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9년 지중해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9년 지중해 게임은 유고슬라비아 스플리트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스플리트 지역 스포츠 연맹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원을 받아 1979년 대회로 연기되었다. 총 26개 종목에서 14개국이 참가했으며, 유고슬라비아가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대회 준비 및 조직은 범유고슬라비아 행사로 진행되었으며, 외교적 활동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87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유고슬라비아 자그레브에서 개최된 국제 대학 스포츠 대회로,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진행되었고 다람쥐 "자기"가 마스코트로 사용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은메달 1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1979년 지중해 게임
대회 개요
정식 명칭제8회 지중해 게임 스플리트 1979
1979년 지중해 게임 로고
1979년 지중해 게임 로고
개최 도시스플리트, 유고슬라비아
참가 국가14개국
참가 선수2,408명
종목 수26개
세부 종목 수192개
개막일1979년 9월 15일
폐막일1979년 9월 29일
개회 선언요시프 브로즈 티토
주경기장스타디온 폴류드
이전 대회알제 1975
다음 대회카사블랑카 1983

2. 대회 유치 과정

(내용 없음)

2. 1. 초기 제안 및 경쟁

스플리트에서 지중해 게임을 개최하자는 제안은 1969년 3월 현지 스포츠 연맹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1] 이후 자그레브베오그라드에 있는 국가 스포츠 기구들과의 회의 및 협상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스플리트는 더 강한 스포츠 전통을 바탕으로 리에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며 유치 자격을 얻었다.[1]

그러나 1975년 지중해 게임알제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는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요시프 브로즈 티토 대통령이 아프리카 스포츠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알제 개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기 때문이다.[1] 티토의 지원을 받은 스플리트의 유치 시도는 1979년 게임으로 연기되었고,[1] 1975년에 스플리트의 개최 후보 자격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1]

2. 2. 유치 확정 및 준비

스플리트에서 지중해 게임을 개최하자는 제안은 1969년 3월 현지 스포츠 연맹에서 처음 나왔다.[1] 이후 자그레브베오그라드의 국가 스포츠 기구와 여러 차례 회의 및 협상을 거쳤다. 스플리트는 더 탄탄한 스포츠 기반을 바탕으로 리에카를 제치고 유치 자격을 얻었다.[1]

그러나 1975년 지중해 게임알제에서 열리게 되었고, 스플리트의 유치는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원 아래 1979년으로 미뤄졌다.[1] 티토 대통령은 아프리카 스포츠 발전을 돕기 위해 알제에서 대회를 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1]

스플리트에서의 대회 개최는 1975년에 공식적으로 확정되었으며, 이후 폴류드 경기장 건설을 비롯해 스플리트와 인근 도시에 추가 경기장을 짓는 등 본격적인 대회 준비가 시작되었다.[1]

3. 대회 준비 및 조직

1979년 지중해 게임은 개최 도시인 스플리트가 모든 재정적 부담을 지기 어려웠기 때문에, 유고슬라비아 전체의 행사로 준비되었다.[1] 이를 위해 연방 행정 위원회 주도로 대회 준비 위원회가 설립되어 운영되었으며,[2] 이 과정에서 유고슬라비아 내 공화국 및 자치주 간의 협력과 더불어 지중해 국가 간의 외교적 노력도 함께 이루어졌다.[3]

3. 1. 재정 및 조직

폴류드 경기장 (2024년 사진)


개최 도시인 스플리트가 대회 개최에 필요한 모든 재정적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이 대회는 범유고슬라비아 차원의 행사로 추진되었다. 필요한 자금은 유고슬라비아 내 공화국과 자치주 간의 연대와 협력을 통해 마련되었다.[1] 연방 행정 위원회는 대회 준비를 총괄하기 위해 제8회 지중해 게임 위원회를 설립했다.[2] 위원회에는 스타네 돌란츠를 비롯하여 정치, 스포츠, 경제계의 주요 인사들이 부회장 및 위원으로 참여했다.[2] 돌란츠는 당시 지중해 국가들 사이에 존재하던 문제점들을 인정하면서도, 이번 대회가 이러한 문제들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해결해 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3]

3. 2. 외교적 노력

제8회 지중해 게임 위원회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던 스타네 돌란츠는 당시 지중해 국가들 사이에 존재하던 여러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 대회가 국가 간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3] 실제로 이 대회는 외교 활동을 촉진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알제리의 라바 비타트는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제6차 비동맹 운동 정상 회담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으며, 말리 공화국의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가 유고슬라비아를 공식 방문하기도 했다.[3]

4. 경기 종목

총 192개의 세부 종목이 채택되었으며, 경기 종목 목록과 각 종목별 세부 메달 수는 다음과 같다.

5. 참가국

제8회 지중해 게임에는 총 14개 국가가 참가했다.

다음은 1979년 지중해 게임에 참가한 국가와 선수단 규모이다.


6.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유고슬라비아563833127
2프랑스554034129
3이탈리아496347159
4스페인16203268
5그리스7101330
6튀르키예551424
7이집트391022
8알제리151016
9튀니지12912
10레바논1102
11시리아1001
12모로코0235
합계195195205595


7. 미디어 보도

''Mediteranpress''는 본래 대회 준비 상황을 알리기 위한 월간 간행물로 시작했으나, 1979년 초부터 주간 신문으로 변경되었다.[1] 이 신문은 베오그라드의 "Sport", 자그레브의 "Sportske novosti", 스플리트의 "Slobodna Dalmacija" 편집팀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유고슬라비아 뉴스 통신사인 탄유그를 통해 내용이 널리 배포되었다.[1] 대회 기간 동안 ''Mediteranpress''는 세르보크로아트어프랑스어로 매일 발행되는 공식 신문 역할을 했으며, 아랍어판도 제공되었다.[1] 주요 기사는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로 번역되어 해외에 배포되었다.[1]

참조

[1] 논문 Mediteranske igre u Splitu 1979. godine https://hrcak.srce.h[...] 2024-10-09
[2] 논문 Tajna akcija „Igre 79“: Mediteranske igre i jugoslavenske tajne službe https://hrcak.srce.h[...] 2024-10-09
[3] 논문 Mediteranske igre u Splitu – odrazi političke dimenzije u tiskanim medijima https://hrcak.srce.h[...] 2024-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