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트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어파로, 동부 발트어와 서부 발트어로 분류된다. 라트비아어, 리투아니아어 등이 현존하며, 과거에는 프러시아어 등이 사용되었으나 사멸했다. 발트어는 슬라브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발토-슬라브어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발트어는 고대 인도유럽어의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언어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또한, 다키아어, 트라키아어와 유전적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발트어파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이름 | 발트어파 |
지역 | 발트해 남동부 연안, 역사적으로 동유럽 및 중앙유럽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계통 | 발트슬라브어파 |
하위 어군 | 서발트어군 † 동발트어군 드네프르 발트어 † |
주요 사용자 | 발트족 |
ISO 639-2 | bat |
ISO 639-5 | bat |
Lingua | 54= (계통 구역) |
Glotto 코드 | none east2280 (동발트어군) prus1238 (고대 프로이센어) |
원시 언어 | 원시 발트어 |
역사 | |
고대 발트족 | 발트족은 기원전 3천년경부터 존재, 인도유럽어족과 연결 |
확장 | 한때 모스크바, 키예프, 민스크까지 확장, 일부는 남동부 폴란드, 중부 러시아 |
로마 시대 기록 |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에 언급 |
동방 정착 | 6세기와 7세기에 슬라브족이 동유럽으로 이동하면서 발트족과 경쟁 |
동방 진출 | 13세기 초에 튜튼 기사단의 침입으로 발트족 정착 지역 축소 시작 |
서발트어군 사멸 | 서발트어군은 대부분 사멸, 라트비아와 리투아니아 지역은 동발트어군이 유지 |
현대 | 현재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가 주요 발트어 |
특징 | |
음운론 | 인도유럽조어의 자음 변화 보존 (예: *kʷ > k, *gʷ > g) 인도유럽조어의 모음 변화 보존 (예: *ō > ā) 음절성 비음과 유음 보존 |
형태론 | 굴절형 언어 명사, 대명사, 형용사의 성, 수, 격 구별 동사의 시제, 법, 태 구별 |
어휘 | 인도유럽조어 어휘를 다수 보존 슬라브어, 게르만어, 핀우그르어에서 차용 |
하위 어군 | |
동발트어군 |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라트갈레어 셀로니아어 쿠로니아어 세미갈리아어 |
서발트어군 | 고대 프로이센어 (사멸) 갈린디아어 (사멸) 수도비아어 (사멸) 스칼비아어 (사멸) |
드네프르 발트어 | 드네프르 발트어 (사멸) |
2. 분류
인도유럽어족 내에서 발트어군은 일반적으로 동발트어군과 서발트어군의 두 가지 어파로 이루어진 하나의 어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 두 어파는 때때로 발트-슬라브어족의 독립적인 어파로 분류되기도 한다.[7]
2. 1. 동발트어군
언어 | 화자 수 |
---|---|
라트비아어 | 약 150만 명[8] |
라트갈레어 | 15만~20만 명 |
리투아니아어 | 약 400만 명 |
사모기티아어 | 50만 명 |
셀로니아어† | 16세기 이후 소멸 |
세미갈리아어† | 16세기 이후 소멸 |
쿠로니아어?† | 16세기 이후 소멸[7] |
2. 2. 서발트어군
서부 발트어 | |
---|---|
서갈린디아어† | 14세기 이후 소멸 |
프로이센어† | 18세기 초 이후 소멸 |
스칼비아어† | 16세기 이후 소멸 |
수도비아어† | 17세기 이후 소멸 |
기울임꼴은 분류에 대한 논쟁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 |
†는 소멸 언어를 나타냅니다. |
2. 3. 드네프르 발트어군
동갈린디아어† (12세기 이후 소멸)[9][10]3. 역사
발트어파는 현재 남아 있는 인도유럽어족 중 가장 보수적인 언어로 여겨진다.[11][12] 늦게 문헌에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발트어가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것은 1369년경 바젤에서 고대 프로이센어로 기록된 두 줄짜리 에피그램이었다. 리투아니아어는 1547년 마르티나스 마즈비다스가 출판한 《카테키즘》이라는 인쇄된 책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라트비아어는 1585년 인쇄된 교리문답에 등장했다.[14]
발트어파가 늦게 문헌에 등장한 이유는 발트 지역 주민들이 다른 유럽인들보다 기독교화에 더 오랫동안 저항하여 문자의 도입이 늦어지고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언어가 고립되었기 때문이다.
프로이센에 독일 국가가 수립되고 게르만계(그리고 소수의 슬라브어 사용) 정착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프로이센인들은 동화되기 시작했고, 17세기 말 프로이센어는 멸종되었다.
폴란드 분할 이후, 대부분의 발트 지역은 러시아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는데, 러시아화 노력의 일환으로(1864년부터 1904년까지 시행된 리투아니아어 출판 금지령 참조) 모국어나 알파벳의 사용이 때때로 금지되었다.[15]
4. 지리적 분포
현대 발트어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국경 내, 그리고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구 소련 영토 내 국가들의 이민 사회에 집중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발트어는 현재보다 훨씬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서쪽으로는 현재 폴란드의 비스와 강 어귀까지, 동쪽으로는 적어도 현재 벨라루스의 드네프르 강까지, 아마도 모스크바까지, 그리고 남쪽으로는 키이우까지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지역에 발트어가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는 발트어의 특징인 수명(물체의 이름)에서 찾을 수 있다.[16][17][18][19][20]
시간이 지나면서 남부와 동부에서는 슬라브어 계열의 언어가, 서부에서는 게르만어 계열의 언어가 확장되면서 발트어의 지리적 분포는 과거 영역에 비해 크게 축소되었다. 러시아의 유전학자 올레그 바라노프스키는 동슬라브인과 서슬라브인의 유전학에서 동화된 초기 슬라브인의 기반이 우세하다고 추측하고 있다. 바라노프스키가 인용한 고고학적 문헌에 따르면, 동슬라브인과 발트인을 다른 집단과 구별할 수 있는 공통적인 유전자 구조는 동슬라브인의 초기 슬라브인 기반이 유라시아 대초원 문화에서 슬라브인에 앞서 존재했던 발트어 사용자로부터 가장 크게 구성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56]
모르도바어는 주로 볼가 강 서쪽 지류에서 사용되지만, 이 언어에는 발트어파에서 차용한 수십 개의 단어가 있다. 이것은 오카 강을 따라 동쪽 발트인과의 접촉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55]
에스토니아는 지정학적으로 발트 3국에 포함되지만,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에 속하며 인도유럽어족인 발트어파와는 다른 계통의 언어이다.
5. 비교언어학
발트어파는 초기 인도유럽어족의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어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받는다.[3] 그러나 발트어군과 인도유럽어족 내 다른 언어들과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34] 멸종된 발트어들은 기록이 거의 없어 고대 역사 기록이나 인명, 지명을 통해서만 존재가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발트어들조차 비교적 늦은 시기에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발트어군의 역사를 모호하게 만들었다.
5. 1. 발트-슬라브어족
발트어파는 슬라브어파와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둘을 발토-슬라브어족으로 분류한다.[35][36] 이 어족은 공통 조상인 발트-슬라브 조어에서 발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여러 어휘, 음운 및 형태론적 방언적 특징이 발전하여 다양한 발토-슬라브어족 언어들을 서로 분리시켰다.[35][36] 슬라브어파가 공통 발토-슬라브어에서 분리된 다소 통일된 단일 방언(슬라브 조어)에서 발전했다는 점에는 일반적으로 동의하지만, 발트어파의 관계에 대해서는 더 많은 의견이 분분하다.[37]전통적인 견해는 발토-슬라브어족이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의 두 가지 어파로 분리되었고, 각 어파는 그 후 상당 기간 동안 단일 공통 언어(발트 조어와 슬라브 조어)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발트 조어는 동발트어파와 서발트어파로 분리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서는 통일된 발트 조어 단계가 없었고, 발트-슬라브 조어가 슬라브어파, 동발트어파, 서발트어파의 세 가지 그룹으로 직접 분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38][39]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발트어군은 단계통이 아닌 분류군이며, 슬라브어파가 아닌 모든 발토-슬라브어족 언어를 포함한다. 1960년대 블라디미르 토포로프와 비야체슬라프 이바노프는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40][41]
- 슬라브 조어는 주변부 유형의 발트어파 방언에서 형성되었다.
- 슬라브어파의 언어 구조는 발트어파의 구조 모델에서 나중에 형성되었다.
- 슬라브어파의 구조 모델은 발트어파의 구조 모델에서 변형된 결과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논문은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의 밀접한 관계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며, 역사적인 관점에서 발토-슬라브어족의 진화를 명시한다. 즉 '발트어'와 '슬라브어'라는 용어는 현재 시점, 즉 통시적 변화의 관점에서만 관련이 있으며, 언어 발달의 가장 오래된 단계는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 모두라고 부를 수 있다.[40]
마지막으로, 소수의 학자들은 발트어파가 중간 공통 발토-슬라브어 단계를 거치지 않고, 인도유럽 조어에서 직접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발트어파와 슬라브어파 사이의 많은 유사점과 공유된 혁신은 공유된 유산이 아니라 수천 년 동안의 집단 간 접촉으로 인한 것이라고 주장한다.[43]
5. 2. 트라키아어 및 다키아어와의 관계
발트어파는 초기 프로토-인도유럽어의 특징을 많이 간직하고 있어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받는다.[3] 그러나 발트어군과 인도유럽어족 내 다른 언어들과의 관계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34] 멸종된 발트어들은 기록이 거의 없어 고대 역사 기록이나 인명, 지명을 통해서만 존재가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발트어들조차 비교적 늦은 시기에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인들이 발트어군의 역사를 모호하게 만들었다.발트어는 슬라브어와 가까운 관계를 보이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둘을 묶어 발토-슬라브어족으로 분류한다.[35][36] 이들은 공통 조상인 프로토-발토-슬라브어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발트어군 내부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37] 전통적인 견해는 발트어가 동발트어와 서발트어로 나뉜다는 것이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프로토-발토-슬라브어가 슬라브어, 동발트어, 서발트어의 세 그룹으로 직접 분리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38][39]
비교 언어학 연구는 발트어족과 이미 사멸한 다키아어[44][45][46][47] 및 트라키아어[44][47][48] 간의 유전적 관계를 제시한다.
리투아니아 과학자 요나스 바사나비추스(Jonas Basanavičius)는 다키아어와 트라키아어의 발트어 분류를 제안하며, 발트족과 트라키아인의 600개 동일 단어를 나열했다.[49][50] 불가리아 언어학자 이반 두리다노프는 트라키아어가 발트어와 유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주장하며, 트라키아어가 발트어, 다키아어 및 "펠라스기아인" 언어와 밀접한 그룹을 형성한다고 분류했다.[44] 두리다노프가 재구성한 트라키아어 단어 중 대부분은 발트어, 특히 리투아니아어와 동족어 관계를 보인다.[44] 또한, 다키아어 지명 중 상당수가 발트어 동족어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44] 두리다노프에 따르면, 트라키아어와 발트어 지명 사이에서 가장 많은 유사점이 발견된다.
참조
[1]
간행물
Lietuvos Pasaulyje
https://osp.stat.gov[...]
Lietuvos statistikos departamentas
2015-05-05
[2]
웹사이트
Latvian
2015
[3]
서적
The Balts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2011-12-03
[4]
백과사전
Fatyanovo-Balanovo Culture
Fitzroy Dearborn
1997
[5]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6]
학술지
Indo-European and computational cladistics
2002
[7]
웹사이트
Old Prussian
https://glottolog.or[...]
2020
[8]
웹사이트
Valsts valoda
https://valoda.lv/va[...]
[9]
서적
Baltų kalbos. Lyginamoji istor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2000
[10]
웹사이트
Балтийские языки
http://lingvarium.or[...]
2024-11-29
[11]
서적
Translation and the Reconfiguration of Power Relations: Revisiting Role and Context of Translation and Interpreting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2
[12]
학술자료
2018
[13]
서적
Germania
https://www.unrv.com[...]
[14]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2
[15]
간행물
Lithuanian Handwritten Books in the Period of the Ban on the Lithuanian Press (1864–1904)
http://www.llti.lt/f[...]
[16]
간행물
Baltic horizon in Eastern Bohemian hydronymy?
https://www.lituanis[...]
2003
[17]
서적
Where We Come from: The Origin of the Lithuanian People
https://books.google[...]
Science & Encyclopedia Publishing Institute
2005
[18]
서적
A linguistic map of prehistoric northern Europe
Suomalais-Ugrilainen Seura
2013
[19]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2017
[20]
학술자료
2018
[21]
서적
Aspects of the Balkans: Continuity and Change
De Gruyter
1972-12-31
[22]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Blackwell Publishing
2004
[23]
서적
Reconstructing Prehistorical Dialects: Initial Vowels in Slavic and Baltic
DE GRUYTER MOUTON
1996-12-31
[24]
서적
Die slavischen Sprachen
De Gruyter Mouton
2014
[25]
서적
Генофонд Европы
https://books.google[...]
KMK Scientific Press
2015-11-30
[26]
서적
A Linguistic Map of Prehistoric Northern Europe
2012
[27]
서적
A linguistic map of prehistoric northern Europe
https://www.sgr.fi/s[...]
Suomalais-Ugrilainen Seura
2013
[28]
서적
The Linguistic Roots of Europe: Origin and Development of Europe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Museum Tusculanum Press
2015
[29]
서적
Contacts between the Baltic and Finnic languages
https://journal.fi/u[...]
Uralica Helsingiensia
2015
[30]
서적
Contacts between the Baltic and Finnic languages
https://journal.fi/u[...]
Uralica Helsingiensia
2015
[31]
서적
Where We Come from: The Origin of the Lithuanian People
Science & Encyclopedia Publishing Institute
2005
[32]
서적
A linguistic map of prehistoric northern Europe
https://www.sgr.fi/s[...]
Suomalais-Ugrilainen Seura
2013
[33]
서적
The Linguistic Roots of Europe: Origin and Development of European Languages
Museum Tusculanum Press
2015
[34]
서적
Ancient Indo-European Dialec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12-03
[35]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language, archaeology and myth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2011-12-03
[36]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12-03
[37]
학술지
Phonological evidence for a Proto-Baltic stage in the evolution of East and West Baltic
https://www.academia[...]
[38]
논문
Baltica & Balto-Slavica
[39]
논문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Slavic Inherited Lexicon
[40]
서적
Baltų kalbos. Lyginamoji istor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2000
[41]
간행물
О двух направлениях в языковом развитии
[42]
서적
Baltų kalbos. Lyginamoji istor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2000
[43]
서적
Language history,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relationship: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12-24
[44]
서적
Europos šaknys
https://on.lt/europo[...]
[45]
서적
Las raíces de Europa
Kalathos Ediciones
[46]
간행물
Sudbalten und Daker. Vater der Lettoslawen
[47]
간행물
The Indo-European position of lllirian, Daco-Mysian and Thracian: a historic Methodological Approach
2022-11
[48]
간행물
Apie trakų prygų tautystę ir jų atsikėlimą Lietuvon
2022-11
[49]
서적
Balts and Goths: the missing link in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Vydūnas Youth Fund
[50]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Three: Shared Pasts, Disputed Legac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3-13
[51]
간행물
Tracii şi dacii erau nişte „baltoizi”?
https://ceeol-com.wi[...]
[52]
논문
[53]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02
[54]
서적
Lithuanian Handwritten Books in the Period of the Ban on the Lithuanian Press (1864–1904)
http://www.llti.lt/f[...]
[55]
서적
A Linguistic Map of Prehistoric Northern Europe
2012
[56]
서적
Генофонд Европы
https://books.google[...]
KMK Scientific Press
2015-11-30
[57]
서적
Ancient Indo-European Dialec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12-03
[58]
서적
In search of the Indo-Europeans: language, archaeology and myth
https://books.google[...]
Thames and Hudson
1991-04-01
[59]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12-03
[60]
논문
Baltica & Balto-Slavica
[61]
논문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Slavic Inherited Lexicon
[62]
서적
Baltų kalbos. Lyginamoji istorija
Mokslo ir enciklopedijų leidybos institutas
2000
[63]
간행물
О двух направлениях в языковом развитии
[64]
서적
Language history, language change, and language relationship: an introduction to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12-24
[65]
서적
Europos šaknys
https://on.lt/europo[...]
[66]
서적
Las raíces de Europa
[67]
간행물
Sudbalten und Daker. Vater der Lettoslawen
[68]
간행물
The Indo-European position of lllirian, Daco-Mysian and Thracian: a historic Methodological Approach
[69]
간행물
Apie trakų prygų tautystę ir jų atsikėlimą Lietuvon
[70]
서적
Balts and Goths: the missing link in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Vydūnas Youth Fund
[71]
서적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Three: Shared Pasts, Disputed Legacies
https://books.google[...]
BRILL
2015-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