뤄양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뤄양시는 허난성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뤄허강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중국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하, 상, 주나라 시기부터 도읍으로 사용되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대도시로 발전하여 실크로드의 동쪽 종착지 역할을 했다. 동탁에 의해 파괴된 후 재건되었고, 위, 서진, 북위, 수, 당나라 시대에도 수도 또는 부도 역할을 하며 번영을 누렸다. 이후 정치적 중심지가 북경으로 이동하면서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룽먼 석굴, 백마사 등 유적과 모란으로 대표되는 독특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뤄양시는 현재 7개의 시할구와 7개의 현을 관할하며, 2000년에는 룽먼 석굴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뤄양시 - 얼리터우 문화
얼리터우 문화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중국 허난성 중서부 지역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문화로, 궁궐 건물과 청동 제련 작업장을 갖춘 유적에서 다양한 청동기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하 왕조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허난성의 지급시 - 카이펑시
카이펑시는 허난성에 위치한 지급시이자 중국 8대 고도 중 하나로, 과거 여러 왕조의 수도로서 오랜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며, 특히 북송 시대에는 중국 최대 도시로 번성했고 현재는 5개의 시할구와 4개의 현을 관할한다. - 허난성의 지급시 - 정저우시
허난성의 성도인 정저우시는 3,500년 역사를 지닌 황하 남쪽의 주요 도시로, 상나라 수도였으며 교통 허브이자 경제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지와 현대 도시, 소림사를 포함한 관광지가 공존하고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아 사계절이 뚜렷하며 다양한 산업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 중국의 옛 수도 - 대도
대도는 1267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하여 원나라의 수도로 삼은 도시이며, 몽골어로는 칸발릭,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캄발룩으로 기록되었고,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 중국의 옛 수도 - 흥경
흥경은 여진족 추장 시오깡가의 거주지였던 헤투알라가 개명된 이름으로, 누르하치가 후금을 건국하며 수도로 삼았으나 요양으로 천도 후 묘소가 이전되었고, 현재는 용릉이 위치한 수자강 남쪽 기슭의 이중 성벽 구조를 갖춘 지역이다.
뤄양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뤄양 시 |
로마자 표기 | Luoyang |
다른 이름 | 러양 |
별칭 | 뤄 |
옛 이름 | 시보 뤄이 뤄양 선두 |
위치 | 허난 성 |
면적 | 15,229.15 제곱킬로미터 |
도시 면적 | 810.4 제곱킬로미터 |
수도권 면적 | 1402.3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144 미터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8) |
민족 구성 | 한족 후이족 만주족 몽골족 |
현급 행정 구역 수 | 15 |
차량 번호판 접두사 | 豫C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허난 성 |
행정 등급 | 지급시 |
시 정부 소재지 | 뤄룽 구 |
당 서기 | 리 야 |
시장 | 류 완캉 |
인구 | |
총 인구 | 7,056,699 명 (2020년) |
도시 인구 | 2,249,300 명 |
수도권 인구 | 2,751,400 명 (2018년) |
경제 | |
GDP (지급시) | 3820억 인민폐 (575억 미국 달러) |
1인당 GDP | 56,410 인민폐 (8,493 미국 달러) |
상징 | |
시화 | 모란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471000 |
지역 번호 | 379 |
ISO 3166-2 | CN-HA-03 |
2. 명칭
뤄양(洛陽)이라는 이름은 도시가 낙수(洛水)의 북쪽, 즉 햇볕이 잘 드는 쪽(양, 양)에 위치한 데에서 유래했다. 강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태양은 강의 남쪽에 위치하므로 강의 북쪽 면은 항상 햇볕을 받게 된다.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지명 방식으로, 강 이름에 '양(陽)'을 붙여 강의 북쪽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뤄양은 황하 지류인 뤄수이(洛水) 유역에 위치하며, 황토고원에서 화북평원으로 나가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신석기 시대부터 양사오 문화, 얼리터우 유적(하나라 추정), 옌스 상청(상나라 초기 도성) 등 중요한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
뤄양은 역사적으로 여러 이름을 가졌다. 초기에는 '''뤄이'''(洛邑|뤄이zho) 또는 '''뤄저우'''(洛州|뤄저우zho) 등으로 불렸으나, 뤄양이 주요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 시대별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당나라 때는 동쪽의 수도라는 의미로 '''둥두'''(東都|둥두zho)라 불렸고, 송나라 때는 서쪽의 수도라는 의미로 '''시징'''(西京|시징zho) 또는 수도 뤄양이라는 의미의 '''징뤄'''(京洛|징뤄zho)라고 불렸다. 중국 역사상 유일한 여제인 측천무후 통치 시기에는 '신성한 수도'라는 뜻의 '''선두'''(神都|선두zho)로 불리기도 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허난푸'''(河南府|허난푸zho)로 개명되었으나, 1912년 신해혁명 이후 다시 뤄양이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한자 표기 또한 시대에 따라 변했는데, 이는 오행설에 기반한 각 왕조의 '덕(德)'과 관련이 있다. 주나라 시절에는 물(水)을 의미하는 삼수변(氵)이 들어간 '洛陽'과 새(隹)가 들어간 '雒陽' 표기가 함께 쓰였다. 진나라는 수덕(水德)을 내세웠으므로 '洛陽'을 공식 명칭으로 삼았다. 그러나 한나라는 화덕(火德)을 숭상하여 물을 뜻하는 삼수변을 꺼려 '雒陽'을 사용했다. 이후 위나라가 토덕(土德)을 내세우면서 다시 '洛陽'으로 돌아갔다.
또한, 뤄양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수도였기 때문에 '위나라의 수도'라는 의미의 '''위경'''(魏京)이라는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편, 뤄양 북쪽에는 북망산(北邙山)이 있다. 본래 이름은 망산(邙山)인데, 뤄양의 북쪽에 위치하여 북망산이라 불리게 되었다. 과거에는 풍광이 수려한 명산이었으나, 명당으로 알려지면서 왕족과 고관대작들의 무덤이 많이 들어서 공동묘지처럼 되었다.
3. 역사
뤄양의 도시 역사는 주나라 성왕이 동방 경영의 거점으로 뤄이(雒邑)를 건설하고 '왕성(王城)', '성주(成周)', '동도(東都)' 등으로 부른 것에서 시작된다. 기원전 771년 평왕이 기존 수도 호경(후대의 장안)에서 이곳으로 천도하면서 동주의 수도가 되었다. 이로 인해 고대 중국에서는 서쪽의 군사적 중심지 장안과 동쪽의 경제적 중심지 뤄양이 서로 보완하며 수도 기능을 분담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후 뤄양은 후한, 조위, 서진, 북위, 수나라, 후당 등 여러 왕조의 수도가 되었다. 한나라 때는 화덕(火德)을 숭상하여 '뤄양(洛陽)' 대신 '낙양(雒陽)'으로 불렸으나, 토덕(土德)을 내세운 위나라 때 다시 '뤄양'으로 돌아왔다. 후한 시대 수도로서 크게 발전했으나, 후한 말 동탁에 의해 폐허가 되는 비극을 겪었다.[44] 이후 위나라와 서진 시대에 다시 수도로 재건되어 번영을 누렸다.
4세기 이후 북방 민족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으나, 493년 북위가 수도를 옮기면서 다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때부터 룽먼 석굴이 조성되기 시작했다. 수나라 때는 수 양제가 무리하게 뤄양 천도를 추진하며 대규모 토목 공사를 벌이기도 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수도 장안 다음가는 '동도(東都)'로서, 강남의 물자를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경제 중심지로 크게 번영했다. 측천무후가 잠시 무주를 세우고 '신도(神都)'로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그러나 당나라 후기부터 점차 쇠퇴하여 송나라 이후에는 개봉에게 경제 중심지 역할을 넘겨주었고, 원나라 이후 정치 중심지가 베이징으로 옮겨가면서 역사적인 수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그럼에도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는 하남부의 치소(治所)가 설치되는 등 허난성 지역의 주요 도시로서 지위는 유지했다. 중화민국 시기에는 뤄양 전구(專區)가 설치되었고, 1944년 대륙타통작전 중에는 일본군에게 점령당하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인 1948년 현급시로 지정되었고, 1956년 지급시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른다.
3. 1. 고대
뤄양(洛陽) 지역은 황하(黃河)의 지류인 뤄수이(洛水) 유역에 자리하며, 황토고원을 거쳐 온 황하가 화북평원으로 흘러나가는 길목에 있다. 또한 망산(邙山)이 황하 본류의 범람을 막아주는 지리적 이점을 지녀, 늦은 신석기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다.[6] 뤄허 지류인 젠허(澗河) 상류에는 양사오 문화 유적이 있으며, 하나라에 해당한다고 여겨지는 얼리터우 유적, 은(상) 초기 도성 유적인 옌스 상청 등이 이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하나라 시기인 기원전 2070년경, 왕 태강이 뤄수이(洛水)와 이수(伊水)가 만나는 지점으로 수도를 옮겨 참순(斟鄩)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1600년경, 상나라의 탕왕은 하나라의 마지막 왕 걸을 물리치고 뤄수이 변에 새로운 수도 서박(西亳)을 건설했다. 서박의 유적은 현재의 뤄양 부근에 위치한다.
주나라 초기인 기원전 1036년, 주공은 상나라 유민들을 다스리기 위해 성주(成周)를 건설하고, 호경에 있던 구정을 이곳으로 옮겼다. 또한 성주 서쪽 15km 지점에 또 다른 수도인 왕성(王城, 뤄이(雒邑)라고도 불림)을 세웠다. 기원전 771년, 주나라가 동쪽으로 천도하면서 왕성은 동주의 수도가 되었으나, 기원전 510년에는 다시 성주로 수도를 옮겼다. 이후 후한 시대의 뤄양성은 성주 유적 위에 세워졌고, 현대의 뤄양 시는 왕성 유적 위에 건설되어 왕성 공원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7]
진 시황제 시기 재상 여불위는 뤄양을 봉지로 받아 개발했다. 한나라를 세운 고조 유방은 뤄양을 수도로 고려했으나, 신하들의 건의로 장안을 수도로 삼았다.[8] 이후 후한의 광무제 유수가 외척 왕망을 물리치고 뤄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도시가 크게 발전했다. 뤄양은 황하를 통한 물자 수송에 힘입어 경제적으로 번성했으며,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후한 말, 십상시의 난 이후 집권한 동탁이 반동탁 연합군의 공격을 피해 장안으로 천도하며 뤄양에 불을 질러 폐허로 만들었다.[44] 이 사건으로 뤄양 시민들은 현재까지도 동탁에게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다. 동탁 사후 혼란기에 조조는 황제에게 건의하여 뤄양 재건을 추진하는 한편, 수도를 임시로 허난성 허(許)로 옮겼다. 이후 위나라 건국 후 조조의 아들 조비가 뤄양을 다시 정비하고 수도로 삼으면서, 뤄양은 화려하게 부활했다. 위나라를 계승한 서진 역시 뤄양을 수도로 삼았다.
번영을 누리던 뤄양은 4세기에 들어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으로 혼란을 겪었다. 허난성 일대는 후조, 전연, 전진, 후연, 후진 등의 지배를 차례로 받았다. 439년 북위가 화북을 통일했고, 효문제는 493년에 수도를 뤄양으로 옮겼다. 이 시기부터 룽먼 석굴 조성이 시작되었으며, 이후 하음의 변(528년)과 같은 정치적 격변을 겪기도 했다.
북위는 534년에 동서로 분열되었고, 589년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했다. 문제 양견은 장안을 수도로 삼았으나, 아들 양제 양광은 무리하게 뤄양 천도를 추진하며 대규모 토목공사로 궁궐과 대운하를 건설했다. 이는 수나라 멸망의 한 원인이 되었다.
수나라 멸망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면서 뤄양은 수도 장안 다음가는 동도(東都)로서 번영했다. 특히 강남 지역의 경제력이 성장하고 대운하가 정비되면서, 뤄양은 강남의 물자를 수도 장안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집적지 역할을 했다. 측천무후가 무주를 세웠을 때는 잠시 신도(神都)로 개명되어 수도가 되기도 했으나, 당나라 부활 후 다시 뤄양이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그러나 안사의 난 이후 당나라가 쇠퇴하면서 관중 지역(옛 장안 일대)의 군사적, 정치적 중요성이 약화되었고, 강남의 물자를 화북으로 운송하는 중심지 기능은 점차 동쪽의 개봉으로 옮겨갔다. 오대십국 시대를 거쳐 건국된 송나라는 개봉을 수도로 삼았다. 이후 원나라 대에 정치 중심지가 몽골 고원과 가까운 북경으로 이동하고, 명나라 이후 북경을 수도로 하고 남경이 강남의 경제력을 뒷받침하는 체제가 확립되면서 뤄양은 역사적인 수도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다. 비록 중국 전체의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은 낮아졌지만, 허난성 지역의 주요 도시로서의 지위는 유지되었다.
뤄양은 한나라 때 실크로드의 동쪽 기점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실크로드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북위 시대부터 당나라 시대에 걸쳐 조성된 룽먼 석굴 역시 2000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뤄양의 오랜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3. 2. 한나라 시기
고제 유방(劉邦)이 세운 한나라 시기에 뤄양은 대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한 왕조는 화(火)덕을 숭상하여 수(水)변이 들어간 '뤄양(洛陽)' 대신 '낙양(雒陽)'으로 이름을 바꾸었다.[44] 황하를 통해 물자가 풍부하게 들어오면서 경제적으로도 발달했다. 이후 광무제 유수(劉秀)가 외척 왕망(王莽)을 몰아내고 서기 25년 11월 27일, 낙양을 후한의 수도로 삼아 도시 발전에 힘썼다.[9]
후한 시대 낙양은 크게 번성했다. 도시 성벽은 남북으로 4km, 동서로 2.5km 길이의 직사각형 모양이었고, 동쪽과 북쪽 성벽 바로 바깥에는 뤄허의 지류인 구강(穀江)이 흘렀다. 남궁과 북궁은 3km 떨어져 있었고 회랑으로 연결되었다. 서기 26년에는 사직단과 천단, 한고조를 모시는 사당이 세워졌고, 29년에는 국학(國學)이 재건되었다. 48년에는 양거(陽渠) 운하가 수도와 뤄허를 연결했으며, 56년에는 주요 천문 관측소인 영대(靈臺)가 건설되었다.[10] 서기 68년, 중국 최초의 불교 사찰인 백마사가 뤄양에 세워졌다. 이 사찰은 현재까지 존재하며, 건축 양식은 주로 16세기의 것이다. 안식고는 뤄양에서 불교를 대중화시킨 최초의 승려 중 한 명이다.
외교관 반초는 후한 시대에 실크로드를 부활시켰고, 이로 인해 뤄양은 한나라 시대의 실크로드 동쪽 종착지가 되었다.
서기 166년, "대진[로마 제국]의 왕 안둔"(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 재위 161–180년)이 보낸 첫 번째 로마 사절단이 현재 베트남 중부에 해당하는 일남 군을 통해 바다로 도착한 후 뤄양에 도착했다.[11]
2세기 말에는 중국이 무정부 상태로 쇠퇴했다. 이러한 쇠퇴는 황건적의 난으로 가속화되었는데, 이들은 서기 184년 황실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국가는 지속적인 반란이 내전으로 악화될 정도로 약화되었으며, 서기 189년 9월 24일에는 한나라 수도 뤄양을 불태우는 지경에 이르렀다.[12] 후한 말 십상시의 난 끝에 정권을 잡은 동탁이 전횡을 휘두르자 반동탁 연합군이 궐기하였다. 상국 동탁은 이를 피해 190년 4월, 병사들에게 뤄양 시를 약탈하고 파괴하도록 명령하고 장안으로 천도하였다.[44] 이 사건 이후로 옛날이나 지금이나 뤄양 시민들은 동탁에 대해서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다. 동탁은 멋대로 권력을 휘두르다가 왕윤과 여포에게 죽었지만 중앙 정부가 마비되면서 각지에서 군벌들이 난립하였다.
그 중 강력했던 군벌인 조조가 황제에게 건의하여 낙양을 재건하는 한편 수도를 임시로 허난성에 있는 허(許)로 옮겼다(196년). 위나라가 세워지고 조조의 아들 문제 조비가 220년에 뤄양을 수도로 선언하면서 뤄양은 다시 중요성을 되찾았다. 토(土)덕을 내세운 위나라는 도시 이름을 다시 '뤄양(洛陽)'으로 되돌렸다.[44] 위나라 문제는 낙양을 다시 정비하여 새로이 황궁이 들어서고 많은 주민들이 이 곳으로 이사를 와 가장 화려하고 번창한 도시로 부활하였다. 서진 역시 위나라의 뒤를 이어 뤄양에 수도를 정했다. 진나라 통치 시대의 뤄양은 인구가 60만 명에 달했고, 로마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을 것이다.
그러나 화려한 번영을 누리던 4세기 초, 뤄양은 팔왕의 난과 오호 십육국 시대 동안 반복적인 공격을 받았다. 311년, 흉노가 이끄는 한조의 반란군은 뤄양을 점령하고 파괴했는데, 이 사건은 영가의 난으로 알려져 있다.
3. 3. 위진 시대
후한 말, 십상시의 난 이후 권력을 장악한 동탁은 190년 반동탁 연합군의 공격을 피하고자 수도를 장안으로 옮기면서 뤄양에 불을 지르고 약탈하여 도시를 폐허로 만들었다.[44] 이 사건으로 인해 뤄양 시민들은 현재까지도 동탁에 대해 깊은 반감을 가지고 있다.
혼란 속에서 군벌 조조는 헌제를 허창으로 옮긴 후(196년) 잠시 뤄양 재건을 시도했으나, 본격적인 복구는 그의 아들 조비가 220년 위나라를 건국하고 뤄양을 다시 수도로 삼으면서 이루어졌다. 한나라 때는 화덕(火德) 사상에 따라 수(水)변이 있는 '뤄양(洛陽)' 대신 '낙양(雒陽)'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토덕(土德)을 내세운 위나라 때 다시 '뤄양'이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위나라 시대에 뤄양은 황궁이 새로 들어서고 많은 주민이 이주하면서 다시 번성하기 시작했다.
위를 계승한 서진 역시 뤄양을 수도로 삼았다. 서진 시대 뤄양은 인구가 60만 명에 달하는 등 크게 번영하여 당시 로마 다음가는 세계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번영은 오래가지 못했다. 4세기 초, 황족들 간의 내전인 팔왕의 난으로 국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오호 십육국 시대)이 본격화되면서 뤄양은 반복적인 공격에 시달렸다. 결국 311년, 흉노족이 세운 한조 군대가 뤄양을 함락하고 도시를 크게 파괴하는 영가의 난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서진은 사실상 멸망하고 수도로서 뤄양의 화려했던 시대는 막을 내렸으며, 이후 뤄양은 여러 세력이 각축을 벌이는 혼란의 중심지가 되었다.
3. 4. 남북조 시대
서진이 멸망한 후 4세기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 뤄양은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허난성 일대는 후조, 전연, 전진, 후연, 후진 등이 차례로 점령했다.
416년 겨울, 유송의 유송 무제는 북벌을 통해 후진으로부터 뤄양을 점령했으나, 422년 선비족이 세운 북위에게 도시를 빼앗겼다. 유송은 430년에 잠시 도시를 되찾기도 했지만, 460년대에는 결국 북위의 확고한 통제하에 놓이게 되었다.
439년 화북을 통일한 북위는 493년, 북위 효문제가 한화 정책의 일환으로 수도를 다퉁에서 뤄양으로 옮겼다. 이때 1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을 뤄양으로 이주시켰고,[17] 룽먼 석굴 건설을 시작했다.
그러나 북위 후기에는 하음의 변과 같은 정치적 혼란이 발생했다. 534년, 북위는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었고, 이 과정에서 동위의 실권자였던 군벌 고환이 뤄양을 점령하고 도시를 파괴했으며, 주민들을 자신의 수도인 예로 강제 이주시켰다.[18] 이후 뤄양은 538년부터 575년까지 서위(및 후계 왕조인 북주)와 동위(및 후계 왕조인 북제) 사이의 끊임없는 전쟁터가 되었다.
3. 5. 수당 시대
589년 수나라가 중국을 통일한 후, 수 양제 양광(楊廣)은 아버지 문제 양견(楊堅)이 수도로 삼았던 장안 대신 뤄양으로 수도를 옮기려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백성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무리하게 대규모 토목 공사를 강행하여 뤄양에 거대한 대수궁을 짓고 대운하를 건설했는데, 이는 수나라가 멸망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수나라가 멸망하고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면서 뤄양은 장안 다음가는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강남 지역의 풍부한 물자와 장안의 군사·정치적 역량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며 동도(東都)로 불렸고 크게 번영하였다. 이러한 번영은 남북조 시대부터 이어진 강남 개발과 수나라 때 건설된 대운하를 통해 화북의 정치권력이 강남의 생산력에 기반을 둘 수 있게 된 배경 위에서 이루어졌다.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 중 하나이기도 했다.
한편, 북위 시대인 493년부터 조성되기 시작한 룽먼 석굴은 당나라 시대까지 계속 만들어져 약 3만 점의 불상이 석굴 안에 조성되었다. 690년에는 측천무후가 당나라를 잠시 중단시키고 무주를 세워 뤄양을 신도(神都)로 개명하고 수도로 삼기도 했으나, 705년 당나라가 복원되면서 다시 뤄양이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그러나 당나라가 점차 쇠퇴하고 멸망하면서 위수 유역의 군사적, 경제적 중요성이 약화되었고, 강남의 생산물을 화북으로 운송하는 중심지로서의 기능은 뤄양보다 동쪽에 있는 개봉으로 점차 넘어가게 되었다. 오대십국 시대의 후당 왕조가 잠시 뤄양을 수도로 삼기도 했으나, 이후 뤄양은 점차 수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3. 6. 송나라 이후
당나라가 쇠퇴하고 멸망하면서 위수 유역의 군사적, 경제적 중요성이 약화되었고, 강남의 물자를 화북으로 옮기는 집적지로서의 역할은 동쪽의 개봉으로 넘어갔다. 이후 오대십국 시대를 거쳐 건국된 송나라에서는 개봉이 수도가 되면서 뤄양은 점차 그 중요성을 잃었다.
원나라 이후 정치 중심지가 몽골 고원 동쪽의 기마 군사력을 기반으로 한 베이징으로 이동하고, 이를 난징에 모인 강남의 경제력이 뒷받침하는 체제가 확립되면서 뤄양은 역사적인 수도로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중국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은 낮아졌으나, 허난성 지역의 주요 도시로서의 지위는 유지하였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는 허난부의 치소(治所)가 설치되었으며, 중화민국 성립 이후에는 뤄양 전구(專區)가 설치되었다. 1944년에는 대륙타통작전 중 일본군에게 점령당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인 1948년, 뤄양시는 현급시로 설치되어 뤄양 지구의 관할 아래에 놓였다. 이후 1956년에 지급시로서의 뤄양시가 성립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특히 중국의 제1차 5개년 계획 시기에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7개의 주요 산업 시설이 뤄양 젠시 구에 건설되면서 주요 중공업 중심지로 다시 부상했다. 여기에는 둥팡훙 트랙터 공장, 뤄양 광산 기계 공장, 뤄양 베어링 공장 등이 포함된다. 이후 제3전선 건설 기간에도 뤄양 유리 공장 등 여러 중공업 공장이 이전되거나 새로 설립되었다. 이러한 산업 발전은 뤄양의 인구 구성을 크게 변화시켜, 1949년 이후 뤄양 인구의 약 절반은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민이나 그 후손들로 채워졌다.
3. 7. 근현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는 허난부의 치소(治所)가 설치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이후에는 뤄양 전구(專區)가 설치되었다. 1944년에는 대륙타통작전으로 인해 일본군에게 점령당하는 시련을 겪었다.
1948년, 뤄양시는 현급시로 설치되어 뤄양 지구의 관할 하에 놓였다.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허난성의 '''뤄양 전구'''(洛阳专区)가 설치되었다. 초기에는 뤄양시, 뤄양현 등 1시 8현을 관할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는데, 1954년 뤄양시가 지급시로 승격되었으나 1958년 다시 현급시로 강등되었다가 1964년에 지급시 지위를 회복했다. 1969년에는 뤄양 전구가 '''뤄양 지구'''(洛阳地区)로 개칭되었다. 1986년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뤄양 지구가 폐지되고, 일부 현을 싼먼샤시나 핑딩산시로 이관하면서 현재의 지급시로서의 뤄양시의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졌다.
주요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아래 표와 같다.
날짜 | 내용 | 관할 구역 수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뤄양 전구 성립. 뤄양시・뤄양현・옌스현・멍진현・신안현・이양현・루양현・이촨현・쑹현 발족. | 1시 8현 |
1952년 4월 8일 | 산저우 전구의 산현・몐츠현・뤄닝현・루스현・롼촨현・링바오현・원샹현 편입. | 1시 15현 |
1954년 4월 19일 | 뤄양시가 지급시 뤄양시로 승격, 전구에서 분리. | 15현 (뤄양 전구 기준) |
1954년 6월 21일 | 원샹현이 링바오현에 편입. | 14현 (뤄양 전구 기준) |
1954년 9월 4일 | 쉬창 전구 린루현 편입. | 15현 (뤄양 전구 기준) |
1955년 11월 7일 | 뤄양현 폐지, 멍진현・옌스현・이양현으로 분할 편입. | 14현 (뤄양 전구 기준) |
1957년 3월 26일 | 산현 일부 분리, 지급시 싼먼샤시 설치. | 14현 (뤄양 전구 기준) |
1958년 12월 8일 | 지급시 뤄양시・싼먼샤시를 뤄양 전구에 편입 (현급시로 강등). | 2시 14현 |
1959년 8월 21일 | 이양현(宜阳县)을 루양현(汝阳县)으로 개칭. | 2시 14현 |
1959년 10월 1일 | 산현 폐지, 싼먼샤시에 편입. | 2시 13현 |
1960년 8월 15일 | 롼촨현 폐지, 쑹현에 편입. | 2시 12현 |
1961년 10월 5일 | 쑹현 일부 분리, 롼촨현 재설치. | 2시 13현 |
1962년 3월 27일 | 싼먼샤시 일부 분리, 산현 재설치. | 2시 14현 |
1964년 4월 30일 | 뤄양시가 지급시 뤄양시로 재승격, 지구에서 분리. | 1시 14현 (뤄양 전구 기준) |
1969년 3월 15일 | 뤄양 전구가 뤄양 지구로 개칭. | 1시 14현 |
1970년 1월 27일 | 몐츠현 일부 분리, 이마 광구(义马矿区) 설치. | 1시 14현 1광구 |
1971년 11월 8일 | 멍진현이 뤄양시에 편입. | 1시 13현 1광구 (뤄양 지구 기준) |
1976년 11월 12일 | 뤄양시 멍진현을 뤄양 지구로 재편입. | 1시 14현 1광구 |
1981년 4월 4일 | 이마 광구가 현급시 이마시로 승격. | 2시 14현 |
1983년 9월 1일 | 신안현・옌스현・멍진현이 뤄양시에 편입. | 2시 11현 (뤄양 지구 기준) |
1986년 1월 18일 | 뤄양 지구 폐지. 싼먼샤시 지급시 승격 및 이마시・몐츠현・산현・링바오현・루스현 이관. 롼촨현・쑹현・루양현・이양현・이촨현・뤄닝현을 뤄양시에 편입. 린루현을 핑딩산시에 편입. | - (뤄양시 관할 구역 재편) |
2000년에는 뤄양시 교외에 위치한 룽먼 석굴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룽먼 석굴은 493년 북위가 뤄양으로 천도한 시기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당나라 중기까지 약 3만 점의 불상이 만들어진 중요한 불교 예술 유적이다. 또한 뤄양은 장안과 함께 2014년에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의 주요 구성 도시 중 하나이다.
4. 지리 및 기후
뤄양은 허난성 서부, 황하 중류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정저우, 남동쪽으로는 핑딩산시, 남쪽으로는 난양시, 서쪽으로는 싼먼샤시, 북쪽으로는 지위안시, 북동쪽으로는 자오쭤시와 접한다.
시 전체 면적 중 산지가 45.51%, 구릉이 40.73%, 평원이 13.8%를 차지한다.[31] 지형적으로 동쪽에는 후라오관, 서쪽에는 한구관, 북쪽에는 망산, 남쪽에는 푸뉴산이 있으며, 중악 쑹산도 인접해 있어 예로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여겨졌다. 시역 내로는 황하, 뤄허, 이허, 젠허, 찬허 등 여러 강이 흐른다. 구 시가지는 황하의 남쪽 지류인 뤄허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현대 도시 중심지는 뤄허 양쪽 강둑과 주변 산지를 포함한다. 북쪽 싼먼샤시에는 1960년 황하를 막아 건설된 싼먼샤 댐이 있다.
뤄양시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온대 하우 기후(Cwa)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겨울은 춥고 강수량이 적으며, 봄은 건조하고 바람이 많이 분다. 여름은 매우 덥고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며, 가을은 날씨가 맑고 일조 시간이 길다. 연평균 기온은 14.7°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601.6mm이다. 기록된 극한 기온은 -18.2°C부터 44.2°C까지이다.
5. 인구 및 주민
총 인구는 654만 명이고, 시내 각 구의 인구는 140만 명이다.
뤄양 시에는 32개의 민족들이 거주하며,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6. 행정 구역
뤄양시는 현재 7개의 시할구와 7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조정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개편 내용은 아래 표와 같다.
연도 | 주요 내용 |
---|---|
1949년 | 허난성 뤄양 전구(专区) 성립. 뤄양시(현급), 뤄양현 등 1시 8현 관할. |
1954년 | 뤄양시가 지급시로 승격하며 뤄양 전구에서 분리됨. |
1958년 | 뤄양시가 현급시로 강등되어 다시 뤄양 전구에 편입됨. |
1964년 | 뤄양시가 다시 지급시로 승격됨. |
1983년 | 뤄양 지구의 신안현, 옌스현, 멍진현을 뤄양시로 편입함. |
1986년 | 뤄양 지구가 폐지됨. 롼촨현, 쑹현, 루양현, 이양현, 이촨현, 뤄닝현이 뤄양시로 편입되어 6구 9현 체제가 됨. |
1993년 | 옌스현이 현급시인 옌스시로 승격함 (6구 1시 8현). |
2000년 | 뤄룽구가 신설됨. |
2021년 | 옌스시가 옌스구로 개편되고, 지리구와 멍진현이 통합되어 멍진구가 신설됨.[30] 이 개편으로 현재의 7구 7현 체제가 완성됨. |
2010년 중국 인구 조사 당시 뤄양시 전체 인구는 6,549,941명이었으며, 당시 5개의 주요 도시 지역 구(현재의 시궁구, 젠시구, 라오청구, 찬허 후이족구, 뤄룽구) 인구는 1,857,003명이었다. 2021년의 대대적인 행정 구역 개편은 정저우를 중심으로 한 대도시권 개발 계획의 일환으로, 뤄양을 부중심 도시로 육성하고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며 정저우와의 연계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되었다.[30]
6. 1. 시할구
뤄양시는 7개의 시할구와 7개의 현을 관할한다.뤄양시의 시할구는 다음과 같다.
2010년 중국 인구 조사 기준으로, 당시 5개 시가지 구(시궁, 젠시, 라오청, 찬허, 뤄룽)의 인구는 1,857,003명이었으며, 이는 허난성에서 4번째로 큰 규모였다. 뤄양시 전체 인구는 6,549,941명이었다.
2017년 정저우가 국가 중심 도시로 지정된 후, 2020년 허난성은 정저우 대도시권 개발 계획을 발표하며 뤄양을 부중심 도시로 개발할 것을 요구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뤄양의 도시 지역 확장을 위한 행정 구역 개편이 추진되었다. 이는 뤄양의 도시 계획 수립과 자원 및 기반 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에 뤄양과 정저우 사이에 위치했던 옌스, 지리, 멍진 지역을 통합하여 정저우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30]
2021년 3월 28일, 중국 중앙 정부는 뤄양시의 행정 구역 개편을 승인했다. 이 개편을 통해 기존의 현급시였던 옌스시가 시할구인 옌스구로 변경되었고, 지리구와 멍진현이 통합되어 새로운 멍진구가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뤄양의 도시 행정 구역 면적이 크게 확장되었다.[30] 과거 지리구는 현재 멍진구의 일부가 되었다.
6. 2. 현
뤄양시는 다음 7개의 현을 관할한다.- 신안 현新安縣|신안현중국어
- 이양 현宜陽縣|이양현중국어
- 이촨 현伊川縣|이촨현중국어
- 루양 현汝陽縣|루양현중국어
- 쑹 현嵩縣|쑹현중국어
- 뤄닝 현洛寧縣|뤄닝현중국어
- 롼촨 현欒川縣|롼촨현중국어
7. 문화
뤄양은 유교의 근본, 도교의 발상지, 불교가 중국에 처음 전파된 곳이며, 형이상학의 형성지이자 신유학의 기원이기도 하다. 다양한 문화 사상이 융합되고 공존했으며, 고대 중국의 4대 발명 중 나침반, 제지, 인쇄가 이곳에서 탄생했다. 또한, 뤄양은 전 세계 화교의 문화적 뿌리이자 조상 계보로 여겨지며, 1억 명이 넘는 객가인의 고향이고 중국 성씨의 70%가 이곳에서 기원했다. "하도낙서(河圖洛書)"로 대표되는 하락 문화는 중국 문명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39]
'''음악'''
"낙양춘"(洛阳春|뤄양춘zho)은 고대 중국의 곡으로, 고려 시대(918–1392)에 한국으로 전해져 인기를 얻었다. 현재도 한국화된 당악인 ''낙양춘''( 낙양춘kor )으로 연주되고 있다. 미국 작곡가 루 해리슨도 이 곡을 편곡한 바 있다.
'''방언'''
뤄양 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중원 관화의 일종인 뤄양 방언을 사용한다. 뤄양 방언은 동주 전국 시대부터 명나라 시대까지 중국어의 권위 방언으로 사용되었으나, 표준 중국어의 기반이 된 베이징 방언과는 차이가 있다.
'''우주'''
소행성 (239200) 2006 MD13은 뤄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1. 유적지
뤄양에는 오랜 역사만큼 다양한 시대의 중요한 유적이 남아 있으며, 그중 일부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세계 유산'''
- 룽먼 석굴: 북위 시대부터 당대에 걸쳐 조성된 중국의 대표적인 석굴 사원 중 하나이다. 뤄양시 남쪽 약 14km 지점의 룽먼산 서산에 위치하며, 3만여 점의 불상이 남아 있다. 2000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7]
- 대운하: 뤄양 구간의 후이뤄 창고(回洛倉)와 한자 창고(含嘉倉) 유적이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8]
- 실크로드: 한-위 시대 뤄양성 유적, 수-당 시대 뤄양성 딩딩문(定鼎門) 유적, 신안 한곡관 유적이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29]
'''주요 유적'''
- 백마사: 뤄양시 동쪽 약 12km 지점에 위치하며,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후 처음으로 세워진 사찰로 알려져 있다. '석원(釋源)', '조정(祖庭)'으로도 불린다.
- 관림묘: 삼국 시대 촉한의 명장 관우의 머리가 묻힌 곳으로 전해지는 사당이다. 룽먼 석굴 근처에 있다.
- 뤄양 박물관: 1958년 설립되었으며, 하, 상, 주 왕조 시대를 중심으로 한 고대 유물 1,700여 점을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37]
- 뤄양 고대 묘 박물관: 현대 도시 북쪽에 위치하며, 1987년 개관한 중국 유일의 고분 전문 박물관이다.
- 고성 천문대: 뤄양 시내에서 동남쪽으로 약 80km 떨어진 덩펑시에 위치한다. 원나라 시대인 1276년 곽수경이 하지와 동지를 관측하기 위해 세운 규표이다.[38]
'''시대별 도성 유적'''
- 이리터우 유적: 하나라 시기의 도성 유적으로 추정된다.
- 옌스 상 청 유적: 상나라 초기 도성 유적이다.
- 왕청 유적: 동주 시대의 도성 유적이다.
- 한위 뤄양성 유적: 후한과 조위 시대의 도성 유적이다. (세계 유산)
- 수당 뤄양성 유적: 수와 당나라 시대의 도성 유적이다. (세계 유산)
'''기타 유적지'''
- 백원: 룽먼산 동산에 있는 당나라 시인 백거이의 묘이다.
- 함가창: 수당 시대의 대형 곡식 창고 유적이다.
- 천진교: 수당 시대 뤄양성의 다리 유적이다.
- 망산: 뤄양 북쪽에 위치한 구릉으로, 역대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이 많다.
- 백운산
- 앵도구
- 화과산
- 계관동
- 풍혈사
- 황하 샤오랑디 댐
'''유적지 사진'''

7. 2. 뤄양 모란
뤄양은 도시의 꽃인 모란 재배로 유명하다. 1983년부터 매년 4월 중순에 뤄양에서는 모란 문화 축제를 개최한다. 2014년 축제 기간 동안 1,9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뤄양을 방문했다.[40]
7. 3. 음식
중국 요리 역사에서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연회 중 하나인 수석연(水席宴)은 8가지 찬 요리와 16가지 더운 요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다양한 국물, 소스 또는 즙으로 요리된다. 여기서 '물(水)'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모든 뜨거운 요리에 국물이나 탕과 같은 '물'이 들어간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각 요리가 마치 흐르는 물처럼 부드럽게 차례대로 나온다는 의미이다. 수석연은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단순함과 다재다능함을 갖추고 있으며, 시큼함, 매콤함, 달콤함, 짠맛 등 다양한 맛을 조화롭게 내어 편안하면서도 맛있는 것이 특징이다.8. 교육
구분 | 학교명 | 비고 |
---|---|---|
대학교 | 뤄양 이공학원 (洛阳理工学院) | |
대학교 | 허난 과학기술대학교 (河南科技大学) | |
대학교 | 뤄양 사범학원 (洛阳师范学院) | |
대학교 | 중국 인민해방군 외국어학원 (解放军洛阳外语学院) | 이전 뤄양 인민해방군 외국어학원 |
고등학교 | 뤄양 제1고급중학교 | 뤄양에서 역사가 가장 긴 중학교 중 하나이며, 허난성 중점 중학교이다. |
9. 교통
뤄양시는 고속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인근의 시안이나 정저우에서는 고속철도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장거리 버스 노선도 운행되지만 이동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항공'''
멍진현에 위치한 뤄양 베이자오 공항이 항공 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철도'''
- 일반 철도: 룽하이 철로가 지나는 뤄양 역이 주요 일반 열차 역이다. 자오쭤-류저우 철로의 관린 역(뤄양시 소재)은 남북 방향 열차 위주로 운행하며, 뤄양 역에 비해 운행 빈도가 낮다.
- 고속 철도: 뤄양 룽먼 역에서 정저우-시안 고속철도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 도시 철도 (지하철): 뤄양 궤도 교통은 2개의 노선으로 운영된다. 1호선은 2021년 3월 28일에,[41] 2호선은 2021년 12월 26일에 각각 개통되었다.
- 주요 역 목록:
역명 | 주요 노선 |
---|---|
뤄양역 | 룽하이 선 |
뤄양둥역 | 룽하이 선, 자오류 선 |
뤄양 룽먼역 | 정시 여객 전용선 |
'''도로'''
- 고속도로
노선 번호 | 노선명 | 중국 명칭 |
---|---|---|
G30 | 롄훠 고속도로 | 连霍高速公路 |
G36 | 닝뤄 고속도로 | 宁洛高速公路 |
G55 | 얼광 고속도로 | 二广高速公路 |
G1516 | 옌뤄 고속도로 | 盐洛高速公路 |
G3615 | 뤄루 고속도로 | 洛卢高速公路 |
S57 | 몐시 고속도로 | 渑淅高速公路 |
S88 | 정롼 고속도로 | 郑栾高速公路 |
S94 | 롼루 고속도로 | 栾卢高速公路 |
S95 | 지뤄 고속도로 | 济洛高速公路 |
S96 | 뤄롼 고속도로 | 洛栾高速公路 |
S97 | 신이 고속도로 | 莘伊高速公路 |
- 국도
노선 번호 | 노선명 | 중국 명칭 |
---|---|---|
G207 | 207번 국도 | 207国道 |
G208 | 208번 국도 | 208国道 |
G241 | 241번 국도 | 241国道 |
G310 | 310번 국도 | 310国道 |
G311 | 311번 국도 | 311国道 |
G343 | 343번 국도 | 343国道 |
G344 | 344번 국도 | 344国道 |
'''대중교통'''
뤄양 시내에는 30개 이상의 노선을 갖춘 버스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뤄양 트롤리 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택시 또한 도시 내에서 흔히 이용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10. 지역 교류
뤄양시는 대한민국, 미국, 일본, 프랑스, 불가리아 등 여러 나라의 도시들과 우호 및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10. 1. 우호 도시
국가 | 도시명 | 제휴 종류 | 제휴일 |
---|---|---|---|
대한민국 | 광주광역시 | ||
일본 | 오카야마시 | 자매 도시 | 1981년 4월 6일 |
프랑스 | 투르 | 자매 도시 | 1981년 4월 6일 |
일본 | 스카가와시 | 우호 도시 | 1993년 8월 |
대한민국 | 부여군 | 자매 도시 | 1996년 8월 13일 |
일본 | 가시하라시 | 우호 도시 | 2006년 2월 12일 |
미국 | 라크로스 | ||
불가리아 | 플로브디프 |
10. 2.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제휴 종류 | 제휴일 |
---|---|---|---|
오카야마시 | 일본 (오카야마현) | 자매 도시 | 1981년 4월 6일 |
투르 | 프랑스 | 자매 도시 | 1981년 4월 6일 |
스카가와시 | 일본 (후쿠시마현) | 우호 도시 | 1993년 8월 |
부여군 | 대한민국 | 자매 도시 | 1996년 8월 13일 |
가시하라시 | 일본 (나라현) | 우호 도시 | 2006년 2월 12일 |
라크로스 | 미국 (위스콘신주) | 자매 도시 | |
플로브디프 | 불가리아 | 자매 도시 |
11. 사건
참조
[1]
서적
《河南统计年鉴-2017》
http://www.ha.stats.[...]
中国统计出版社
2018-12-03
[2]
웹사이트
河南统计年鉴—2017
http://www.ha.stats.[...]
2018-12-03
[3]
웹사이트
China: Hénán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021-03-27
[4]
웹사이트
洛阳市2022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s://www.ly.gov.c[...]
2023-10-30
[5]
웹사이트
中经数据
https://wap.ceidata.[...]
2024-05-02
[6]
웹사이트
Far East Kingdoms
https://www.historyf[...]
2020-01-24
[7]
뉴스
China.org.cn
China.org.cn
2009
[8]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9]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서적
Fire over Luoyang: A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23–220 AD
Brill
2017
[11]
서적
Hill (2009)
[12]
서적
Hill (2009)
[13]
서적
Heavenly Numbers: Astronomy and Authority in Early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4-16
[14]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 - 900
Routledge
[15]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6]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 - 900
Routledge
[17]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300 - 900
Routledge
[18]
서적
Medieval Chinese Warfare
Routledge
[19]
서적
China: Its Environment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20-10-18
[20]
서적
The Magic Square: Cities in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Edition Axel Menges
2020-10-18
[21]
문서
《资治通鉴·唐纪·唐纪二十》
[22]
서적
Abramson (2008)
[23]
논문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24]
논문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25]
논문
Negotiating Belonging: The Church of the East's Contested Identity in Tang China
https://utd-ir.tdl.o[...]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9-05
[26]
서적
Ethnic Identity in Tang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22-07-18
[27]
웹사이트
Longmen Grottoes
https://whc.unesco.o[...]
2019-12-26
[28]
웹사이트
The Grand Canal
https://whc.unesco.o[...]
2019-12-26
[29]
웹사이트
Silk Roads: The Routes Network of Chang'an-Tianshan Corridor
https://whc.unesco.o[...]
2019-12-26
[30]
뉴스
河南洛阳扩容,撤县设区还香吗?
https://news.sina.co[...]
2021-09-23
[31]
웹사이트
〈洛阳地理及气候概况〉
http://torchrelay.be[...]
2014-01-16
[32]
웹사이트
中国各地城市的历史最低气温
https://weibo.com/tt[...]
2024-09-15
[3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34]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8-12
[35]
웹사이트
洛阳 – 气象数据 –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2018-08-08
[36]
웹사이트
zh:气候资源数据库
http://www.data.ac.c[...]
2018-08-08
[37]
웹사이트
Luoyang Museum
http://www.chinacult[...]
[3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39]
웹사이트
基本概况
https://www.ly.gov.c[...]
2023-10-30
[40]
웹사이트
河南频道_凤凰网
http://hn.ifeng.com/
2023-10-30
[41]
뉴스
官宣!洛阳地铁1号线3月28日开通 中西部非省会城市第一个
http://news.lyd.com.[...]
2021-03-26
[42]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43]
웹사이트
河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44]
서적
후한서 제9권
후한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