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직자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직자성은 가톨릭 교회의 트리엔트 공의회 훈령 적용을 감독하기 위해 1564년 교황 비오 4세에 의해 설립된 교황청 성성이다. 공의회성성으로 시작하여 1967년 성직자성으로 개칭되었으며, 교구 사제 훈련 관련 업무를 제외한 권한을 대부분 상실했다. 2009년까지 서약 위반 성직자 지침 관리, 2012년부터 가톨릭 신학교 규제 업무를 담당했으며, 2013년 교리 교육 권한은 새 복음화 촉진 교황청으로 이관되었다. 2021년 8월부터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가 장관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청 심의회 - 신앙교리성
    신앙교리성은 가톨릭교회 내에서 신앙과 윤리 도덕에 대한 교리를 증진 및 보존하며, 신앙에 대한 위반, 윤리적 문제, 성사 집행과 관련된 범죄를 심리하는 교황청의 기관으로, 이단 심판을 담당했던 검사성성이 그 기원이다.
  • 교황청 심의회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성직자성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교황청 부서
이전 기관성직자성
공의회성
성직자성
관할해당 없음
본부팔라초 델레 콩그레가치오니, 피아자 피오 12세, 로마, 이탈리아
웹사이트성직자성 웹사이트
라틴어 명칭Congregatio pro Clericis
주요 인물
장관유흥식 라자로
비서안드레스 가브리엘 페라다 모레이라
차관시모네 레나
관련 이미지
[[성 베드로 광장]] 앞 피아자 피오 12세의 팔라초 델레 콩그레가치오니는 로마 교황청의 대부분 회중의 직장이다
성 베드로 광장 앞 피아자 피오 12세의 팔라초 델레 콩그레가치오니는 로마 교황청의 대부분 회중의 직장이다.
교황청 문장
교황청 문장

2. 역사

성직자성은 1564년 8월 2일 교황 비오 4세의 사도적 헌장 《Alias Nos》에 의해 ‘트리엔트공의회해석성성(Sacra Congregatio Cardinalium pro executione et interpretatione concilii Tridentini)’으로 설립되었다. 트리엔트공의회해석성성은 일반적으로 '''공의회성성'''(S. Congregatio de Concilii)으로 불렸다. 1588년 1월 22일 교황 식스토 5세의 사도적 헌장 《Immensa》에 의하여 트리엔트 공의회의 교회법 해석, 관련 문제에 대한 답변, 관구 공의회 감시 등의 역할로 확장되었다. 이후 교구 사제 훈련 관련 권한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권한을 상실했지만, 1967년 12월 31일 교황 바오로 6세의 사도적 헌장 《보편 교회의 통치(Regimini Ecclesiae Universae)》에 의해 성직자성으로 개칭되기 전까지 초창기 명칭을 유지했다.

2. 1. 교황청과의 관계 변화

교황 비오 4세의 사도적 헌장 ''Alias Nos''에 의해 1564년 8월 2일 성직자성이 처음 설립되었다. 당시 명칭은 트리엔트 공의회 해석 및 실행을 위한 추기경 성성(Sacra Congregatio Cardinalium pro executione et interpretatione concilii Tridentini interpretumla)으로, 트리엔트 공의회의 규율적 법령 준수를 감독하였다. 1587년 1월 22일, 교황 식스토 5세는 사도적 헌장 ''Immensa aeterni Dei''를 통해 성성의 기능을 확장하여 트리엔트 공의회 규범 해석, 관련 논쟁 해결, 지방 공의회 감시 임무를 부여했다. 이후 성성은 많은 권한을 상실하고 평신도 성직자 규율 관련 권한만 유지하다가, 1967년 12월 31일 교황 바오로 6세의 사도적 헌장 ''Regimini Ecclesiae Universae''에 의해 '성직자성'(Congregation for the Clergy)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09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성에 서약을 위반하고 성직자 신분을 유지한 성직자에 관한 지침 관리 책임을 부여했다. 2012년 1월 25일에는 가톨릭 신학교 규제 책임을 가톨릭 교육 성성에서 성성으로 이전했다.[1] 2013년 1월, 교황 자의 교서 ''Fides per doctrinam''을 통해 교리 교육 권한이 성직자성에서 새 복음화 촉진 교황청으로 이관되었다.

2019년 2월, 성성 장관 베냐미노 스텔라 추기경은 성성이 약 10년 동안 서약을 위반한 사제들의 사례를 관리한다고 밝혔다. 2020년 2월에는 자녀를 둔 사제들의 사례 관리를 위한 지침을 공개했다.[3] 2021년 6월 3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몬도비 주교 에지디오 미라골리에게 성성에 대한 검토를 지시했다.[4][5]

3. 역할과 임무

성직자성은 1564년 8월 2일 교황 비오 4세의 사도적 헌장 ''Alias Nos''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으며, 트리엔트 공의회의 규율적 법령이 가톨릭 교회 전체에 걸쳐 적절히 적용되고 준수되도록 감독하는 역할을 맡았다. 처음에는 '트리엔트 공의회 해석 및 실행을 위한 추기경 성성'으로 불렸으며, 일반적으로 '공의회 성성'으로 알려졌다.[2]

교황 식스토 5세는 1587년 1월 22일 사도적 헌장 ''Immensa aeterni Dei''를 통해 성성의 기능을 확장하여, 트리엔트 공의회의 규범을 해석하고 관련 논쟁을 해결하며 지방 공의회를 감시하는 임무를 부여했다. 이후 많은 권한을 상실하고 평신도 성직자 규율과 관련된 권한만 유지했지만, 1967년 12월 31일 교황 바오로 6세의 사도적 헌장 ''Regimini Ecclesiae Universae''에 의해 '성직자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009년까지,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성에 서약을 위반한 후 성직자 신분을 유지한 성직자에 관한 지침을 관리하는 책임을 부여했다. 2012년 1월 25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가톨릭 신학교를 규제하는 책임을 성성에 부여했다.[1] 2013년 1월, ''교황 자의 교서''인 ''Fides per doctrinam''은 교리 교육에 대한 권한을 성직자성에서 새 복음화 촉진 교황청으로 이관했다.

2019년 2월, 성성 장관인 베냐미노 스텔라 추기경은 성성이 약 10년 동안 서약을 위반한 사제들의 사례를 관리한다고 밝혔다. 2020년 2월, 성성은 자녀를 둔 사제들의 사례를 관리하기 위한 지침을 공개했다.[3]

4. 한국 천주교회와의 관계

이 섹션은 현재 비어있는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어야 하며, 하위 섹션에 이미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에 대한 내용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별도의 내용을 추가하지 않는다.

4. 1.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는 2021년 8월 2일부터 성직자성 장관을 맡고 있다.[6]

5. 역대 장관

알도브란디니1626년1627년우르바노 8세12파브리치오 베로스피1627년1639년우르바노 8세13

잠바티스타 팜필리1639년1644년우르바노 8세14프란체스코 체니니
데 살라만드리1644년1645년15
피에르 루이지 카라파1645년1655년인노첸시오 10세16
프란체스코 파올루치1657년1661년17
줄리오 체사레 사케티1661년1663년알렉산데르 7세18
안젤로 첼시1664년1671년알렉산데르 7세19
팔루초 팔루치 알티에리
데글리 알베르토니1671년1672년클레멘스 10세20
빈첸초 마리아 오르시니, O.P.1673년1675년클레멘스 10세21
페데리코 발데스키 콜론나1675년1691년클레멘스 10세22
갈레아초 마레스코티1692년1695년인노첸시오 12세23
주세페 사크리판테1696년1700년인노첸시오 12세24
반디노 판치아티치1700년1718년25
피에르 마르첼리노 코라디니1718년1721년클레멘스 11세26
쿠르치오 오리고1721년1737년27
안토니오 사베리오 젠틸리1737년1753년클레멘스 12세28
마리오 밀리니1753년1756년베네딕토 14세29
조반니 자코모 밀로1756년1757년베네딕토 14세30클레멘테 아르젠빌리에1757년1758년베네딕토 14세31
페르디난도 마리아 데 로시1759년1775년클레멘스 13세32
카를로 비토리오 아메데오
델레 란체1775년1784년33
굴리엘모 팔로타1785년1795년비오 6세34
토마소 안티치1795년1798년비오 6세35필리포 카란디니1800년1810년36
줄리오 가브리엘리1814년1820년비오 7세37
에마누엘레 데 그레고리오1820년1834년비오 7세38
빈첸초 마키1834년1841년그레고리오 16세39
파올로 폴리도리1841년1847년그레고리오 16세40
피에트로 오스티니1847년1849년비오 9세41
안젤로 마이1851년1853년비오 9세42
안토니오 마리아 카자노
데 아제베도1853년1860년비오 9세43
프로스페로 카테리니1860년1881년비오 9세44
로렌초 니나1881년1885년레오 13세45루이지 세라피니1885년1893년레오 13세46
안젤로 디 피에트로1893년1902년레오 13세47
빈첸초 바누텔리1902년1908년레오 13세48카시미로 제나리1908년1914년비오 10세49프란체스코 디 파올라 카세타1914년1919년50
도나토 라파엘레 스바레티1919년1930년베네딕토 15세51줄리오 세라피니1930년1938년비오 11세52
루이지 마글리오네1938년1939년비오 11세53
프란체스코 마르마기1939년1949년54
주세페 브루노1949년1954년비오 12세55
피에트로 치리아치1954년1966년비오 12세56
장마리 빌로1967년1969년57
존 조셉 라이트1969년1979년바오로 6세58
실비오 오디1979년1986년요한 바오로 2세59
안토니오 인노첸티1986년1991년요한 바오로 2세60
호세 토마스 산체스1991년1996년요한 바오로 2세61
다리오 카스트리욘 호요스1996년1998년요한 바오로 2세1998년2006년62
클라우디오 후메스2006년2010년베네딕토 16세63마우로 피아첸차2010년2013년베네딕토 16세64
베냐미노 스텔라2013년2021년프란치스코65유흥식 라자로2021년현재프란치스코


5. 1. 공의회성성 (1564-1967)

교황 비오 4세1564년 8월 2일 사도적 헌장 《Alias Nos》를 통해 '트리엔트공의회해석성성'(Sacra Congregatio Cardinalium pro executione et interpretatione concilii Tridentini)을 설립하였다. 이는 트리엔트 공의회의 훈령이 가톨릭교회 전역에 올바르게 적용되는지 감독하기 위함이었다. 이 성성은 보통 '''공의회성성'''(S. Congregatio de Concilii)으로 알려졌다. 1588년 1월 22일, 교황 식스토 5세는 사도적 헌장 《Immensa》를 통해 성직자성의 역할을 확장하여 트리엔트 공의회의 교회법 해석, 관련 질문에 대한 답변, 관구 공의회 감시 등을 담당하게 했다. 이후 성직자성은 교구 사제 훈련 관련 권한을 제외한 많은 권한을 상실했으나, 1967년 12월 31일 교황 바오로 6세가 사도적 헌장 《보편 교회의 통치》(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발표하기 전까지는 초창기 명칭을 유지했다. 이후 성직자성으로 개칭되었다.

5. 2. 성직자성 (1967-현재)

1967년 12월 31일 교황 바오로 6세는 사도적 헌장 《보편 교회의 통치》(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공표하여 성직자성을 재편하고,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하였다.[2]

성직자성의 역대 장관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장 마리 비요1967년 - 1969년
존 조셉 라이트1969년 - 1979년
실비오 오디1979년 - 1986년
안토니오 인노첸티1986년 - 1991년
호세 토마스 산체스1991년 - 1996년
다리오 카스트리욘 오요스 (장관 서리 1996년 - 1998년, 장관 1998년 - 2006년 10월 31일)1996년 - 2006년
클라우디오 우메스2006년 10월 31일 - 2010년 10월 7일
마우로 피아첸차2010년 10월 7일 - 2013년
베니아미노 스텔라2013년 - 2021년
유흥식 라자로2021년 - 현재



2009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성직자성에 서약을 위반한 후에도 성직자 신분을 유지하려는 성직자에 관한 지침 관리 책임을 부여했다.[2] 2012년 1월 25일에는 가톨릭 교육 성성이 담당하던 가톨릭 신학교 규제 책임을 성직자성으로 이관했다.[1]

2013년 1월, 교황 자의 교서 ''Fides per doctrinam''에 따라 교리 교육 권한이 성직자성에서 새 복음화 촉진 교황청으로 이관되었다.

2019년 2월, 베냐미노 스텔라 추기경은 성직자성이 약 10년간 서약 위반 사제 사례를 관리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자녀를 경제적으로 지원하거나 사제를 전출시킨 후에도 성직자가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주교와 상급자들이 있어 유감스럽다"고 말했다.[2] 2020년 2월, 성직자성은 자녀를 둔 사제 사례 관리를 위한, 이전에는 비밀이었던 지침을 공개했다. 성직자성은 2019년에 요청 시 주교 회의에 지침을 제공할 의향을 밝혔다.[3]

2021년 6월 3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몬도비 주교 에지디오 미라골리에게 성직자성 검토를 지시했다. 이는 8월 장관 교체를 앞두고 이루어졌으며, 최소 6월 한 달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었다.[4][5]

2021년 8월 2일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가 성직자성 장관에 임명되었다.[6] 2021년 10월, 칠레 대주교 안드레스 가브리엘 페라다 모레이라가 성직자성 비서로 임명되었다.[7] 2022년 2월에는 시모네 레나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8][9]

참조

[1] 웹사이트 Benedict XVI: New motu proprios affect seminaries, catechesis https://web.archive.[...] Vatican Radio 2015-01-09
[2] 인터뷰 For children of priests, the good of the child comes first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19-02-27
[3] 뉴스 Vatican guidelines for children of priests are released https://www.thetable[...] The Tablet 2020-02-10
[4] 뉴스 Confirmado: El Papa ordena una visita a la Congregación para el Clero https://infovaticana[...] Info Vaticana 2021-06-07
[5] 뉴스 Una 'missione speciale' di Papa Francesco per il vescovo di Mondovì https://www.lastampa[...] 2021-06-07
[6] 웹사이트 S.E. Lazzaro You Heung-sik http://www.clerus.va[...] 2021-08-04
[7] 간행물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08.09.2021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1-09-08
[8] 뉴스 Congrégation pour le clergé: le p. Renna nommé sous-secrétaire https://fr.zenit.org[...] 2022-02-09
[9] 간행물 Resignations and Appointments, 09.02.2022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2-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