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유스 2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유스 2호는 1968년 10월 25일 소련에 의해 발사된 무인 우주선이다. 소유스 1호 사고 이후 유인 우주선 발사를 위한 시험 비행으로, 소유스 3호와의 도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스페인 작가 호안 폰트쿠베르타는 소유스 2호에 가상의 승무원 '이반 이스토치니코프'와 개 '클로카'가 탑승했다는 허구의 이야기를 만들어 전시를 열었으며, 이는 여러 나라에서 순회 전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재진입한 우주선 - 아폴로 8호
    아폴로 8호는 1968년 새턴 V 로켓으로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임무로, 인류 최초로 달 궤도를 선회하고 귀환했으며 프랭크 보먼, 짐 러벨, 윌리엄 앤더스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하여 어스라이즈 사진 촬영과 창세기 낭송 등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
  • 1968년 재진입한 우주선 - 아폴로 7호
    아폴로 7호는 아폴로 1호 화재 사고 이후 재개된 아폴로 계획의 첫 유인 비행으로, 사령선과 기계선의 지구 궤도 비행을 통해 우주선의 신뢰성을 확립하고 미국의 우주선으로부터 첫 TV 생중계 방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 1968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8호
    아폴로 8호는 1968년 새턴 V 로켓으로 발사된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임무로, 인류 최초로 달 궤도를 선회하고 귀환했으며 프랭크 보먼, 짐 러벨, 윌리엄 앤더스 세 명의 우주비행사가 탑승하여 어스라이즈 사진 촬영과 창세기 낭송 등 역사적인 순간을 만들었다.
  • 1968년 발사한 우주선 - 아폴로 7호
    아폴로 7호는 아폴로 1호 화재 사고 이후 재개된 아폴로 계획의 첫 유인 비행으로, 사령선과 기계선의 지구 궤도 비행을 통해 우주선의 신뢰성을 확립하고 미국의 우주선으로부터 첫 TV 생중계 방송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 1968년 소련 - 1968년 붉은 광장 시위
    1968년 붉은 광장 시위는 1968년 8월 25일 8명의 시위자가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항의하며 체코슬로바키아의 자유와 독립을 지지한 사건이다.
  • 1968년 소련 - 암병동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의 소설 《암병동》은 1955년 소련 암 병동을 배경으로 주인공 올레그 코스토글로토프의 투병 과정과 병원 내 권력 다툼을 통해 스탈린 시대의 억압과 개인의 고뇌, 죽음에 대한 성찰을 그린 작품이다.
소유스 2호
개요
임무 종류시험 비행
운영자실험 설계국 (OKB-1)
COSPAR ID1968-093A
SATCAT03511
임무 기간3일
완료 궤도 수48
우주선 정보
우주선소유스 7K-OK 제11호
우주선 종류소유스 7K-OK (부동형)
제조사실험 설계국 (OKB-1)
발사 질량6,520kg
착륙 질량2,800kg
크기길이 7.13m, 너비 2.72m
발사 정보
발사일1968년 10월 25일 09:00 GMT
발사 로켓소유스
발사 장소바이코누르, 1/5번 발사대
발사 계약자실험 설계국 (OKB-1)
착륙 정보
착륙일1968년 10월 28일 07:51 GMT
착륙 장소카자흐스탄, 카자흐 스텝
궤도 정보
궤도 기준지구 중심 궤도
궤도 종류지구 저궤도
궤도 근지점196.0km
궤도 원지점200.0km
궤도 경사51.70°
궤도 주기88.50분
프로그램 정보
프로그램소유스 계획
이전 임무소유스 1호
다음 임무소유스 3호

2. 소유스 2호 발사 및 도킹 실패

소련은 소유스 1호의 사망 사고 이후 우주선 발사 재개를 위해 무인 시험 비행을 실시했다. 코스모스 186호, 코스모스 188호, 코스모스 212호, 코스모스 213호 발사로 유인 비행 재개 전망이 보였고, 코스모스 238호 발사를 거쳐 무인 소유스 2호와 유인 소유스 3호를 발사해 도킹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1968년 10월 25일 무인 소유스 2호가 발사되었고, 다음 날 게오르기 베레고보이가 탑승한 소유스 3호가 발사되었다. 두 우주선은 자동으로 수 km 이내까지 접근했으나, 베레고보이는 지구 그림자 속에서 지상 지원 없이 도킹해야 했기에 목표 거리를 잘못 판단, 소유스 3호의 자세 제어 연료 부족으로 도킹에 실패했다.

10월 28일 소유스 2호는 무인 상태로 지구에 귀환했다.

2. 1. 임무 제원

Союз-2|소유스 2호ru의 임무 제원은 다음과 같다.[3][4]

제원
질량6520kg
근지점196km
원지점200km
궤도 경사각51.65°
공전 주기88.50 분


3. 호안 폰트쿠베르타의 승무원 탑승 조작 사건

1997년 스페인의 개념미술 작가 호안 폰트쿠베르타는 소유스 2호에 '이반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승무원과 '클로카'라는 개가 탑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토치니코프와 클로카가 1968년 10월 26일 임무 수행 중 운석에 맞았다는 신호를 보낸 뒤 연락이 두절되었고, 소련 당국은 자신들의 결점을 숨기기 위해 소련의 우주개발 역사에서 이스토치니코프의 이름을 지웠다고 주장했다. 폰트쿠베르타는 '스푸트니크 재단'에서 이스토치니코프의 '음성 녹음본, 영상, 주석, 개인 소지품과 평생 동안 찍은 사진들'을 발견했고, 이를 자신이 인수하여 공개할 것이라며 관련 유물 전시를 기획했다.

폰트쿠베르타의 전시는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 이탈리아, 멕시코, 일본,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순회 전시되었다.[16][17] 주스페인 러시아 대사관 측은 "영광스러운 러시아의 과거를 모욕한 일로 몹시 분노한 상태"라며 "외교 라인으로 항의를 제기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3. 1. 조작의 증거

1997년 스페인의 개념미술 작가 호안 폰트쿠베르타는 소유스 2호에 '이반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승무원과 '클로카'라는 개가 탑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토치니코프와 클로카가 1968년 10월 26일 임무 수행 중 운석에 맞았다는 신호를 보낸 뒤 연락이 두절되었고, 소련 당국은 자신들의 결점을 은폐하기 위해 소련의 우주개발 역사에서 이스토치니코프의 이름을 지웠다고 주장했다. 폰트쿠베르타는 '스푸트니크 재단'에서 이스토치니코프의 '음성 녹음본, 영상, 주석, 개인 소지품과 평생 동안 찍은 사진들'을 발견했고, 이를 자신이 인수하여 공개할 것이라며 '소유스 2호' 관련 유물 전시를 기획했다.

폰트쿠르베타의 전시는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 이탈리아, 멕시코, 일본,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순회 전시되었다.[16][17] 주스페인 러시아 대사관 측은 "영광스러운 러시아의 과거를 모욕한 일로 몹시 분노한 상태. 외교 라인으로 항의를 제기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마드리드에서 열린 첫 번째 전시에서 공개된 몇 가지 입증 자료들은 작가 측이 정교하게 만든 작품으로, 승무원이 탑승했다는 주장 역시 거짓임을 보여주었다.

다음은 폰트쿠베르타의 주장이 거짓임을 보여주는 증거들이다.

  • '이반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이름은 '호안 폰트쿠베르타'를 러시아 이름처럼 옮긴 것이다. '호안'은 '요한'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러시아어로는 '이반'에 해당한다.[18][19] '폰트쿠베르타' 역시 스페인어로 '숨겨진 분수'라는 뜻인데, 이것을 러시아어로 옮기면 '이스토치니코프'가 된다.
  • 이스토치니코프의 사진은 작가 본인의 얼굴을 사용했다.
  • 마드리드 전시의 공식 웹사이트 페이지에는 각 페이지 상단에 진한 빨간색 배경에 연한 빨간색 글씨,[20] 또는 흰색 배경에 연분홍색 글씨로 "PURE FICTION" (순전히 창작)이라는 단어가 있었다.[21]
  • 마드리드 전시에서 제공된 카탈로그의 앞면과 뒷면에는 야광 잉크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와 스페인어로 "모두 허구입니다"라는 단어가 인쇄되어 있었다.[22]
  • 스페인 신문 <엘 문도> 홈페이지에서 마드리드 전시를 다룬 기사의 마지막 부분에는 "이전 페이지의 전시 설명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나온 결과물이다"라고 명시되어 있었다.[23]

3. 2. 반응

1997년 스페인의 개념미술 작가 호안 폰트쿠베르타는 소유스 2호에 '이반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승무원과 '클로카'라는 개가 탑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스토치니코프와 클로카가 1968년 10월 26일 임무 수행 중 운석에 맞았다는 신호를 보낸 뒤 연락이 두절되었고, 소련 당국은 자신들의 결점을 지우기 위해 소련의 우주개발 역사에서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이름을 지웠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스푸트니크 재단'에서 이스토치니코프의 '음성 녹음본, 영상, 주석, 개인 소지품과 평생 동안 찍은 사진들'을 발견하였고 자신이 이번에 인수하여 공개할 것이라며 '소유스 2호' 관련 유물 전시를 기획하였다.

폰트쿠르베타의 전시는 스페인, 프랑스, 포르투갈, 이탈리아, 멕시코, 일본, 미국 등 세계 여러 나라에서 순회 전시가 이루어졌다.[16][17] 주스페인 러시아 대사관 측은 "영광스러운 러시아의 과거를 모욕한 일로 몹시 분노한 상태. 외교 라인으로 항의를 제기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마드리드에서 열린 첫번째 전시에서 공개된 몇가지 입증 자료들은 작가 측이 정교하게 만든 작품으로, 승무원이 탑승했다는 주장 역시 거짓임을 시사하였다.

  • '이반 이스토치니코프'라는 이름은 '호안 폰트쿠베르타'를 러시아 이름처럼 옮긴 것이다. 특히 '호안'은 '요한'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러시아어로는 '이반'에 해당된다.[18][19] '폰트쿠베르타' 역시 스페인어로 '숨겨진 분수'라는 뜻인데 이것을 러시아어로 옮기면 '이스토치니코프'가 된다.
  • 이스토치니코프의 사진은 작가 본인의 얼굴을 갖다 썼다.
  • 마드리드 전시의 공식 웹사이트 페이지에는 각 페이지 상단에 진한 빨간색 배경에 연한 빨간색 글씨,[20] 또는 흰색 배경에 연분홍색 글씨로 "PURE FICTION" (순전히 창작)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었다.[21]
  • 마드리드 전시에서 제공된 카탈로그의 앞면과 뒷면에는 야광 잉크를 사용하여 러시아어와 스페인어로 "모두 허구입니다"라는 단어가 인쇄되어 있었다.[22]
  • 스페인 신문 <엘 문도> 홈페이지에서 마드리드 전시를 다룬 기사의 막바지에 "이전 페이지의 전시 설명은 작가의 상상력으로 나온 결과물이다"라고 명시해 두었다.[23]

참조

[1] 웹사이트 Baikonur LC1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3-04
[2] 웹사이트 Soyuz-2 completes its mission https://www.russians[...] 2922-12-27
[3] 웹사이트 Display: Soyuz 2 1968-093A https://nssdc.gsfc.n[...] NASA 2020-05-14
[4] 웹사이트 Trajectory: Soyuz 2 1968-093A https://nssdc.gsfc.n[...] NASA 2020-05-14
[5] 뉴스 El cosmonauta fantasma http://www.el-mundo.[...] El Mundo 1997-05-25
[6] 뉴스 Artists mix fact and fantasy in False Witness exhibition at Bell Gallery http://www.brown.edu[...] Brown University 2001-01-17
[7] 웹사이트 English Catalan Dictionary http://www.diccionar[...]
[8]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Ivan http://www.etymonlin[...]
[9] 웹사이트 Sputnik Foundation https://web.archive.[...] 2008-06-05
[10] 웹사이트 Texts from the SPUTNIK catalog. https://web.archive.[...] 2008-08-21
[11] 서적 Sputnik Fundación Arte y Tecnologia 1997
[12] 웹인용 Baikonur LC1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9-03-04
[13] 웹사이트 Soyuz-2 completes its mission https://www.russians[...] 2922-12-27
[14] 웹인용 Trajectory: Soyuz 2 1968-093A https://nssdc.gsfc.n[...] NASA 2020-05-14
[15] 웹인용 Display: Soyuz 2 1968-093A https://nssdc.gsfc.n[...] NASA 2020-05-14
[16] 뉴스 El cosmonauta fantasma http://www.el-mundo.[...] El Mundo 1997-05-25
[17] 뉴스 Artists mix fact and fantasy in False Witness exhibition at Bell Gallery http://www.brown.edu[...] Brown University 2001-01-17
[18] 웹사이트 English Catalan Dictionary http://www.diccionar[...]
[19]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Ivan http://www.etymonlin[...]
[20] 웹사이트 Sputnik Foundation https://web.archive.[...] 2008-06-05
[21] 웹사이트 Texts from the SPUTNIK catalog. https://web.archive.[...] 2008-08-21
[22] 서적 Sputnik Fundación Arte y Tecnologia 1997
[23] 뉴스 El cosmonauta fantasma http://www.el-mundo.[...] El Mundo 1997-05-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