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주최하는 쇼트트랙 대회로, 매년 전 세계 주니어 선수들이 참가하여 기량을 겨룬다. 1994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2021년 대회는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다. 역대 대회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은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강세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20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20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이정민, 김태성, 안현준, 김길리, 김건희 등이 금메달을 획득하고, 3000m 계주에서 대한민국과 네덜란드가 각각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02년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연맹 주관 쇼트트랙 대회로, 대한민국이 종합 우승,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김민지가 개인 종합 1위를 차지했으며, 500m, 1000m, 1500m, 2000m 계주 메달 합산으로 국가별 순위를 결정한다. - 쇼트트랙 대회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으로 1976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최고 권위의 대회로, 대한민국은 1980년대 중반부터 두각을 나타내 2000년대 이후 중국과 함께 쇼트트랙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 쇼트트랙 대회 - ISU 쇼트트랙 월드컵
ISU 쇼트트랙 월드컵은 국제빙상경기연맹 주관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국제 대회로, 남녀 개인전, 계주, 혼성 계주 종목을 통해 시즌 최종 종합 우승자를 결정하며, 대한민국은 쇼트트랙 강국으로서 많은 우승자를 배출했다.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16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6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500m, 1000m, 1500m, 계주, 종합 메달을 합산하여 순위를 정하는 대회이며, 남자부는 한톈위가, 여자부는 최민정이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2014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3월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린 국제 쇼트트랙 대회로, 남자부 안현수와 여자부 심석희가 종합 우승을 차지하고 대한민국이 여러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쇼트트랙 강국의 면모를 보였다.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쇼트트랙 |
주최 기관 | 국제빙상연맹 |
개최 주기 | 1년 |
첫 대회 | 1994년 |
최근 대회 | (정보 없음) |
다음 대회 | (정보 없음) |
2. 역대 대회
세계 주니어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는 1994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열리고 있다. 2021년 대회는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다.
2. 1. 역대 대회 목록
개최 횟수 | 개최 연도 | 개최지 | 세부 종목 |
---|---|---|---|
1 | 1994 | 서울 | 8 |
2 | 1995 | 캘거리 | 8 |
3 | 1996 | 쿠르마유르 | 11 |
4 | 1997 | 마켓 | 10 |
5 | 1998 | 세인트루이스 | 10 |
6 | 1999 | 몬트리올 | 10 |
7 | 2000 | 세케슈페헤르바르 | 10 |
8 | 2001 | 바르샤바 | 12 |
9 | 2002 | 춘천 | 12 |
10 | 2003 | 부다페스트 | 12 |
11 | 2004 | 베이징 | 12 |
12 | 2005 | 베오그라드 | 12 |
13 | 2006 | 미에르쿠레아 추크 | 12 |
14 | 2007 | 믈라다볼레슬라프 | 12 |
15 | 2008 | 볼차노 | 12 |
16 | 2009 | 셔브룩 | 12 |
17 | 2010 | 타이베이 | 12 |
18 | 2011 | 쿠르마유르 | 12 |
19 | 2012 | 멜버른 | 12 |
20 | 2013 | 바르샤바 | 12 |
21 | 2014 | 에르주룸 | 12 |
22 | 2015 | 오사카 | 12 |
23 | 2016 | 소피아 | 12 |
24 | 2017 | 인스브루크 | 12 |
25 | 2018 |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 | 12 |
26 | 2019 | 몬트리올 | 8 |
27 | 2020 | 보르미오 | 8 |
28 | 2022 | 그단스크 | 8 |
29 | 2023 | 드레스덴 | 8 |
30 | 2024 | 그단스크 | 9 |
테시가와라 이쿠에
2021년 대회는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다.
3. 역대 종합 우승자
1996 쿠르마유르 테시가와라 이쿠에 에린 포터 김문정
홍로사1997 마켓 원혜경
안상미 줄리 고스코비츠 1998 세인트루이스 주민진 김문정 크리스티나 부테바 1999 몬트리올 주민진 김문정 마르타 카푸르소 2000 세게드 마리-이브 드로렛 최민경 박혜림 2001 바르샤바 마리-이브 드로렛 고기현 최민경 2002 춘천 김민지 왕멍 조해리 2003 부다페스트 변천사 강윤미 김민지 2004 베이징 강윤미 정은주 허희빈 2005 베오그라드 박선영 전지수 칼리나 로베르주 2006 미에르쿠레아 추크 정은주 최정원 저우양 2007 믈라다볼레슬라프 양신영 신새봄 박승희 2008 볼차노 노아름 이은별 장치차오 2009 셔브룩 노아름 이은별 이미연 2010 타이페이 최지현 이미연 송재원 2011 쿠르마유르 천희정 안세정 마티나 발체피나 2012 멜버른 심석희 황현선 안세정 2013 바르샤바 노도희 김아랑 한위퉁 2014 에르주룸 노도희 안세정 최민정 2015 오사카 공상정 김지유 손하경 2016 소피아 취춘위 수잔 슐팅 이유빈 2017 인스브루크 이유빈 서휘민 소피아 프로스비르노바 2018 토마슈프 마조비에츠키 김지유 코트니 리 사로 마미 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