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파 채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파 채널은 바다에서 소리가 수천 마일 떨어진 곳까지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수온과 수압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음속의 최소 지점인 소파 채널 축을 따라 음파가 굴절되기 때문이다. 이 채널은 해상 조난자 수색, 대잠전, 지진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으며, 냉전 시대에는 소련 잠수함 탐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해양 음향 단층 촬영법, 핵실험 감시, 미사일 시험 등에도 사용되며, 소설 '붉은 10월'과 같은 대중 문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나 - 반향 위치 측정
    반향 위치 측정은 동물이 소리의 반향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능력이며, 박쥐, 고래 등에서 나타나 먹이 탐지, 항법, 포식자 회피에 기여하고 시각장애인도 활용한다.
  • 소나 - 빔포밍
    빔포밍은 신호 처리 기술로, 송신 시 신호의 위상과 진폭을 제어하여 특정 방향으로 전파 에너지를 집중시키고, 수신 시 특정 방향의 신호를 우선 수신하며, 일반 빔포밍과 적응형 빔포밍으로 나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대잠수함전 - 소나
    소나는 음파를 사용하여 수중 물체를 탐지하고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능동 소나와 수동 소나로 나뉘며 군사 및 민간 분야에서 널리 쓰이지만 해양 생태계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대잠수함전 - 어뢰
    어뢰는 수중에서 스스로 움직여 목표물을 공격하는 유도 무기로, 다양한 유도 및 추진 방식과 플랫폼을 통해 해상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각국 해군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 해양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해양학 - 해령
    해령은 대양 중앙부를 따라 뻗은 거대한 해저 산맥으로, 판이 갈라지면서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새로운 해양 지각이 생성되는 곳이며, 활발한 화산 활동과 높은 지각 열류량을 보인다.
소파 채널
개요
다른 이름심해 음향 채널 (Deep Sound Channel, DSC)
소파 채널 (SOFAR channel)
정의해수면 아래에서 음속이 최소가 되는 수평층
원리소리가 최소 음속 깊이로 굴절되어 채널 내에 갇힘
장거리 음파 전파 가능
활용해양 음향 연구
수중 음향 통신
통합 해저 감시 시스템 (IUSS)
음향 거리 측정법
역사
발견제2차 세계 대전 중 모리스 유잉과 J. 라몬 워럴이 발견
초기 목적조난된 해군 조종사 생존 가능성 향상
SOFAR 채널 명칭 유래"Sound Fixing and Ranging"의 약자
1950년대미국 해군의 IUSS에 활용
1990년대지구 온난화 연구에 활용 (히어드 아일랜드 페어웰 테스트)
특징
깊이전형적으로 수심 사이
극지방에서는 더 얕을 수 있음
음속수온, 염도, 압력에 따라 변화
수온 감소와 압력 증가의 영향으로 깊이에 따라 감소하다가 증가
음속 최소 지점에서 채널 형성
음파 전파감쇠가 적어 수천 킬로미터까지 전파 가능
군사적 활용잠수함 탐지 및 추적
수중 통신
과학적 활용해양 온도 변화 감지 및 지구 온난화 연구

2. 원리

음향 펄스는 음향 파동 가이드에 갇혀 있기 때문에 바다에서 먼 거리를 이동한다. 이는 음향 펄스가 표면에 가까워지면 바닥 쪽으로 되돌려지고, 해저에 가까워지면 표면 쪽으로 되돌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다는 소리를 매우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특히 수백 Hz 미만의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전달한다.


온도는 바다에서 소리의 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온도가 높은 지역(예: 해수면 근처)에서는 소리 속도가 더 높다. 온도는 깊이에 따라 감소하며, 온도가 안정되고 압력이 지배적인 요인이 될 때까지 소리 속도도 그에 따라 감소한다. 소파 채널의 축은 압력이 온도를 지배하기 시작하고 소리 속도가 증가하는 깊이에서 최소 소리 속도를 갖는 지점에 있다. 이 지점은 열수층의 바닥이자 깊은 등온층의 상단에 있으며, 따라서 계절에 따라 변동이 있다. 다른 음향 덕트, 특히 상부 혼합층에도 존재하지만, 음선 경로는 표면 또는 바닥 반사로 인해 에너지를 잃는다. SOFAR 채널에서는 특히 낮은 주파수가 덕트로 굴절되어 에너지 손실이 작고 소리가 수천 마일을 이동한다.[10][13][14] 어센션 섬 미사일 충격 위치 시스템 수중 청음기가 소스에서 9200km 떨어진 중간 범위에서 수신한 Heard Island Feasibility Test 데이터 분석 결과, 약 1시간 44분 17초의 이동 시간 후에 예상치 못한 위상 안정성과 진폭 변동과 함께 19~30 dB 범위의 "놀랍도록 높은" 신호 대 잡음비를 보였다.[3]

사운드 채널 축과 임계 깊이에서 바닥을 보여주는 프로필. 바닥 프로필이 사운드 채널 전파에 침입하는 경우, 바닥이 제한된다.


덕트 내에서 음파는 SOFAR 채널 축을 가로질러 진동하는 경로를 따라가므로 단일 신호는 여러 펄스가 날카롭게 정의된 끝에서 절정에 달하는 여러 도착 시간을 갖는다.[11][15] 그 날카롭게 정의된 끝은 축 방향에 가까운 도착 경로를 나타내며 때로는 SOFAR 피날레라고 불리며, 이전 것들은 SOFAR 심포니라고 불린다.[16][17] 이러한 효과는 표면과 임계 깊이 사이에 음선 경로가 포함된 더 큰 사운드 채널 때문이다.[18] 임계 깊이는 사운드 속도가 축 위의 최대 속도와 같아지도록 증가하는 지점인 사운드 속도 최소 축 아래의 지점이다. 바닥이 임계 깊이 위에 있으면 표면 또는 바닥과 교차하는 모든 음선 경로와 마찬가지로 소리가 감쇠된다.[19][20][21][22]

SOFAR 채널 축 깊이, Heard Island에서 Ascension Island까지의 수심 측정 프로필.


채널 축은 위치에 따라 가장 많이 변동하며 고위도(약 60°N 이상 또는 60°S 미만)에서 표면에 도달하고 사라지지만, 소리는 표면 덕트에서 이동한다. 1980년 해군 해양 시스템 센터의 보고서는 호주 퍼스와 버뮤다 사이의 대원 거리 음향 경로에 대한 연구에서 경로를 따라 8개의 위치에서 데이터를 제공하는 예를 제시한다. 퍼스와 버뮤다 모두에서 소리 채널 축은 약 1200m 깊이에 있다. 경로가 남위 52º에서 남극 수렴과 만나는 곳에는 깊은 소리 채널이 없지만, 30m 깊이의 표면 덕트와 200m 깊이의 얕은 소리 채널이 있다. 경로가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남위 43º, 동경 16º에 위치한 한 관측소는 800m에서 SOFAR 유형으로 되돌아가는 프로필을 보여주었다.[23][24]

음속 구배(sound speed gradient영어)는 주수온약층에서는 음의 구배, 심해 등온층에서는 양의 구배를 나타내므로, 이 경계에서 음속이 최소가 되는 깊이가 존재한다. 중위도 해역에서는 깊이 1219m,북극해에서는 해면 부근에서 발견된다. 이 음속 극소점은 음선(소리의 전파 경로)에 대해 일종의 렌즈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이 층 내에서 방사된 에너지는 채널 내에 머물러 해면이나 해저로의 반사에 의한 음향적 손실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를 심해 사운드 채널이라고 한다. 중간 정도의 음향 출력으로도 매우 장거리까지 전파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미국 해군은 1940년대부터 해양에서의 음파 전파 연구를 시작하여, 음원의 탐지 및 위치 극한에 관한 실험을 진행했다. 심해 사운드 채널은 이 때 모리스 유잉 박사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먼저 배치된 것이 SOFAR(Sound Fixing and Ranging영어) 시스템이었다. 이것은 해상에서 추락한 비행사의 수색 구조를 위한 시스템으로, 착수한 비행사가 폭발시킨 작은 폭탄의 소리를 하이드로폰으로 포착하여, 삼각 측량을 통해 비행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곧 이 시스템은 대잠전에 응용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SOSUS로 결실을 맺게 된다.

2. 1. 음속 프로파일

하와이 제도 북쪽 태평양의 음속 프로파일. DSC는 수심 750미터에 나타난다.


하와이 제도 북쪽 태평양의 음속 프로파일에 따르면, 수심 약 750m에서 깊은 사운드 채널(DSC)이 나타난다. 음속 구배는 주 수온약층에서는 음의 구배, 심해 등온층에서는 양의 구배를 나타내며, 이 경계에서 음속이 최소가 되는 깊이가 존재한다. 중위도 해역에서는 약 1200m, 북극해에서는 해면 부근에서 발견된다.

3. 역사

SOFAR 채널은 1940년대 미국 해군의 해양 음파 연구 과정에서 모리스 유잉 박사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음속 구배는 주 수온약층에서는 음의 구배, 심해 등온층에서는 양의 구배를 나타내므로, 이 경계에서 음속이 최소가 되는 깊이가 존재하며, 중위도 해역에서는 깊이 1,219m, 북극해에서는 해면 부근에서 발견된다. 이 음속 극소점은 음선에 대해 일종의 렌즈처럼 작용하기 때문에, 이 층 내에서 방사된 에너지는 채널 내에 머물러 해면이나 해저로의 반사에 의한 음향적 손실이 발생하기 어렵다.

SOFAR 시스템은 해상에서 추락한 비행사의 수색 구조를 위한 시스템으로, 착수한 비행사가 폭발시킨 작은 폭탄(Sofar bomb영어)의 소리를 하이드로폰으로 포착하여, 삼각 측량을 통해 비행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추락한 조종사들이 조난 신호로 사용한 SOFAR 폭탄의 폭발음을 감지하여 위치를 파악하는 데 처음으로 실용화되었다.

이 시스템은 대잠전에 응용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SOSUS(음향 감시 시스템)로 결실을 맺게 된다. 냉전 시대에는 SOFAR 채널을 이용한 SOSUS가 구축되어 소련 잠수함 탐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스템은 1991년 기밀 해제될 때까지 통합 해저 감시 시스템으로 발전했다.

4. 응용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미국 해군은 추락한 조종사들이 조난 신호로 사용하던 SOFAR 폭탄의 폭발을 감지하고 위치를 파악하는 능력을 실험하고 구현하기 시작했다. 알려지지 않은 위치와 알려진 위치에서 신호가 도착하는 시간의 차이를 통해 신호원의 대략적인 위치를 계산할 수 있었다.[11] 도착 시간은 LORAN과 유사한 쌍곡선 위치선을 형성한다. 그 반대, 즉 알려진 해안 위치에서 시간 신호를 감지하여 알 수 없는 지점에서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기술은 SOFAR의 역순인 RAFOS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RAFOS는 미국 실용 항해사 1962년판에서 쌍곡선 항법 시스템 중 하나로 정의되었다.[11][25][26]

초기 응용 분야는 고정된 해안 기지, 종종 SOFAR 기지라고 불리는 곳에 의존했다. 버뮤다 SOFAR 기지와 같이 여러 기지가 음향 연구 시설이 되었고, 이 기지는 퍼스-버뮤다 실험에 참여했다.[23][24] 버뮤다 기지의 기록은 우즈 홀 해양 연구소(WHOI)에서 관리하고 있다.[27] 최근 SOFAR 신호원은 RAFOS 응용 분야에서 특수한 목적으로 배치되었다. 그러한 시스템 중 하나는 케이프 하테라스 해안, 버뮤다 해안, 그리고 해산에 바닥에 닻을 내린 신호원을 배치하여 하루에 세 개의 정확하게 시간 맞춰진 신호를 보내 5 km 정도의 정확도를 제공했다.[28]

초기 응용은 추락한 항공 승무원을 찾는 것 외에도 해군에게 매우 큰 관심사가 되었다. 1949년 해군의 결정으로 1950년까지 SOFAR 채널의 수동 소나 잠재력을 해군의 대잠전(ASW) 노력에 활용할 것을 권고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권고에는 시스템 연구 개발에 연간 1,000만 달러를 지출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1951년까지 시험 배열이 이 개념을 입증했으며, 1952년까지 대서양에 추가 기지가 주문되었다. SOFAR 채널의 첫 번째 주요 활용은 음향 감시 시스템(SOSUS)으로 이어진 기밀 프로그램에서 해양 감시를 위한 것이었다. 이 시스템은 고정 시스템이 이동식 배열로 보강되어 1991년에 시스템의 임무와 성격이 기밀 해제될 때까지 통합 해저 감시 시스템이 될 때까지 기밀로 유지되었다.[8][29][30]

1991년 국립 해양 대기청의 태평양 해양 환경 연구소(PMEL)에 제한적인 민간 접근이 허용된 후 SOSUS를 이용한 지진 모니터링을 통해 육상 기반 센서보다 위치 파악이 더 잘 되면서 해상 지진의 수가 10배나 많다는 것이 밝혀졌다. SOSUS 감지 시스템은 규모 4가 아닌 규모 2 정도의 지진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후안 데 푸카 능선에서 해저 확산과 마그마 현상을 감지하여 연구 선박이 조사할 시간을 벌었다. 이러한 성공의 결과로 PMEL은 전 세계에 배치하기 위해 SOFAR 채널에 부유물과 닻 시스템으로 매달아 사용할 자체 수중 청음 장치를 개발했다.[31]

4. 1. 군사적 응용

1940년대부터 미국 해군은 해양에서의 음파 전파 연구를 시작하여, 음원의 탐지 및 위치 극한에 관한 실험을 진행했다. 심해 사운드 채널은 이 때 모리스 유잉 박사 등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먼저 배치된 것이 SOFAR(Sound Fixing and Ranging영어) 시스템이었다. 이것은 해상에서 추락한 비행사의 수색 구조를 위한 시스템으로, 착수한 비행사가 폭발시킨 작은 폭탄(Sofar bomb영어)의 소리를 하이드로폰으로 포착하여, 삼각 측량을 통해 비행사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곧 이 시스템은 대잠전에 응용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SOSUS(음향 감시 시스템)로 결실을 맺게 된다. SOSUS는 냉전 시대 소련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된 해저 감시 시스템이다.

미사일 충격 위치 시스템(MILS)은 시험 미사일 노즈 콘의 충격 및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6]

4. 2. 민간 응용

해양 음향 단층 촬영법은 두 개의 원거리 기기 사이의 음향 시간 지연을 통해 해양 온도와 해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6]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의 국제 감시 시스템(IMS)은 해양 지진 및 해저 화산 활동 연구에 활용된다.[32]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수색에서는 SOFAR 채널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분석하여 남인도양에서 실종된 여객기의 해양 충돌 가능성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도 했다.

미스터리한 저주파 소리는 대구(''Balaenoptera physalus'')로 알려져 있으며, 이 채널에서 흔히 들을 수 있다. 과학자들은 대구들이 이 채널로 잠수하여 수 킬로미터 떨어진 다른 대구들과 의사소통하기 위해 노래를 부른다고 믿고 있다.[33]

4. 3. 국제 협력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의 국제 감시 시스템(IMS)은 핵실험 감시를 위해 SOFAR 채널을 활용한다.[32] 시험 미사일 노즈콘의 충격 및 위치를 파악하는 미사일 충격 위치 시스템(MILS)에도 SOFAR 채널이 사용된다.[6]

4. 4. 기타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 기구(CTBTO)의 국제 감시 시스템(IMS)은 소파 채널을 활용한다.[32] 미사일 충격 위치 시스템(MILS)은 시험 미사일 노즈 콘의 충격 및 위치를 파악하는 데 소파 채널을 이용한다.[6] 해양 음향 단층 촬영법은 두 개의 원거리 기기 사이의 음향 시간 지연을 통해 해양 온도와 해류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프로젝트 모굴은 상층 대기에 소파 채널과 유사한 채널이 존재한다는 가정에 기반한 프로젝트였다. 말레이시아 항공 370편 수색에서는 소파 채널을 통해 전달된 소리를 분석하여 실종 여객기의 해양 충돌 가능성을 확인하려 했다.

5. 대중 문화

소설 ''붉은 10월''은 잠수함 탐지에 소파 채널의 사용을 묘사하고 있다.

6. 한국의 관점

참조

[1] 서적 Navy Supplement to the DOD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https://apps.dtic.mi[...] Department Of The Navy 2012-06
[2] 간행물 The Heard Island Feasibility Test https://docs.googl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020-09-26
[3] 간행물 Reception at Ascension of the Heard Island Feasibility Test transmissions https://pubs.aip.org[...]
[4] 웹사이트 MSC 2008 in Review — Ocean Surveillance Ships https://www.msc.navy[...] Military Sealift Command 2020-09-28
[5] 문서 Figure 1 of the reference The Heard Island Feasibility Test (Munk) shows ray paths to receiving locations. Table 1 lists the sites with one being a Canadian research vessel with a towed array off Cape Cod. https://docs.google.[...]
[6] 서적 The United States Air Force Eastern Test Range — Range Instrumentation Handbook https://apps.dtic.mi[...] Eastern Test Range, Directorate of Range Operations 2020-09-12
[7] 간행물 From Sheep to Sound Waves, the Data Confirms a Nuclear Test https://foreignpolic[...] FP Group, Graham Holdings Company 2020-09-23
[8] 웹사이트 Integrated Undersea Surveillance System (IUSS) History 1950 - 2010 http://www.iusscaa.o[...] IUSS/CAESAR Alumni Association 2020-09-25
[9] 간행물 William Maurice Ewing (1906-1974)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0-09-25
[10] 간행물 Sounding Out the Ocean's Secrets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0-09-25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OFAR Channel https://dosits.org/s[...] University of Rhode Island and Inner Space Center 2020-09-26
[12] 웹사이트 Saluda https://www.history.[...]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2020-09-26
[13] 보고서 Evaluating the Sonic Layer Depth Relative to the Mixed Layer Depth https://apps.dtic.mi[...] Naval Research Laboratory, Oceanography Division 2020-09-26
[14] Master’s Thesis Sound Propagation Considerations for a Deep-Ocean Acoustic Network https://apps.dtic.mi[...] Naval Postgraduate School 2020-09-26
[15] 문서 The "History of the SOFAR Channel" reference has a recording and sonogram of the effect.
[16] 간행물 Fifteen years of long-range propagation experiments in the North Pacific https://asa.scitatio[...] 2020-09-26
[17] 간행물 Propagation of sound through a spicy ocean, the SOFAR overture https://asa.scitatio[...] 2020-09-26
[18] 문서 The term also has a biological oceanography application.
[19] 간행물 Hydroacoustic event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Atlantis (30°N) and Kane (23°40′N) Transform Faults with the Mid-Atlantic Ridg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6-06-15
[20] 보고서 Bearing Stake Exercise: Sound Speed and Other Environmental Variability http://apps.dtic.mil[...] Naval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y (NORDA) 2020-09-26
[21] 보고서 Oceanographic Variability and the Performance of Passive and Active Sonars in the Philippine Sea https://www.onr.navy[...] 2020-09-27
[22] 문서 Figure 2 on page three of the Williams/Stephen/Smith reference is helpful in understanding critical depth, the SOFAR channel, the entire channel and the ray paths involved.
[23] 보고서 The 1960 Perth to Bermuda antipodal acoustic propagation experiment: A measure of a half-century of ocean warming? https://www.ntnu.edu[...] 2020-09-26
[24] 보고서 Underwater Sound Propagation Paths Between Perth, Australia and Bermuda: Theory and Experiment https://apps.dtic.mi[...] Naval Ocean Systems Center 2020-09-24
[25] 보고서 Use of Artificial Satellites for Navigation and Oceanographic Surveys https://books.google[...] U.S. Coast and Geodetic Survey 2020-09-26
[26] 서적 The American Practical Navigator U.S. Navy Hydrographic Office
[27] 웹사이트 Bermuda SOFAR Station Drum Records https://www.dla.whoi[...] WHOI Data Library and Archives 2020-09-26
[28] 서적 Proceedings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rine Positioning Springer
[29] 간행물 Ears in the Ocean https://www.whoi.edu[...]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2020-09-26
[30] 문서 It is not entirely coincidental that some of the SOSUS shore facilities, termed Naval Facilities (NAVFAC), we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older SOFAR stations. For example Naval Facility Bermuda and Naval Facility Point Sur. The local acoustics were already well known.
[31] 보고서 PMEL/Vents Ocean Acoustics https://pmel.noaa.go[...] Pacific Marine Environmental Laboratory 2020-09-26
[32] 간행물 Acoustic Monitoring of the Global Ocean for the CTBT https://acoustics.as[...] 2020-09-25
[33] 뉴스 Orientation by Means of Long Range Acoustic Signaling in Baleen Whales https://archive.toda[...] Annals NY Acad. Sci.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