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에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으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월드컵, 월드 그랑프리, 네이션스리그, 유러피언 게임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17년과 2021년에는 선수들의 인종차별적 제스처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며, 2006년 세르비아 독립 이후 현재의 팀으로 이어져 UEFA 여자 유로 예선에서 성과를 거두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에는 진출하지 못했고, 2024년 8월 기준 FIFA 랭킹 34위이다.
  • 세르비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팀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 올림픽 메달과 세계 선수권 준우승을 기록했고, 세르비아 단독팀으로 재편 후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세르비아의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배구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배구 국가대표팀은 1924년 배구 도입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절을 거쳐 현재까지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올림픽 금메달 1회, 세계 선수권 은메달 1회 등을 획득했고, 주요 선수로는 니콜라 그르비치 등이 있다.
  • 세르비아의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핸드볼 국가대표팀
    세르비아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세르비아를 대표하는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등에 참가하며 드라간 슈르비치가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성별여자
협회세르비아 배구 연맹
연맹유럽 배구 연맹
웹사이트세르비아 배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감독조반니 구이데티
올림픽
올림픽 출전 횟수5회
올림픽 첫 출전2008년
올림픽 최고 성적[[파일:Silver medal.svg|16px]] 2016년 은메달
세계 선수권
세계 선수권 출전 횟수5회
세계 선수권 첫 출전1978년
세계 선수권 최고 성적[[파일:World1.svg|16px]] 2018년, 2022년 금메달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4회
월드컵 첫 출전2007년
월드컵 최고 성적[[파일:Simple silver cup.svg|16px]] 2015년 은메달
유럽 선수권
유럽 선수권 출전 횟수9회
유럽 선수권 첫 출전2003년
유럽 선수권 최고 성적[[파일:Gold_medal_europe.svg|16px]] 2011년, 2017년, 2019년 금메달
메달
올림픽금: 0, 은: 1, 동: 1
세계 선수권금: 2, 은: 0, 동: 1
월드컵금: 0, 은: 1, 동: 0
월드 그랑프리금: 0, 은: 0, 동: 3
유럽 선수권금: 3, 은: 3, 동: 2
네이션스 리그금: 0, 은: 0, 동: 1
유럽 리그금: 3, 은: 0, 동: 1
주요 대회 메달 기록
하계 올림픽2016 리우데자네이루 은메달
2020 도쿄 동메달
세계 선수권2018 일본 금메달
2022 네덜란드/폴란드 금메달
2006 일본 동메달
월드컵2015 일본 은메달
월드 그랑프리2011 마카오 동메달
2013 삿포로 동메달
2017 난징 동메달
유럽 선수권2011 세르비아/이탈리아 금메달
2017 아제르바이잔/조지아 금메달
2019 슬로바키아/헝가리/폴란드/터키 금메달
2007 벨기에/룩셈부르크 은메달
2021 세르비아/크로아티아/불가리아/루마니아 은메달
2023 벨기에/에스토니아/독일/이탈리아 은메달
1951 프랑스 동메달
2015 네덜란드/벨기에 동메달
네이션스 리그2022 앙카라 동메달
유러피언 게임2015 바쿠 동메달
유럽 리그2009 카이세리 금메달
2010 앙카라 금메달
2011 이스탄불 금메달
2012 카를로비바리 동메달
지중해 게임1975 알제 금메달
1979 스플리트 은메달
1983 카사블랑카 동메달
2022 오랑 동메달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1987 몽트뢰 은메달
1988 몽트뢰 동메달
아가타 므루즈-올셰프스카 기념 대회2024 미엘레츠 금메달
2010 카토비체 은메달
사바리아 컵2004 솜버트헤이 금메달
보리스 옐친 배구 컵2017 예카테린부르크 금메달
글로리아 컵2019 벨레크 금메달
발레다오스타 트로피2005 쿠르마외르 동메달
하계 유니버시아드2007 방콕 은메달
2009 베오그라드 은메달
기타 정보
FIVB 랭킹4위 (2024년 3월 기준)

2. 대회 성적

''2022년 10월 16일 기준.''

대회
합계
올림픽 배구0112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2013
유럽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3216
FIVB 여자 배구 월드컵0101
FIVB 배구 월드그랑프리0033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0011
합계54716


2. 1. 올림픽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92년, 1996년, 2000년, 2004년 하계 올림픽에는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5위를 기록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조별 라운드에서 11위에 머물렀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결승전에 진출하여 은메달을 획득했고,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하여 7위를 기록했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세트승리세트패배
1992년출전 정지
1996년출전 자격 획득 실패
2000년
2004년
2008년8강전5위624613
2012년조별 라운드11위505215
2016년결승전
15px
은메달
8531911
2020년동메달 결정전
15px
동메달
862196
2024년8강7위41369
합계출전 자격 획득: 5/93114175254


2. 2. 세계 선수권 대회

세르비아는 1994년 대회에는 예선 토너먼트 참가 자격이 없었고, 1998년과 2002년 대회에는 출전권을 획득하지 못했다. 2006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이후 2010년 대회에서는 8위, 2014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18년 대회와 2022년 대회에서는 연속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세계 선수권 대회 2연패를 달성했다.

연도라운드순위경기득세트실세트
1994년예선 토너먼트 참가 금지
1998년출전권 획득 실패
2002년
2006년동메달 결정전11923012
2010년2라운드8위11652018
2014년2라운드7위9631913
2018년결승전131123410
2022년결승전12120365
2025년진출
합계진출: 6/956441213958


2. 3. 유럽 선수권 대회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유고슬라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1951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한 이후, 1991년까지 유고슬라비아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시절에는 예선 토너먼트 참가 금지 및 미참가, 예선 탈락 등으로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

2003년 대회에서 9위를 기록하며 다시 본선 무대에 복귀했고, 2005년 대회에서는 7위를 차지했다. 2007년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09년 대회에서는 7위에 머물렀지만, 2011년 대회에서는 이탈리아와 세르비아에서 공동 개최된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첫 우승을 달성했다.

2013년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고, 2015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 대회와 2019년 대회에서는 연속으로 금메달을 획득하며 유럽 여자 배구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2021년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2023년 대회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6년 대회에는 이미 진출 자격을 얻었다.

세르비아는 총 12번의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하여 금메달 3회, 은메달 3회, 동메달 2회를 획득하며, 총 69경기에서 49승 20패, 세트 득실 161:87을 기록하고 있다.

연도라운드결과경기 수세트 득세트 실
1949 – 1991유고슬라비아의 일부
1993예선 토너먼트 참가 금지
1995예선 토너먼트 미참가
1997예선 탈락
1999예선 토너먼트 미참가
2001
2003예선 라운드9위514512
2005예선 라운드7위7341215
2007결승15px 준우승8531714
2009플레이오프 라운드7위633129
2011결승15px 금메달761198
2013준결승4위6331310
2015준결승15px 동메달651164
2017결승15px 금메달660182
2019결승15px 금메달990246
2021결승15px 준우승981257
2023결승15px 준우승981267
2026진출
합계진출: 12/3469492016187


2. 4. 월드컵

세르비아는 2007년 월드컵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1년 대회에서는 7위를 차지했다. 2015년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19년 대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세르비아의 월드컵 통산 성적은 44경기 26승 18패, 99세트 득, 69세트 실이다.

연도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세트 실
20075위11742615
20117위11562219
2015
15px
은메달
111013111
20199위11472024
합계출전: 4/74426189969


2. 5. 월드 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세르비아는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 처음 출전하여 동메달을 획득하였고, 2013년에도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7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중국을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2018년부터는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2022년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연도별 세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점세트 실점
1993~2010월드 그랑프리진출 실패
2011월드 그랑프리141043517
2012월드 그랑프리11위9361519
2013월드 그랑프리141043517
2014월드 그랑프리7위9451818
2015월드 그랑프리8위9361719
2016월드 그랑프리7위9541820
2017월드 그랑프리131033315
합계월드 그랑프리진출: 7/25774532171125
2018네이션스리그5위171254321
2019네이션스리그13위155102033
2020네이션스리그COVID-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음
2021네이션스리그13위154111936
2022네이션스리그151053425
2023네이션스리그9위12662727
2024네이션스리그12위12391629
합계네이션스리그진출: 6/6864046159171


2. 6. 기타 대회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2015년 유러피언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8경기에서 6승 2패, 22세트 득점, 11세트 실점을 기록했다.

여자 유러피언 리그에서는 2009년, 2010년, 2011년에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012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고, 2013년에는 5위를 기록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는 불참했고,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개최되지 않았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다시 불참했다. 유러피언 리그 통산 전적은 68경기 58승 10패, 183세트 득점, 59세트 실점이다.

대회순위경기 수세트 득점세트 실점
2015년 유러피언 게임8622211
2009년 유러피언 리그141223915
2010년 유러피언 리그14131407
2011년 유러피언 리그14140424
2012년 유러피언 리그141314010
2013년 유러피언 리그5위12662223


3. 팀

### 현재 명단

조반니 구이데티 감독이 이끄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2024년 하계 올림픽 로스터는 다음과 같다.[7][8]

No.이름생년월일신장체중스파이크블로킹포지션2022–23 소속 클럽
1비안카 부샤/Бианка Бушаsr1994년 7월 25일187cm74kg312cm300cm아웃사이드 히터 아라스 카르고 스포르 쿨루뷔
2카타리나 라조비치/Катарина Лазовићsr1999년 9월 12일182cm65kg310cm305cm아웃사이드 히터 갈라타사라이 다이킨
4보야나 드르차/Бојана Дрчаsr1988년 3월 28일186cm72kg300cm292cm세터 페네르바흐체 SK (여자 배구)
5미나 포포비치/Мина Поповићsr1994년 9월 16일187cm85kg315cm305cm미들 블로커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9알렉산드라 우젤라츠/Александра Узелацsr2004년 7월 27일188cm74kg315cm310cm아웃사이드 히터 제렌 스포르 쿨루뷔
10마야 오그네노비치/Маја Огњеновићsr1984년 8월 6일183cm67kg300cm293cm세터 및 주장 팔라볼로 스칸디치
11헤나 쿠르타기치/Хена Куртагићsr2004년 8월 27일195cm85kg320cm307cm미들 블로커 베로 볼리 밀라노
14마야 알렉시치/Маја Алексићsr1997년 6월 6일188cm72kg302cm290cm미들 블로커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15요바나 스테바노비치/Јована Стевановићsr1992년 6월 30일192cm72kg308cm295cm미들 블로커 에자즈바시 다이닛
17실비야 포포비치/Силвија Поповићsr1986년 3월 15일178cm65kg285cm265cm리베로 CSM 루고지
18티야나 보슈코비치/Тијана Бошковићsr1997년 3월 8일194cm78kg325cm317cm오포짓 에자즈바시 다이닛
19보야나 밀렌코비치/Бојана Миленковићsr1997년 3월 6일185cm70kg294cm288cm아웃사이드 히터 닐루페르 베레디예스포르
22사라 로조/Сара Лозоsr1997년 4월 29일186cm61kg310cm300cm아웃사이드 히터 사이타마 아게오 메디컬스



### 역대 감독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다르코 자코치 (1996년-2001년)
  • 조란 테르지치 (2002년-2022년)
  • 다니엘레 산타렐리 (2022년)
  • 조반니 구이데티 (2023년-2024년)


### 과거 명단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과거 여러 주요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주요 대회별 선수 명단이다.

  • 200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9위''': 산야 스타로비치, 스베틀라나 일리치, 마야 일리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베스나 토마셰비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알렉산드라 밀로사블레비치, 마야 시마니치, 미라 골루보비치, 이바나 크르지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5년 유럽 선수권 대회 — '''7위''': 산야 스타로비치, 마리나 부요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브리지트카 몰나르, 안야 스파소예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마야 시마니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알렉산드라 아브라모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3위''': 옐레나 니콜리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마야 시마니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옐레나 니콜리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이바나 이사일로비치, 마야 시마니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8년 올림픽 — '''5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수자나 체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브리지트카 몰나르, 산야 말라구르스키, 옐레나 니콜리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마야 시마니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 — '''7위''':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알렉산드라 페트로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8위''':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드라가나 마린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1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아나 라자레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아나 라자레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2년 올림픽 — '''11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산야 스타로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3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4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7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5년 FIVB 배구 여자 월드컵 — '''2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5년 유럽 선수권 대회 — '''3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6년 올림픽 — '''2위''': 비얀카 부샤,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7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비얀카 부샤, 산야 말라구르스키,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아나 안토니예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7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9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0년 올림픽 — '''3위''': 비얀카 부샤,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사라 카리치,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아나 벨리카,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요바나 코치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2년 FIVB 배구 여자 네이션스 리그 — '''3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사라 로조, 요바나 코치치, 산야 주르제비치. 코치: 다니엘레 산타렐리
  •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알렉산드라 예그디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사라 로조. 코치: 다니엘레 산타렐리
  • 202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알렉산드라 우젤라츠, 마야 오그네노비치, 헤나 쿠르타기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알렉산드라 예그디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사라 로조. 코치: 조반니 구이데티

3. 1. 현재 명단

조반니 구이데티 감독이 이끄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2024년 하계 올림픽 로스터는 다음과 같다.[7][8]

No.이름생년월일신장체중스파이크블로킹포지션2022–23 소속 클럽
1비안카 부샤/Бианка Бушаsr1994년 7월 25일187cm74kg312cm300cm아웃사이드 히터 아라스 카르고 스포르 쿨루뷔
2카타리나 라조비치/Катарина Лазовићsr1999년 9월 12일182cm65kg310cm305cm아웃사이드 히터 갈라타사라이 다이킨
4보야나 드르차/Бојана Дрчаsr1988년 3월 28일186cm72kg300cm292cm세터 페네르바흐체 SK (여자 배구)
5미나 포포비치/Мина Поповићsr1994년 9월 16일187cm85kg315cm305cm미들 블로커 로코모티프 칼리닌그라드
9알렉산드라 우젤라츠/Александра Узелацsr2004년 7월 27일188cm74kg315cm310cm아웃사이드 히터 제렌 스포르 쿨루뷔
10마야 오그네노비치/Маја Огњеновићsr1984년 8월 6일183cm67kg300cm293cm세터 및 주장 팔라볼로 스칸디치
11헤나 쿠르타기치/Хена Куртагићsr2004년 8월 27일195cm85kg320cm307cm미들 블로커 베로 볼리 밀라노
14마야 알렉시치/Маја Алексићsr1997년 6월 6일188cm72kg302cm290cm미들 블로커 이고르 고르곤졸라 노바라
15요바나 스테바노비치/Јована Стевановићsr1992년 6월 30일192cm72kg308cm295cm미들 블로커 에자즈바시 다이닛
17실비야 포포비치/Силвија Поповићsr1986년 3월 15일178cm65kg285cm265cm리베로 CSM 루고지
18티야나 보슈코비치/Тијана Бошковићsr1997년 3월 8일194cm78kg325cm317cm오포짓 에자즈바시 다이닛
19보야나 밀렌코비치/Бојана Миленковићsr1997년 3월 6일185cm70kg294cm288cm아웃사이드 히터 닐루페르 베레디예스포르
22사라 로조/Сара Лозоsr1997년 4월 29일186cm61kg310cm300cm아웃사이드 히터 사이타마 아게오 메디컬스



; 0S 세터


  • ---

; OH 아웃사이드 히터

  • 윙 스파이커
  • 에이스 어태커

; OP 오포짓

  • 유니버설
  • 슈퍼 에이스
  • ---

; MB 미들 블로커

  • ---

; 0L 리베로

  • ---

; 0R 리시버

3. 2. 역대 감독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 다르코 자코치 (1996년-2001년)
  • 조란 테르지치 (2002년-2022년)
  • 다니엘레 산타렐리 (2022년)
  • 조반니 구이데티 (2023년-2024년)

3. 3. 과거 명단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과거 여러 주요 대회에 참가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다음은 주요 대회별 선수 명단이다.

  • 200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9위''': 산야 스타로비치, 스베틀라나 일리치, 마야 일리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베스나 토마셰비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알렉산드라 밀로사블레비치, 마야 시마니치, 미라 골루보비치, 이바나 크르지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5년 유럽 선수권 대회 — '''7위''': 산야 스타로비치, 마리나 부요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브리지트카 몰나르, 안야 스파소예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마야 시마니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알렉산드라 아브라모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 '''3위''': 옐레나 니콜리치, 알렉산드라 란코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마야 시마니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7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옐레나 니콜리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이바나 이사일로비치, 마야 시마니치, 안야 스파소예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8년 올림픽 — '''5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수자나 체비치, 베스나 치타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브리지트카 몰나르, 산야 말라구르스키, 옐레나 니콜리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마야 시마니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09년 유럽 선수권 대회 — '''7위''':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알렉산드라 페트로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 — '''8위''':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드라가나 마린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1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아나 라자레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아나 라자레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아나 안토니예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2년 올림픽 — '''11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이바나 제리실로,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산야 스타로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3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4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산야 말라구르스키,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밀레나 라시치, 수자나 체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 — '''7위''':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5년 FIVB 배구 여자 월드컵 — '''2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5년 유럽 선수권 대회 — '''3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수자나 체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6년 올림픽 — '''2위''': 비얀카 부샤,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7년 FIVB 배구 월드 그랑프리 — '''3위''': 비얀카 부샤, 산야 말라구르스키,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아나 안토니예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7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미나 포포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보야나 지브코비치, 티야나 말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19년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0년 올림픽 — '''3위''': 비얀카 부샤,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1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사라 카리치,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아나 벨리카, 밀레나 라시치, 실비야 포포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요바나 코치치. 코치: 조란 테르지치.
  • 2022년 FIVB 배구 여자 네이션스 리그 — '''3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사라 로조, 요바나 코치치, 산야 주르제비치. 코치: 다니엘레 산타렐리
  •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슬라자나 미르코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알렉산드라 예그디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사라 로조. 코치: 다니엘레 산타렐리
  • 2023년 유럽 선수권 대회 — '''2위''': 비얀카 부샤, 카타리나 라조비치, 보야나 드르차, 미나 포포비치, 알렉산드라 우젤라츠, 마야 오그네노비치, 헤나 쿠르타기치, 테오도라 푸시치, 아나 벨리카, 마야 알렉시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알렉산드라 예그디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사라 로조. 코치: 조반니 구이데티

4. 논란 및 사건 사고

2017년 6월, 일본에서 개최된 2018년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결정한 여자 대표팀 선수들의 단체 사진에서, 선수 전원이 손가락으로 자신의 눈을 찢는, 아시아계 사람들에 대한 차별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취했으며, 국제 배구 연맹(FIVB)의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되었다고 USA TODAY가 보도했다. FIVB는 "문화적 배려가 부족했다"며 문제의 사진을 삭제했지만, 비난은 확대되었고 사진을 게재한 FIVB는 해명에 몰두했다. 하지만 세르비아 배구 연맹과 당사자인 여자 대표팀 선수들은 해명이나 코멘트를 내놓지 않았다. 일본 배구 협회(JVA)는 "보도를 통해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코멘트할 입장이 아니다"라며 사태를 관망하는 입장을 보였다. 지식인들 중에는 FIVB의 시대착오적인 조직 구조를 지적하는 의견도 있다.

2021년 6월, 2021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 세르비아 대 태국의 경기에서, 사냐 주르제비치가 손가락으로 자신의 눈을 찢는, 아시아계 사람들에 대한 차별에 해당하는 제스처를 취하는 장면이 있어, 온라인 시청자들의 분노를 샀다. 주르제비치는 이를 "단순한 오해"라고 해명하며 사과했다. 세르비아 배구 연맹도 사과했으며, "본인도 경기 후 즉시 태국 선수들에게 사과했으니 과장되게 다루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FIVB는 징계에 대해 발표, 주르제비치는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받았고, 세르비아 배구 연맹은 20,000 스위스 프랑(약 240만 엔)의 제재금을 부과받았다.

주르제비치는 Instagram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하기 전에 두 개의 게시물을 올렸는데,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경기 직후 태국 팀 전체에 사과했다고 밝히며, 태국 선수들과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는 사진도 게재했다. 문제가 된 제스처는 "우리도 태국과 같은 수비를 하자"라고 팀 전체에 전달하고 싶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4. 1. 2017년 인종차별 논란

2017년 6월, 일본에서 개최된 2018년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결정한 후, 선수단 전체가 손가락으로 눈을 찢는, 아시아계 사람들에 대한 차별 제스처를 취한 사진이 국제 배구 연맹(FIVB)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논란이 되었다. FIVB는 "문화적 배려가 부족했다"며 사진을 삭제했지만, 비난은 확산되었다. 세르비아 배구 연맹과 선수들은 해명이나 코멘트를 내놓지 않았고, 일본 배구 협회(JVA)는 "코멘트할 입장이 아니다"라며 사태를 관망했다.

2021년 6월, 2021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 세르비아 대 태국 경기에서 사냐 주르제비치가 유사한 제스처를 취해 다시 논란이 되었다. 주르제비치는 "단순한 오해"라고 해명하며 사과했고, 세르비아 배구 연맹도 사과했다. FIVB는 주르제비치에게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세르비아 배구 연맹에는 20,000 스위스 프랑(약 240만 엔)의 제재금을 부과했다. 주르제비치는 자신의 과오를 인정하고 태국 팀에 사과했다고 밝혔으며, 문제가 된 제스처는 "우리도 태국과 같은 수비를 하자"라는 의도였다고 해명했다.

4. 2. 2021년 인종차별 논란

2021년 6월, 2021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 리그 태국과의 경기에서 사냐 주르제비치 선수가 눈을 찢는 제스처를 취해 온라인 상에서 비난을 받았다. 주르제비치는 "단순한 오해"라고 해명하고, 경기 직후 태국 팀 전체에 사과했다고 밝혔다. 세르비아 배구 연맹도 사과하며 "본인도 경기 후 즉시 태국 선수들에게 사과했으니 과장되게 다루지 않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FIVB는 주르제비치에게 2경기 출장 정지 처분을 내렸고, 세르비아 배구 연맹은 20,000 스위스 프랑(약 240만 엔)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에 앞서 2017년 6월, 일본에서 개최된 2018년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출전을 결정한 여자 대표팀 선수들이 단체 사진에서 전원이 눈을 찢는 제스처를 취한 사진이 국제 배구 연맹(FIVB)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USA TODAY가 보도했다. FIVB는 "문화적 배려가 부족했다"며 사진을 삭제했지만, 비난이 거세지자 해명에 나섰다. 그러나 세르비아 배구 연맹과 선수들은 해명이나 코멘트를 내놓지 않았고, 일본 배구 협회(JVA)는 사태를 관망하는 입장을 보였다.

5. 역대 대표 선수

마야 알렉시치, 아나 안토니예비치, 이바나 이사일로비치, 마야 오그네노비치, 나타샤 크르스마노비치, 밀라 골보비치, 이바나 젤리실로, 보야나 돌차, 베스나 듀리시치, 사냐 듀르제비치, 사냐 스타로비치, 요바나 스테바노비치, 아냐 스파소예비치, 수자나 체비치, 옐레나 니콜리치, 나자 닌코비치, 이바나 네쇼비치, 아나 비엘리차, 비앙카 부샤, 옐레나 블라고예비치, 요바나 브라코체비치, 요바나 베소비치, 스테파나 벨리코비치, 티야나 보스코비치, 실비야 포포비치, 미나 포포비치, 야스나 마이스토로비치, 사냐 마라구르스키, 드라가나 린코비치, 티야나 마레세비치, 브란키차 미하일로비치, 슬라자나 밀코비치, 보야나 밀렌코비치, 브리지트카 몰나르, 밀레나 라시치, 카타리나 라조비치, 다니차 라덴코비치, 알렉산드라 우제라츠, 헤나 크루타기치등이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

6. 키트 공급업체 및 후원사

wikitext

기간키트 공급업체
2000–아식스
2017–피크 스포츠



포슈탄스카 슈테디오니차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후원사 중 하나이다.[9]

6. 1. 키트 공급업체

아래 표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키트 공급업체 역사를 보여준다.

기간키트 공급업체
2000–아식스
2017–피크 스포츠


6. 2. 후원사

포슈탄스카 슈테디오니차는 세르비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후원사 중 하나이다.[9]

참조

[1] 웹사이트 Srbija ima novog selektora https://www.b92.net/[...] 2022-12-27
[2] 웹사이트 Overview - Serbia - FIVB Volleyball Women's World Championship Japan 2018 http://japan2018.fiv[...]
[3] 웹사이트 Serbia | InsideCEV https://inside.cev.e[...]
[4] 웹사이트 Overview - Serbia - FIVB Volleyball Women's World Championship Japan 2018 http://japan2018.fiv[...]
[5] 웹사이트 Serbia | InsideCEV https://inside.cev.e[...]
[6] 웹사이트 Ивана Шпановић и Новак Ђоковић најбољи спортисти Србије у избору ОКС-а https://www.politika[...]
[7] 웹사이트 Gvideti prijavio trenutni, ali ne i definitivni sastav za Olimpijske igre! https://www.ossrb.or[...] Volleyball Federation of Serbia 2024-07-08
[8] 웹사이트 Team roster: Serbia https://olympics.com[...] Olympics.com 2024-07-26
[9] 웹사이트 POTPISAN ANEKS UGOVORA O SARADNJI Podrška Banke Poštanska štedionica organizaciji EP 2021 https://sport.blic.r[...]
[10] 웹사이트 FIVB Women’s Volleyball World Ranking https://en.volleybal[...] 2024-03-03
[11] 웹사이트 Confédération Européenne de Volleyball (CEV) http://www.fivb.org/[...] FIVB 2010-08-05
[12] 웹사이트 Women's Volleyball - Preliminary Round http://www.london201[...] 2012-08-16
[13] 뉴스 Serbia volleyball player banned over racist eye gesture https://www.bbc.com/[...] BBC 2021-06-09
[14] 뉴스 タイ戦で「つり目」のしぐさ、セルビア人バレーボール選手に出場停止処分 https://www.cnn.co.j[...] CNN 2021-06-10
[15] 웹사이트 FIVB Disciplinary Panel Sub-Committee issues decision on Serbia women's national team player https://en.volleybal[...] FIVB 2021-06-08
[16] 뉴스 Volleyball Player Said She Meant No ‘Disrespect’ With Racist Gesture https://www.vice.com[...] ヴァイス・メディア 2021-06-02
[17] 문서 セルビアバレーボール連盟 https://www.ossrb.or[...]
[18] 문서 日本放送協会 https://sports.nhk.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