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른어는 인도유럽어족 북게르만어파에 속했던 언어로, 8세기에서 9세기에 노르드인이 스코틀랜드의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면서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15세기부터 스코틀랜드어의 영향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여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소멸했다. 현재는 셰틀랜드와 오크니에서 셰틀랜드의 모토, 지명, 페리 이름, 양의 색상과 무늬를 설명하는 단어 등으로 일부 사용되며, 니노른어라는 현대 형태도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노르드어 - 페로어
페로어는 페로 제도의 공용어이자 덴마크의 지역어이며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굴절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로, 구전 전통을 통해 유지되다가 19세기 중반 현대 표준 페로어가 제정되면서 부활하여 현재 페로 제도의 민족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 서노르드어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는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북게르만어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문법을 보존하고 순수주의적 경향이 강하여 서면 언어의 변화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 아이슬란드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 스코틀랜드의 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켈트어의 일종으로 아일랜드 게일어, 맨섬 게일어와 관련이 깊으며, 스코틀랜드에 전파된 후 쇠퇴하여 현재는 소수만 사용하고 있고, 잉글랜드의 탄압과 영어 확산으로 사용 인구가 급감했으나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으로 소멸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지만 소멸 가능성 우려도 제기되는 언어이다. - 스코틀랜드의 언어 - 스코트어
스코트어는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서게르만어로, 중세 영어 북부 방언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는 부흥 운동과 스코틀랜드 정부의 지원을 통해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른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른어 |
로마자 표기 | Norn |
사용 지역 | 스코틀랜드 북부 제도, 케이스네스 |
사멸 시기 | 1850년경, 월터 서덜랜드 사망 시점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게르만어파 |
어군 | 북게르만어군 |
하위 어군 | 서스칸디나비아어군 |
세부 어군 | 도서 스칸디나비아어 |
조상어 | 고대 노르드어 |
조상어 2 | 고대 서노르드어 |
문자 | 고대 푸타르크 (원래) 고대 노르드어 알파벳 |
ISO 639-3 | nrn |
링글리스트 | nrn |
글롯토로그 | oldn1246 |
글롯토로그 참조 | 고대 노른어 |
링구아스피어 | 52-AAA-ac |
2. 역사
노른어가 언제 정확히 소멸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노른어의 마지막 화자는 19세기까지 생존했다고 하지만, 18세기 말 무렵에는 이미 거의 사멸한 것으로 보인다.[1]
17세기와 18세기의 기록들을 보면 노른어는 점차 쇠퇴하고 있었으며, 오크니 제도보다는 셰틀랜드 제도에서 더 강하게 남아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670년 자료에는 오크니 제도에서 "노르드어 또는 덴마크 방언"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세 곳 또는 네 곳의 교구"에만 남아있으며, 그들조차 "주로 자기 집에 있을 때"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9] 1701년 자료에는 "다른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는 단일 언어 사용자 "노르드어" 화자가 여전히 몇 명 있었고, 셰틀랜드 제도에 오크니 제도보다 더 많은 화자가 있었다고 언급한다.[9] 1703년에는 셰틀랜드 제도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15세기 말 파이프와 로디언 출신 정착민에 의해 셰틀랜드 제도로 가져온 저지대 스코틀랜드 방언을 사용했지만,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고대 덴마크어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해진다.[10] 1750년 오크니 출신 제임스 맥켄지는 노른어가 아직 완전히 소멸되지 않았고, 여전히 서로 간에 사용하는 "노인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고 썼다.[11]
마지막 노른어 화자에 대한 보고는 19세기로 알려져 있으며, 20세기 초까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18세기 후반에 언어가 사멸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12] 셰틀랜드 제도의 고립된 섬인 풀라와 언스트는 셰틀랜드 제도에서 언어의 마지막 피난처로 여겨지며, 1894년까지 "노른어로 문장을 반복할 수 있었던 사람들"[13]이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민요나 시의 구절이었을 것이다.[14] 언스트의 스코우 출신 월터 서덜랜드는 1850년경 사망했으며, 마지막 노른어 원어민 화자로 여겨진다.
노른어는 케이쓰니스에서도 사용되었지만, 아마도 15세기까지 스코틀랜드어로 대체되어 멸종되었을 것이다.[6] 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케이쓰니스 노른어"에 대해서도 이야기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를 피한다. 오크니와 셰틀랜드 노른어보다 "케이쓰니스 노른어"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거의 기록된 노른어는 남아 있지 않지만, 남아 있는 소량의 자료에는 주기도문의 한 판본과 "힐디나"라는 발라드가 포함되어 있다. 런던 대학교(University College London) 스칸디나비아 연구 교수인 마이클 P. 반즈는 "오크니와 셰틀랜드의 노른어"라는 연구를 발표했다.[15]
2. 1. 노르드인의 정착과 노른어의 확산
노르드인의 섬 정착은 아마도 9세기 초에 시작되었을 것이다.[1] 이 정착민들은 상당히 많은 수로 도착한 것으로 여겨지며,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로 이주한 사람들처럼 대부분 노르웨이 서해안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2] 셰틀랜드의 토포니미는 노르웨이 북서부와 약간 유사하며, 노른드어 어휘는 더 남쪽 노르웨이 지역과의 연관성을 시사한다.[3]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는 원래 피크트족이 브리토니아어를 사용했던 지역이며, 그 후 게일족의 영향으로 고대 아일랜드어도 존재했다.[25] 그러나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바이킹의 노르드인이 침략하여 875년에 노르웨이 왕국에 병합되었고,[26] 이때부터 사용된 언어는 고대 서노르드어에서 기원한 노른드어였다.
2. 2. 스코틀랜드의 영향과 노른어의 쇠퇴
노른어가 언제 사라졌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에 따르면 노른어의 마지막 화자가 19세기까지 있었다고 하나, 18세기 끝무렵까지는 거의 생명이 다하여 죽은 것으로 보인다.[1]
노르드인의 섬 정착은 아마도 9세기 초에 시작되었을 것이다.[2] 이 정착민들은 상당히 많은 수로 도착한 것으로 여겨지며,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로 이주한 사람들처럼 대부분 노르웨이 서해안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3] 셰틀랜드의 토포니미는 노르웨이 북서부와 약간 유사하며, 노른어 어휘는 더 남쪽 노르웨이 지역과의 연관성을 시사한다.[4]
오크니와 셰틀랜드는 각각 1468년과 1469년에 제임스 3세에게 넘겨졌으며, 노른어가 스코틀랜드어로 대체된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바로 이 약속들이다. 그러나 오크니에서 노르드어 사용의 감소는 아마도 1379년에 오크니 백작령(모든 노던 아일즈를 포함)이 싱클레어 씨족 출신의 헨리 싱클레어의 손에 넘어갔을 때 시작되었을 것이다. 15세기 초까지 오크니에서는 스코틀랜드어가 노르드어를 대신하여 권위 있는 언어가 되었다.[5]
셰틀랜드에서는 전환이 늦게 시작되었지만, 15세기 말까지 두 섬 그룹 모두 이중 언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어가 섬에서 주요 구어로 노른어를 대체하는 과정은 빠르지 않았으며,[7] 오크니와 셰틀랜드의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전반까지 각각 노른어를 모어로 사용했을 것이다.[8] 노른어로 쓰인 마지막 문서 중 하나는 1597년 에셔네스에서 셰틀랜드 남성인 앤드류 모왓과 결혼한 안나 트론센의 여동생 엘스의 재산에 대한 저당 문서였다.[9]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는 피크트족이 브리토니아어를 사용했던 지역이며, 그 후 게일족의 영향 하에 고대 아일랜드어도 존재했다.[10] 그러나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바이킹의 노르드인이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침략하여 875년에 노르웨이 왕국에 병합되었고,[11] 사용되는 언어는 고대 서노르드어가 되었으며, 이것이 노른어가 된다. 그러나 1468년에 이 지역들이 스코틀랜드 귀족에게 넘겨져 스코틀랜드 왕국의 영토가 되면서 노른어의 지위는 낮아지고, 결국 18세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어, 늦어도 19세기경에는 소멸하게 되었다. 그리고 스코틀랜드 저지대어 제도 방언이 사용되게 되었다.[12]
2. 3. 이중 언어 사용과 노른어의 소멸
노르드인의 섬 정착은 아마도 9세기 초에 시작되었을 것이다.[1] 이 정착민들은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로 이주한 사람들처럼 대부분 노르웨이 서해안 출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2]오크니와 셰틀랜드는 각각 1468년과 1469년에 제임스 3세에게 넘겨졌으며, 노른어가 스코틀랜드어로 대체된 것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바로 이 약속들이다. 그러나 오크니에서 노르드어 사용의 감소는 아마도 1379년에 오크니 백작령(모든 노던 아일즈를 포함)이 헨리 싱클레어(싱클레어 씨족 출신)의 손에 넘어갔을 때 시작되었을 것이다. 15세기 초까지 오크니에서는 스코틀랜드어가 노르드어를 대신하여 권위 있는 언어가 되었다.[4]
셰틀랜드에서는 전환이 늦게 시작되었지만, 15세기 말까지 두 섬 그룹 모두 이중 언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어가 섬에서 주요 구어로 노른드어를 대체하는 과정은 빠르지 않았으며,[6] 오크니와 셰틀랜드의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전반까지 각각 노른드어를 모어로 사용했을 것이다.[7]
노른어가 언제 정확히 멸종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7세기와 18세기 자료들은 노른어가 쇠퇴하고 있으며, 셰틀랜드 제도에서 오크니 제도보다 더 강하게 남아 있었음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1701년 자료는 "다른 어떤 것도" 말할 수 없는 단일 언어 사용자 "노르드어" 화자가 여전히 몇 명 있었고, 셰틀랜드 제도에 오크니 제도보다 더 많은 화자가 있었다고 언급한다.[9] 1750년 오크니 출신 제임스 맥켄지(James Mackenzie)는 노른어가 아직 완전히 멸종되지 않았고, 여전히 서로 간에 사용하는 "노인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고 썼다.[11]
노른어 화자에 대한 마지막 보고는 19세기로 알려져 있으며, 20세기 초까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18세기 후반에 언어가 사멸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12] 언스트의 스코우 출신 월터 서덜랜드는 1850년경 사망했으며, 마지막 노른어 원어민 화자로 여겨진다. 하지만 주요 언어의 사멸 후에도 어휘의 단편들이 남아 있으며, 오늘날에도 주로 지명과 식물, 동물, 날씨, 기분, 어업 관련 용어로 남아 있다.
2. 4. 케이스네스 노른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는 피크트족이 브리토니아어를 사용했던 지역이며, 게일족의 영향으로 고대 아일랜드어도 존재했다.[25]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하는 노르드인이 침략하여 875년에 노르웨이 왕국에 병합되었고,[26] 사용되는 언어는 고대 서노르드어에서 기원한 노른드어가 되었다. 1468년 스코틀랜드 귀족에게 이 지역들이 넘어가면서 스코틀랜드 왕국 영토가 되었고, 노른드어의 지위는 낮아져 18세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으며, 늦어도 19세기경에는 소멸하였다. 이후 스코틀랜드 저지대어 제도 방언이 사용되게 되었다.[27]3. 분류
노른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북게르만어파 언어이다. 페로어, 아이슬란드어, 노르웨이어와 함께 서스칸디나비아어군에 속하며, 스웨덴어, 덴마크어, 고틀란드어로 이루어진 동스칸디나비아어군 및 옛고틀란드어군과 구분된다.
이러한 분류는 북게르만어파 언어들이 갈라질 당시의 차이점을 기반으로 하지만, 현재의 특징을 고려하면 상호 이해 가능성을 기준으로 섬 스칸디나비아어군과 대륙 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는 또 다른 분류가 가능하다. 이 체계에서는 지난 천 년 동안 문법과 어휘에서 중요한 변화를 겪어 페로어와 아이슬란드어와 차별화된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가 함께 묶인다.
노른어는 페로어와 상당히 유사했던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지며, 많은 음운론적 및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고, 심지어 상호 이해 가능했을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섬 스칸디나비아어군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4. 음운론
노르드어의 음운론은 자료 부족으로 인해 정확하게 밝혀낼 수 없지만, 존재하는 몇 안 되는 자료를 통해 일반적인 특징을 추론할 수 있다. 노르드어는 남서 노르웨이 방언과 많은 공통점을 공유했다. 여기에는 모음 뒤에 p, t, k|p, t, k영어가 b, d, ɡ|b, d, ɡ영어로 유성화되는 것과, 셰틀랜드 방언에서는(오크니 방언에서는 부분적으로만) θ|θ영어와 ð|ð영어("thing"과 "that")이 각각 t|t영어와 d|d영어로 변환되는 것이 포함된다.
5. 문법
노른어 문법은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두 가지 수, 세 가지 성, 그리고 네 가지 격(주격, 목적격, 소유격, 여격)이 있었다. 현재와 과거의 두 가지 주요 동사 활용도 존재했다. 다른 모든 북게르만어파(유틀란드 방언 제외)와 마찬가지로, 현대 스칸디나비아어처럼 정관사를 나타내는 데 전치사가 아닌 접미사를 사용했다: man(n)|사람nrn, mannen|그 사람nrn. 노른어 문법의 많은 측면을 확실히 알기는 어렵지만, 문서에 따르면 서스칸디나비아어군에서 일반적이었던 주어 없는 절이 특징으로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6. 현대의 사용
현대 셰틀랜드와 오크니에서 노른어/노르드어 사용은 대부분 의례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고대 노르드어가 사용된다.
알려진 기록과 일반적인 노르드어 언어학을 바탕으로 '''니노른어(Nynorn)'''("새로운 노른어")라는 현대 형태를 개발하고 보급하려는 사람들이 있다.[21]
온라인 번역기 글로스베(Glosbe)는 노른어를 언어로 포함하고 있지만, 단어 부족으로 사전과 같은 역할을 한다.[23]
6. 1. 셰틀랜드의 모토
셰틀랜드의 모토인 Með lögum skal land byggja|법으로써 땅을 건설하리라nrn는 아이슬란드 경찰의 모토와 같으며, 중세 노르웨이의 프로스트싱 법(Frostathing Law)에서 영감을 받았다.[19]6. 2. 페리 이름
노르드어/노른어가 북부 제도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는 페리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노스링크 페리(NorthLink Ferries)는 스트롬네스의 옛 이름을 따서 명명된 MV ''Hamnavoe''호와 셰틀랜드를 뜻하는 MV ''Hjaltland''호, 그리고 오크니 메인랜드(Mainland, Orkney)의 옛 이름인 "말 섬"을 뜻하는 MV ''Hrossey''호를 보유하고 있다.
- 옐 사운드 페리(Yell Sound Ferry)는 섬의 울스타(Ulsta)에서 셰틀랜드 본섬(Shetland Mainland)의 토프트(Toft)로 운항한다. 이 서비스는 2003년에 취항한 ''Daggri''(노르드어로 "새벽")호와 2004년에 취항한 ''Dagalien''(노르드어로 "황혼")호 두 척의 페리에 의해 운영된다.[19]

6. 3. 양의 색상과 무늬
셰틀랜드와 오크니의 토종 양인 셰틀랜드 양과 노스 로널드세이 양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설명하는 데는 여전히 노른어 단어가 사용된다.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 양의 여러 가지 색상 변화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어들을 사용한다.[20]6. 4. 니노른어(Nynorn)
현대 셰틀랜드와 오크니에서 노른어/노르드어의 사용은 대부분 의례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셰틀랜드의 모토인 "Með lögum skal land byggja|법으로써 땅을 건설하리라nrn"는 아이슬란드 경찰의 모토와 같으며, 중세 노르웨이의 프로스트싱 법(Frostathing Law)에서 영감을 받았다.[19]노르드어/노른어가 북부 제도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는 페리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노스링크 페리(NorthLink Ferries)는 스트롬네스의 옛 이름을 따서 명명된 MV ''Hamnavoe''호와 셰틀랜드를 뜻하는 MV ''Hjaltland''호, 그리고 오크니 메인랜드(Mainland, Orkney)의 옛 이름인 "말 섬"을 뜻하는 MV ''Hrossey''호를 보유하고 있다.
- 옐 사운드 페리(Yell Sound Ferry)는 섬의 울스타(Ulsta)에서 셰틀랜드 본섬(Shetland Mainland)의 토프트(Toft)로 운항한다. 이 서비스는 2003년에 취항한 ''Daggri''(노르드어로 "새벽")호와 2004년에 취항한 ''Dagalien''(노르드어로 "황혼")호 두 척의 페리에 의해 운영된다.[19]
셰틀랜드와 오크니의 토종 양인 셰틀랜드 양과 노스 로널드세이 양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노른어 단어들이 사용된다.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 양의 여러 가지 색상 변화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어들을 사용한다.[20]
알려진 기록과 일반적인 노르드어 언어학을 바탕으로 '''니노른어(Nynorn)'''("새로운 노른어")라는 현대 형태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데 힘쓰는 열정적인 사람들이 있다.[21]
2022년 셰틀랜드가 스코틀랜드의 일부가 된 550주년을 기념하는 셰틀랜드 550 콘서트의 일환으로 글래스고 로열 콘서트 홀에서 가수 인게 톰슨(Inge Thompson)이 노른어 노래를 불렀다.[22]
온라인 번역기 글로스베(Glosbe)는 노른어를 언어로 포함하고 있지만, 단어 부족으로 사전과 같은 역할을 한다.[23]
2023년 가수 시오반 윌슨(Siobhan Wilson)이 노른어를 사용한 노래를 발표했다.[24]
6. 5. 문화 행사
현대 셰틀랜드와 오크니에서 노른어/노르드어의 사용은 대부분 의례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지며, 주로 고대 노르드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셰틀랜드의 모토인 "법으로써 땅을 건설하리라"(Með lögum skal land byggjanrn)는 아이슬란드 경찰의 모토와 같으며, 중세 노르웨이의 프로스트싱 법(Frostathing Law)에서 영감을 받았다.노르드어/노른어가 북부 제도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예는 페리 이름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노스링크 페리(NorthLink Ferries)는 스트롬네스의 옛 이름을 따서 명명된 MV ''Hamnavoe''호와 셰틀랜드를 뜻하는 MV ''Hjaltland''호, 그리고 오크니 메인랜드(Mainland, Orkney)의 옛 이름인 "말 섬"을 뜻하는 MV ''Hrossey''호를 보유하고 있다.
- 옐 사운드 페리(Yell Sound Ferry)는 섬의 울스타(Ulsta)에서 셰틀랜드 본섬(Shetland Mainland)의 토프트(Toft)로 운항한다. 이 서비스는 2003년에 취항한 ''Daggri''(노르드어로 "새벽")호와 2004년에 취항한 ''Dagalien''(노르드어로 "황혼")호 두 척의 페리에 의해 운영된다.[19]
셰틀랜드와 오크니의 토종 양인 셰틀랜드 양과 노스 로널드세이 양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노른어 단어들이 사용된다. 아이슬란드어는 아이슬란드 양의 여러 가지 색상 변화에 대해서도 유사한 단어들을 사용한다.[20]
2022년 셰틀랜드가 스코틀랜드의 일부가 된 550주년을 기념하는 셰틀랜드 550 콘서트의 일환으로 글래스고 로열 콘서트 홀에서 가수 인게 톰슨(Inge Thompson)이 노른어 노래를 불렀다.[22]
2023년 가수 시오반 윌슨(Siobhan Wilson)이 노른어를 사용한 노래를 발표했다.[24]
참조
[1]
서적
Language Contact and Development around the North Se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Scots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Scots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guage in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Shetland in the Sixteenth Century
Edinburgh
[9]
서적
Northern and Insular Scots
Edinburgh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Description of the Western Isles: Circa 1695
https://books.google[...]
Birlinn
2020-09-25
[11]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Band 21
Walter De Gruyter Inc.
[12]
서적
The Languages of Britain
Edward Arnold
[13]
서적
[14]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Norn Language in Shetland
David Nutt
[15]
서적
The Norn Language of Orkney & Shetland
Shetland Times
[16]
웹사이트
Pater Noster - M through N
https://web.archive.[...]
2017-06-24
[17]
서적
The dialect and place names of Shetland; two popular lectures; by Jakob Jakobsen.
[18]
논문
The Orkney Norn
[19]
웹사이트
The Fleet – New Yell Sound Ferries
http://www.shetland.[...]
Shetland Islands Council
2008-02-04
[20]
웹사이트
1000 Years of Sheep in Shetland
http://www.sheep-isl[...]
2017-06-24
[21]
웹사이트
Norn
http://nornlanguage.[...]
2011-06-10
[22]
웹사이트
Celtic Connections review: Shetland 550: Norn Voices, Glasgow Royal Concert Hall
https://www.scotsman[...]
2022-01-24
[23]
웹사이트
The English - Norn dictionary Glosbe
https://glosbe.com/e[...]
2022-11-04
[24]
웹사이트
The List
https://list.co.uk/n[...]
2023-06-05
[25]
학술지
The ogham-inscribed spindle-whorl from Buckquoy: evidence for the Irish language in pre-Viking Orkney?
http://ads.ahds.ac.u[...]
ARCHway
2007-07-27
[26]
서적
[27]
웹사이트
Velkomen!
http://www.nornlangu[...]
2011-03-08
[28]
웹사이트
http://www.christusr[...]
[29]
논문
The Orkney Nor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