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식스토 5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스토 5세는 1585년부터 1590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교황령 내 무법과 부패를 척결하고 재정 개혁을 단행하여 교황청의 재정을 안정시켰다. 또한 로마의 도시 재건 사업을 추진하여 르네상스풍 도시를 바로크풍으로 변화시켰으며, 교회 제도 정비를 통해 교회 쇄신을 목표로 했다. 그는 가톨릭 개혁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업적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식스토 5세 - 교황 식스���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16세기 후반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프란치스코회 수사, 이단 심문관, 추기경을 거쳐 선출되었으며, 교황령 치안 강화, 로마 도시 계획 추진, 재정 개혁 시도, 외교적 개입 등의 활동을 했다.
  • 아스콜리피체노도 출신 - 교황 식스���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16세기 후반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프란치스코회 수사, 이단 심문관, 추기경을 거쳐 선출되었으며, 교황령 치안 강화, 로마 도시 계획 추진, 재정 개혁 시도, 외교적 개입 등의 활동을 했다.
  • 꼰벤투알 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교황 식스��� 5세
    교황 식스토 5세는 16세기 후반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프란치스코회 수사, 이단 심문관, 추기경을 거쳐 선출되었으며, 교황령 치안 강화, 로마 도시 계획 추진, 재정 개혁 시도, 외교적 개입 등의 활동을 했다.
교황 식스토 5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식스토 5세
본명펠리체 피에르젠틸레, 이후 펠리체 페레티
출생일1521년 12월 13일
출생지교황령 그로타ம்மare
사망일1590년 8월 27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종교가톨릭 교회
수도회콘벤투알 프란치스코회
이전 직책페르모의 주교 (1571–1577)
산타가타데고티의 주교 (1566–1571)
산 지롤라모 데이 크로아티의 추기경-사제 (1570–1585)
좌우명Aqua et panis, vita canis (물과 빵은 개의 삶이다)
문장
서명
교황
재임 시작1585년 4월 24일
재임 종료1590년 8월 27일
선임 교황그레고리오 13세
후임 교황우르바노 7세
성직
서품1547년
주교 서임1567년 1월 12일
주교 서임자안토니오 라우로
추기경 임명1570년 5월 17일
추기경 임명자비오 5세
스타일
경칭성하
공식 호칭성하
종교적 호칭거룩한 아버지
사후 호칭없음

2. 생애

펠리체 피에르젠틸레는 1521년 12월 13일 교황령 그로타마레(Grottammare)에서 프란체스코 피에르젠틸레와 마리아나 다 프론틸로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아버지는 우르비노 공작(Duke of Urbino)의 압제를 피해 그로타마레로 피신하여 정원사로 일했다. 펠리체는 1551년 페레티(Peretti)를 자신의 성으로 채택했고, 추기경이 된 후에는 "몬탈토 추기경(Cardinal Montalto)"으로 알려졌다.[4] 이후 몬탈토델레마르체의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에 입회하여 수사가 되었고, 곧 설교가와 변증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2. 1. 초기 생애

펠리체 페레티는 1521년 12월 13일 교황령 그로탐마레에서 아버지 피에르 젠틸레(페레토 페레티라고도 알려짐)와 어머니 마리안나 다 프론틸로 사이에서 태어났다.[27] 펠리체의 가정은 무척 가난했으며,[27] 아버지는 우르비노 공작의 압제를 피해 그로타마레로 피신하여 정원사로 일했다.

교황 식스토 5세의 문장


12세에 펠리체는 몬탈토델레마르체의 프란치스코회 수도원에 입회하여 수사가 되었고, 곧 설교가와 변증가로 두각을 나타냈다. 1547년 사제 서품을 받고 페르모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552년경 프란치스코회 총장이었던 로돌포 피오 다 카르피 추기경, 지슬리에리 추기경(훗날의 교황 비오 5세), 카라파 추기경(훗날의 교황 바오로 4세)의 눈에 띄어 출세가 보장되었다. 베네치아 공화국에 이단심문관으로 파견되었으나, 난폭하고 고압적인 태도로 분란을 일으켜 1560년 베네치아 정부가 소환을 요청했다.

1565년 우고 본콤파니 추기경이 이끄는 조사단에 합류, 바르톨로메 카란자 대주교의 이단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파견되었다. 이때 펠리체와 본콤파니 추기경은 크게 대립, 이후 오랫동안 적대 관계가 이어졌다.

2. 2. 수도회 경력

1547년 사제 서품을 받고 페르모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27] 1552년경 프란치스코회 총장이기도 하였던 로돌포 피오 다 카르피 추기경과 지슬리에리 추기경(훗날의 교황 비오 5세), 카라파 추기경(훗날의 교황 바오로 4세) 등의 눈에 띄어 출세를 보장받게 되었다.[23] 이단심문관 자격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에 파견되었으나, 지나치게 엄격하고 고압적인 태도로 인해 1560년 베네치아 공화국 정부의 요청으로 소환되었다.[23]

1565년 우고 본콤파니 추기경(훗날의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이 이끄는 조사단에 합류하여 스페인으로 파견되어 바르톨로메 카란자 대주교의 이단 혐의를 조사했다. 이때 펠리체와 본콤파니 추기경은 크게 대립했으며, 이후로도 두 사람의 적대적 관계는 오랫동안 이어졌다.[23]

2. 3. 추기경 시절

그레고리오 13세 교황 재위 기간(1572년 ~ 1585년) 동안, 몬탈토 추기경으로 불렸던 그는 강제로 은퇴 생활을 해야 했다. 그는 도메니코 폰타나가 에스퀼리노 언덕에 세운 자신의 저택 빌라 몬탈토(Villa Montalto)를 관리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5] 이 빌라는 고대 디오클레티아누스 목욕탕을 내려다보는 곳에 위치했다. 1단계 공사(1576년 ~ 1580년)가 끝난 후, 훗날 교황이 된 그는 1585년 ~ 1586년에 네 개의 새로운 거리를 만들기 위해 건물들을 철거하는 도시 재개발 사업을 진행했다. 이 빌라에는 두 개의 저택, 즉 "시스티나 궁전"(Palazzo Sistino) 또는 "테르미니 궁전"(Palazzo di Termini)과 "몬탈토 펠리체 소궁전"(Palazzetto Montalto e Felice)이 있었다.[5]

이러한 철거는 혼잡한 중세 도시의 혼잡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로마 시민들의 불만을 샀다. 이러한 불만은 피우스 9세 교황이 1863년에 개통한 로마 테르미니 역이 빌라 부지에 건설되기로 결정될 때까지 수세기 동안 지속되었다. 결국 빌라는 파괴될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몬탈토 추기경은 이 시기에 학문 연구에도 매달렸다. 그 결과물 중 하나가 암브로시오의 작품을 편집한 판본이었다.[23] 그는 훗날 교황이 된 후 예로니모의 불가타 성경 개정판 인쇄를 직접 감독했다.

3. 교황 선출

1585년 교황 선거

바티칸 박물관에 있는 식스토 5세의 초상화


펠리체 추기경은 콘클라베 과정에서 신중하게 처신하며 불필요한 오해를 피했다. 이러한 신중함은 1585년 4월 24일, 그가 새 교황으로 선출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는 자신과 같이 프란체스코회 수사였던 식스토 4세를 기리는 의미에서 식스토 5세를 교황명으로 선택했다.[23] 몇몇 추기경들은 그의 건강한 체력을 높이 평가했는데, 이는 오랜 교황 재위를 보장하는 것처럼 보였다.[23] 그의 교황 대관식은 1585년 5월 1일에 거행되었으며, 페르디난도 데 메디치 추기경이 대관식을 집전했다.

식스토 5세가 콘클라베에서 다른 추기경들의 표를 얻기 위해 일부러 노쇠함을 연기했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23] 오히려 그의 강건함이 장기간 교황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했다.

4. 교황으로서의 업적

식스토 5세는 악화된 교황청 재정을 재건하기 위해 일반 직무 판매, 대부 제도 창설, 신세 도입을 추진하여 흑자로 전환시켰다. 이러한 자금 조달 방식은 비판받았지만, 교황은 축적된 자금을 십자군이나 교황령 방위 등 긴급 상황에 대비한 군자금으로 확보하고 공공 건축에 투자했다. 5년이라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산 피에트로 대성당 돔 설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의 시스토 로지아 건설,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의 프레세페 예배당 건립, 퀴리날레, 라테라노 및 바티칸 교황궁전 개축, 오벨리스크 설치, 새로운 거리 건설, 로마 수도 복구 (펠릭스 수도 건설), 도로 및 다리 보수, 농업 및 산업 장려 등 많은 사업을 추진했다.[26] 콜로세움을 방직 공장과 주택 복합 시설로 전용하려 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실현되지 못했다.[26]

고대 건축물 취급이 부실했던 점은 비판받는다. 트라야누스의 기둥과 안토니우스의 기둥은 성 베드로상과 성 바울상의 받침대가 되었고, 카피톨리노 언덕의 미네르바 궁전은 그리스도교 도시 로마의 상징으로 개조되었다.[26]

교회 제도 정비도 중요한 업적이다. 추기경 정원을 70명으로 정하고, 수도회 수를 두 배로 늘려 직무와 사명을 분담했다. 예수회에 대해서는 냉담한 태도를 유지했다.[26]

바티칸에 인쇄소를 설치하고 불가타 역 성서 교정을 맡겼다. 성급했던 교황은 직접 성서 본문을 개정하여 "시스토 판" 불가타 성서를 발행했으나, 평판이 좋지 않아 사후에 재검토되었다. 로베르토 벨라르미노는 교황의 명예를 위해 1592년 완성된 개정판 성서에 두 교황의 이름을 붙여 『시스토-클레멘티노 판』이라고 명명했다.[26]

4. 1. 교황령 개혁

식스토 5세는 교황령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즉각적이고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그는 만연한 무법 행위에 대해 매우 엄격하게 대응했다. 수천 명의 도적들이 법의 심판을 받았고, 짧은 시간 안에 교황령은 다시 평온하고 안전해졌다.[23] 심지어 산탄젤로 성의 다리에는 시장에서 파는 멜론보다 더 많은 사람들의 머리가 말뚝에 박혀 있었다는 주장도 있을 정도였다.[6] 성직자수녀들 중에서도 정결 서약을 어긴 이들은 처형되었다.[7]

이후 식스토 5세는 재정 개혁에 착수했다. 그는 관직을 매매하고, 새로운 "몬티"를 설립했으며,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여 막대한 잉여금을 축적했다. 이 자금은 십자군 원정이나 교황청 방어와 같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식스토 5세는 자신의 재산을 자랑스러워했지만, 그 재산을 모은 방식은 재정적으로 건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부 세금은 파괴적인 결과를 낳았고, 유통되는 화폐량이 크게 줄어들어 고통을 초래하기도 했다.[23]

4. 2. 로마 도시 재건

식스토 5세는 로마를 르네상스 양식에서 바로크 양식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대규모 도시 계획을 추진했다. 그는 건축가 도메니코 폰타나를 등용하여 로마의 주요 대성당들을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들을 건설했다.[23] 또한, 콜로세움을 비단 생산 공장으로 재계획하고 노동자들을 위한 주거 시설을 마련하려는 구상도 했다.[8]

식스토 5세는 펠리체 수로교(아쿠아 펠리체)를 건설하여 물이 부족한 언덕 지역에 물을 공급하고, 27개의 새로운 분수를 설치했다.[23]

그는 성 베드로 대성전의 돔을 완공하고,[23]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 식스토 로지아(loggia)를 건설했으며,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에 프레세페(Praesepe) 경당을 건립했다.[23] 이 외에도 퀴리날레 궁전, 라테라노 궁전, 사도 궁전 등을 수리하고 증축했다.[23]

성 베드로 광장을 포함하여 로마 시내에 4개의 오벨리스크를 세우고,[23] 6개의 새로운 거리를 건설했으며, 포폴로 광장을 조성했다.

식스토 5세는 폰티노 습지 개간 사업을 통해 로마의 공기를 개선하고 농업 및 제조업 발전을 도모했다.[23] 그러나 이 사업은 그의 사후 중단되었다.[23]

식스토 5세는 고대 유물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도시 계획 및 기독교화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재로 활용했다.[23] 트라야누스 기념주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은 각각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 동상의 받침대로 사용되었고, 카피톨리노 언덕의 미네르바 상은 "기독교 로마"의 상징으로 변경되었다.[23] 또한,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셉티조늄(Septizodium)은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철거되었다.[23]

4. 3. 교회 행정

교황 식스토 5세는 교회 쇄신을 목표로 성직자들의 규율을 엄격하게 하고, 트리엔트 공의회의 정신이 전 교회에 두루 미치게 하였다. 1585년 12월 20일 칙서를 발표하여 모든 주교가 교황청을 방문하여 자신이 사목하는 교구의 업무를 보고하게 하였다(사도좌 정기방문 참조). 식스토 5세는 추기경의 숫자를 70명으로 제한하고 그들에 관한 규정을 정하였다.[23] 1588년에는 교황청에 15개의 심의회를 두어 추기경이 장관이 되어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23] 이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교황청 구조의 전신이 되었다.

식스토 5세는 자신이 소속되었던 프란치스코회를 편애하여 프란치스코회 출신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을 대거 공직에 임명하였다. 1589년 불가타 성경의 개정판을 출판하도록 하였는데, 이때 개정된 성경은 불가타 식스티나 성경(식스토판 불가타 성경)이라고도 부른다.

가톨릭교회의 이후 행정 시스템은 시스토 5세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추기경단을 70명으로 제한하고, 여러 성 회의의 수를 두 배로 늘리고 그 기능을 확대하여 1588년에 교무 처리에 있어 주요 역할을 맡겼다. 예수회를 불신하고 의심의 눈으로 바라보았으며, 예수회 헌장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고려했으나, 그의 계획은 죽음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23]

1588년, 식스토 5세는 교황 헌장 ''Immensa Aeterni Dei''에 따라 15개의 성 회의를 설립했다.[11]

4. 4. 외교 관계

식스토 5세는 오스만 제국 멸망과 이집트 정복, 그리스도의 거룩한 무덤을 이탈리아로 옮기는 등 야심 찬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당시 유럽의 정치 상황은 프로테스탄티즘 확산과 스페인의 펠리페 2세의 영향력 확대로 인해 식스토 5세에게 유리하지 않았다.

식스토 5세는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에게 내린 파문을 연장하고 펠리페 2세의 무적함대에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무적함대의 취약성을 알고 실제 상륙 전까지는 지원을 보류했다. 한편, 윌리엄 알렌 추기경에게 《잉글랜드의 귀족과 평신도에게 보내는 글》 초안 작성을 지시했는데, 이는 무적함대가 잉글랜드 침공에 성공하면 잉글랜드 전역에 반포될 예정이었다.

식스토 5세는 나바르의 앙리(훗날의 프랑스의 앙리 4세)를 파문하고 가톨릭 동맹에 참여했지만, 펠리페 2세와의 강요된 연합에 불편함을 느껴 제휴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았다. 앙리가 가톨릭교회로 회심할 조짐을 보이자 그와 제휴하고자 했으나, 앙리 측의 지나친 요구와 1590년 식스토 5세의 선종으로 협상은 결렬되었다.[23]

4. 5. 비토리아 아코람보니 사건

식스토 5세는 추기경 시절 자신의 조카 프란체스코 페레티가 암살당하자, 그 배후로 지목된 브라치아노 공작 파올로 조르다노 1세 오르시니와 그의 아내 비토리아 아코람보니에게 복수하고자 했다. 비토리아 아코람보니는 아름다운 외모와 교양으로 칭송받았으나, 프란체스코 페레티가 암살당한 후 파올로 조르다노 1세 오르시니와 재혼했다. 공작은 전 남편의 암살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았다.[23]

교황이 된 식스토 5세는 복수를 결심했고, 두려움을 느낀 공작 부부는 베네치아를 거쳐 살로로 도망쳤다. 1585년 11월 공작이 사망하고 그의 재산은 비토리아에게 상속되었다. 한 달 뒤, 파도바로 이주한 비토리아는 오르시니 가문의 루도비코 오르시니가 보낸 자객들에게 암살되었다.[23]

5. 평가

식스토 5세는 가톨릭 개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는 충동적이고 고집스러우며 전제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모험적이고 실험적인 발상에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큰 열정과 신념으로 자신의 일에 전념하여 성공을 거둔 긍정적인 면모도 있었다. “통치자는 일하다가 죽어야 한다.”라는 그의 말처럼, 그의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위대한 사업들과 업적들이 이루어졌다.[34]

식스토 5세는 파탄난 재정을 물려받았지만, 능숙하고 신중한 운영으로 교황청 금고에 이나 되는 막대한 금액을 남겨 놓았다.[34] 그는 만연하는 무법 상태에 대해 거의 잔혹할 정도의 심한 조치를 취했고, 수천 명의 산적들을 사법 처리하여 짧은 시간 안에 교황령을 다시 평온하고 안전하게 만들었다.[23] 심지어 산탄젤로 다리에는 시장에서 파는 멜론보다 더 많은 사람들의 머리가 말뚝에 박혀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6] 정결 서약을 어긴 성직자와 수녀들도 처형되었다.[7]

식스토 5세는 재정 개혁을 통해 막대한 잉여금을 축적하여 십자군 원정이나 교황청 방어와 같은 특정 비상 사태에 대비했다. 그러나 그가 재산을 모은 방법은 재정적으로 건전하지 못했으며, 일부 세금은 파괴적인 것으로 판명되었고, 유통에서 그렇게 많은 돈이 빠져나간 것은 고통을 초래할 수밖에 없었다.[23]

그는 막대한 자금을 공공 사업에 투입하여,[23] 새로운 수로인 아쿠아 펠리체(Acqua Felice)를 통해 물이 없는 언덕에 물을 공급하고, 27개의 새로운 분수에 물을 공급했다. 또한, 로마에 있는 주요 바실리카를 연결하는 새로운 도로를 건설하고, 엔지니어이자 건축가인 도메니코 폰타나에게 콜로세움을 재계획하여 누에치레 공장으로 만들고 그곳에 일꾼들을 수용하도록 했다.

식스토 5세의 도시 개혁은 르네상스 도시의 이상에 영감을 받아 "길고 곧은 거리, 넓고 규칙적인 공간, 구조물의 균일성과 반복성, 기념적이고 장식적인 요소의 과도한 사용"을 목표로 했다.[8] 그는 성 베드로 대성당 돔의 완공,[23] 라테라노 성 베드로 대성당의 식스토 5세 로지아, 산타 마리아 마조레의 프레세페 예배당, 퀴리날레 궁전, 라테라노 궁전, 바티칸 궁전의 증축 또는 보수, 로마의 오벨리스크 목록에 포함된 4개의 오벨리스크 건립(성 베드로 광장의 오벨리스크 포함), 6개의 거리 개설, 세베루스 황제의 수도교("아쿠아 펠리체") 복원,[23] 로마의 레오니나 도시를 14번째 리오네인 보르고로 통합[9]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폰티네 습지의 간척 사업에 자금을 지원하여 도시의 공기를 개선했다. 38.4km2 (9500acre) 이상이 간척되어 농업과 제조업에 개방되었지만, 그의 사후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식스토 5세는 고대 유물을 도시 계획 및 기독교화 프로그램에 사용될 원자재로 여겼다. 트라야누스 기둥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기둥(당시에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기둥으로 잘못 알려짐)은 성 베드로와 성 바오로의 동상을 위한 받침대 역할을 했고, 카피톨리노 언덕의 미네르바는 "기독교 로마"의 상징으로 바뀌었으며, 세베루스 황제의 셉티조늄은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위해 철거되었다.[23] 도시 전역의 공간 구성, 기념비적인 비문 및 복원 작업은 그의 권력을 암시하는 통제, 감시 및 권위를 강화했다.[10]

가톨릭교회의 이후 행정 시스템은 시스토 5세에게 많은 것을 빚졌다. 그는 추기경단을 70명으로 제한하고, 여러 성(聖) 회의 수를 두 배로 늘리고 그 기능을 확대하여, 1588년에 교무 처리에 있어 주요 역할을 맡겼다. 그는 예수회를 불신하고 의심했으며, 예수회 헌장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를 고려했으나, 그의 계획은 죽음으로 인해 실행되지 못했다.[23] 1588년, 그는 교황 헌장 ''임멘사 에테르니 데이''에 따라 15개의 성 회의를 설립했다.[11]

식스토 5세는 우발데스카 타치니를 시복(1587년)했고, 알칼라의 디다쿠스를 시성(1588년 7월 10일)했다.

식스토 5세는 피임과 낙태에 대한 가르침과 관련된 파문의 형벌을 확대했다. 1588년 교황은 "억제되지 않은"(Effraenatam)이라는 교황 칙서를 발표하여, 모든 형태의 피임과 태아 발달의 어떤 단계에서든 낙태에 대해 파문의 교회법적 형벌을 부과한다고 선언했다.[20] 그 이유는 태어나지 않은 아이의 영혼이 천국을 거부당할 것이기 때문이다.[21] 그는 또한 1586년 로마의 세속법에 구약 성서의 간음에 대한 형벌, 즉 사형을 도입하려고 시도했지만, 결국 실패했다.[22]

6. 사후

식스토 5세는 1590년 8월 27일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교황은 8월 24일 열병에 걸렸고, 다음 날 증세가 악화되었다.[23]

식스토 5세는 임종을 맞이할 당시 정치적 신하들에게 미움을 받았지만, 역사는 그를 가장 중요한 교황 중 한 명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는 충동적이고, 완고하며, 엄격하고, 독재적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반면 거대한 아이디어에 개방적이었고, 그의 사업에 활력과 결단력을 가지고 헌신하여 종종 성공을 거두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그의 재위 기간은 위대한 사업과 업적으로 가득했다.[23]

1590년 그가 죽기 전 5년 동안 약 5,000명의 산적이 식스토 5세에 의해 처형되었지만, 이탈리아 중부 전역에는 27,000명 이상이 자유롭게 활동하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24]

참조

[1] 웹사이트 Sixtus V. S.A. Bent, comp. 1887. Familiar Short Sayings of Great Men https://www.bartleby[...] 2022-02-15
[2] 서적 Lives of the Pope HarperCollins
[3] 권위 파일 인용 2009-08-20
[4]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17 May 1570 http://www.fiu.edu/~[...]
[5] 문서 "Termini" was the name given to that district, derived in turn from the ruins of the immense Baths of Diocletian (in Latin, thermae)
[6] 서적 History of the Popes
[7] 서적 Saints & Sinners : a History of the Popes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Public Lettering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학술지 Della trasportatione dell'obelisco Vaticano et delle fabriche di Nostro Signore Papa Sisto V, fatte dal caualier Domenico Fontana architetto di Sua Santita, In Roma, 1590 https://dx.doi.org/1[...] appresso Domenico Basa
[10] 학술지 Species of Espaces and other spurious concepts addressed to reading invisible features of signs within systems of relations
[11]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The Roman Curia https://cardinals.fi[...] 2021-10-11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in Greek. Additional Notes. CHAPTER VI. PRINTED TEXTS OF THE SEPTUAGINT. http://ftp.ccel.org/[...] 2019-11-03
[13]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Clarendon Press
[14] 웹사이트 Vulgate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www.internat[...] 2019-09-17
[15] 서적 A Dictionary of the Bible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16] 서적 A Plain Introduction to the Criticism of the New Testament George Bell & Sons
[17] 서적 The reformation of the Bible, the Bible of the Reformation Yale University Press
[18] 백과사전 Spanish Armada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9] 서적 Hero or Tyrant? Henry III, King of France, 1574-89 Routledge
[20] 웹사이트 http://faculty.cua.e[...]
[21] 웹사이트 Effraenatam in English http://iteadjmj.com/[...]
[22] 서적 Reformation: Europe's House Divided 1490–1700
[23] 백과사전 Sixtus EB1911
[24] 서적 A Companion to the World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5] 백과사전 Sixtus V pope https://www.britanni[...] 브리타니카 백과사전
[26] 서적 ルッカ一八三八年 古代ローマ円形闘技場遺構の再生 編集出版組織体アセテート
[27] 웹인용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17 May 1570 http://www.fiu.edu/~[...]
[28] 서적 Sisto V Papa piceno. Le testimonianze e i documenti autentici Maroni
[29] 서적 Special editions - Centre for Research Osijek, JAZU, Volumes 13–14 Centre for Research
[30] 서적 Znameniti Hrvati pri Svetoj Stolici--: sutvorci kršćanske civilizacije http://books.google.[...] Školska knj.
[31] 서적 Posebna izdanja, Volumes 25-27 http://books.google.[...]
[32] 서적 Boka http://books.google.[...] CID
[33] 서적 The Story of Civilation: Vol. VII
[34] 서적 Ibi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