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갈리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미갈리아어는 리투아니아 북부와 라트비아 남부의 세미갈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 16세기까지 라트비아인에게 동화되어 소멸된 것으로 여겨지며, 16세기 이전의 문서와 텍스트를 통해서만 그 존재가 알려져 있다. 음운론적으로 쿠로니아어와 유사하며, 라트비아어와도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 공통 발트어의 /k/, /ɡ/ 자음은 세미갈리아어에서 /c/, /d͡z/로 변화하였고, 단어 끝의 장모음과 이중 모음은 단순 단모음으로 축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발트어군 -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라트비아어와 함께 현존하는 발트어족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에서 주로 사용되고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문법과 음운의 보수성으로 인도유럽조어 재구성에 기여했고, 역사적 어려움 속에서 리투아니아 독립 후 국가의 공식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 동발트어군 - 셀로니아어
셀로니아어는 셀로니아인이 사용했던 사멸된 언어로, 라트비아어의 셀로니아 방언과 리투아니아어의 아우크슈타이티안 방언에서 흔적이 발견되며, 13~15세기 리투아니아인에게 흡수되면서 소멸되었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세미갈리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세미갈리아어 |
다른 이름 | 젬갈리아어 |
사용 국가 |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
지역 | 북유럽 |
사멸 시기 | 16세기 |
언어 계통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어파 |
어군 | 동발트어군 |
언어 코드 | |
ISO 639-3 | xzm |
LingList | xzm |
Glottolog | zemg1234 |
Glottolog 이름 | Zemgalian |
2. 역사
리투아니아 북부와 라트비아 남부의 세미갈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이다.[1][3] 세미갈리아어에 대한 정보는 주로 16세기 이전의 문서나 텍스트를 통해 알려져 있다.[1][3]
2. 1. 소멸
리투아니아 북부와 라트비아 남부의 세미갈리아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였으나,[1][3] 16세기경 라트비아인에게 동화되어 소멸된 것으로 여겨진다.[1][3] 세미갈리아어에 대한 정보는 16세기 이전의 문서와 텍스트 등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1][3]3. 음운론
세미갈리아어는 쿠로니아어와 음운론적으로 유사하며, 라트비아어와도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2]
3. 1. 자음
세미갈리아어는 음운론적으로 쿠로니아어와 유사하며, 라트비아어와도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2] 발트어파 공통 조어의 자음 /k/, /ɡ/는 세미갈리아어에서 구개음화되어 각각 /c/, /d͡z/로 변화하였다.[2]3. 2. 모음
공통 발트어에서 단어 끝(어미)에 오던 모든 장모음과 이중 모음은 세미갈리아어에서 단모음으로 짧아졌다.[2]참조
[1]
웹사이트
Zemgalian :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 Blackwell Reference Online
http://www.blackwell[...]
2017-06-28
[2]
웹사이트
Semigalian language
http://tied.verbix.c[...]
2017-06-28
[3]
웹사이트
Zemgalian :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 Blackwell Reference Online
http://www.blackwell[...]
2017-06-28
[4]
웹사이트
Semigalian language
http://tied.verbix.c[...]
2017-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