시, 메이지서원 (상·하), 1975-77년
  • 国語 中国古典新書|국어 중국 고전 신서일본어, 오노 타카시, 메이토쿠 출판사, 1969년 - 발췌판

참조

[1] 논문 Confucius and Lao Zi" Their Differing Social Foundations and Cultures http://www.sino-plat[...] 2011-05
[2] 서적 Grand Historian's Autobiographical Postface https://ctext.org/sh[...]
[3] 서적 Letter to Ren An https://ctext.org/ha[...]
[4] 서적 True Meaning of Chunqiu Zuozhuan https://ctext.org/li[...]
[5] 문서 史漢|左国史漢
[6] 서적 国語 明徳出版社 1969-06-30
[7] 문서 代는 趙의 망명정권이며, 秦に滅ぼ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