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흑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흑점은 1989년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근접 관측하면서 처음 발견된 대기 현상이다. 대흑점, 스쿠터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남위 54도에 위치하며 16.1시간 주기로 해왕성을 동쪽으로 회전했다. 소용돌이의 형태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메테인 구름에 구멍을 만들고 폭풍을 어둡게 하는 특징을 가진다. 1994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서는 대흑점과 함께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과학 - 대흑점
    대흑점은 1989년 보이저 2호에 의해 발견된 해왕성의 거대한 폭풍으로, 목성의 대적점과 유사하며, 1994년에는 사라졌으나 이후 여러 암점들이 관측되었다.
  • 1989년 과학 - 상온 핵융합
    상온 핵융합은 낮은 온도에서 핵융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하며, 1989년 발표되었으나 재현 실패와 이론적 근거 부족으로 과학계에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해왕성 - 위르뱅 르베리에
    프랑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위르뱅 르베리에는 수학적 계산으로 해왕성의 존재를 예측하고 천체역학에 기여했으며, 혜성 연구, 행성 운동표 작성, 수성의 근일점 이동 문제 연구, 기상학 분야 폭풍 예측 시스템 구축 등 다방면에서 활발한 연구를 펼쳐 그의 업적이 천체 이름에 기념되고 있다.
  • 해왕성 -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르베리에의 계산을 바탕으로 1846년 해왕성을 최초로 관측하여 해왕성 발견에 기여했으며, 이후 천문대 대장과 대학교수를 역임하며 다양한 천문 연구를 수행했고 그의 업적은 천체 이름에 기념되었다.
  • 소용돌이 - 사이클론
    사이클론은 저기압성 순환을 보이는 대기 현상으로, 규모와 형성과정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북반구는 반시계 방향, 남반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특징을 갖고, 열대 사이클론은 해수면 온도, 대기 불안정, 습도 등의 조건에서 형성되고 강도에 따라 여러 단계로 구분되며, 지구 외 다른 행성에서도 관측된다.
  • 소용돌이 - 허리케인
    허리케인은 시속 119km 이상의 강풍과 눈을 동반하는 열대성 저기압으로, 대서양 북부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강도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경로가 결정되며,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므로 대비가 중요하다.
소흑점
개요
명칭작은 어두운 점
다른 이름어두운 점 2 (Dark Spot 2)
마법사의 눈 (The Wizard's Eye)
천체해왕성
특징남반구의 사이클론 폭풍
역사
발견보이저 2호
소멸1994년 사라짐
위치 및 특징
위치해왕성 남반구
종류사이클론 폭풍
크기작은 크기
소멸 원인알려지지 않음

2. 관측사

소흑점은 1989년 보이저 2호해왕성을 근접 관측하면서 처음 발견되었다. 대흑점, 스쿠터(빠르게 움직이는 밝은 구름)와 함께 발견되었다.[13] 소흑점은 남위 54도에 위치하며, 16.1시간 주기로 해왕성을 동쪽으로 회전했다.[4] 태양계에서 가장 풍속이 높은 곳인 대흑점과는 달리 소흑점에 대한 풍속 데이터는 수집되지 않았다.[5] 또한 소흑점은 대흑점과 달리 가장자리 주변에 흰색 "동반 구름"이 없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1994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해왕성을 관측했을 때, 두 거대 점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3]

3. 물리적 성질

영어권에서 소흑점에 붙여진 별명인 "마녀의 눈"은 마치 눈과 같은 독특한 모습 때문에 붙여졌다.[15] 전체적으로 소흑점은 다른 점에 비해서는 매우 작게 보이지만, 규모 자체는 대흑점과 거의 비슷하며 남쪽으로 30도 더 아래에 있고, 대흑점보다 2시간 더 빨리 공전한다.[13]

눈 모양의 형상을 띈,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의 폭풍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로 만들어졌으며, 이 소용돌이는 대기를 행성 중심을 향해 안쪽으로 빨아들인다.[14] 대기를 아래쪽으로 빨아들이는 작용 때문에 상층부의 메테인 구름에 큰 구멍이 생겨 폭풍을 전체적으로 어둡게 만들었다.[16] 또한 정확한 측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폭풍의 어두운 영역에는 잘 보이지 않는 강한 바람이 부는 것으로 보이는 날카로운 띠도 가지고 있다.[14]

눈의 동공과 같은 모양을 띄는 밝은 중심 영역은 폭풍의 중심에서 솟아오르는 하얀 메테인 얼음 구름으로 만들어진 것이다.[15] 이 중심 영역의 난류 안에는 거대 구조체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동쪽에 있는 거대한 V자 모양의 기류는 이 폭풍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의미한다.[14] 이 구름들은 행성의 다른 거대 폭풍 가장자리 부근에 있는 '동반 구름'이라고 부르는 메테인 얼음 구름떼들과 같은 성분이지만, 1989년 관측 당시 소흑점에는 동반 구름이 전혀 관측되지 않았다. 1994년 관측에서도 흑점이 있던 영역에 어떠한 동반 구름도 보이지 않았다.[12]

4. 소멸

1994년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 결과, 소흑점은 대흑점과 함께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대흑점은 동반 구름이 남아 있어 저고도에서 계속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소흑점은 동반 구름이 관측되지 않아 생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17][8] 소멸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초속 400m의 적도 제트 기류에 의한 소멸 또는 해왕성 대기의 알려지지 않은 메커니즘에 의한 소멸 가능성이 제기된다.[15][6]

5. 사진

5. 1.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소흑점



소흑점은 1989년 보이저 2호가 해왕성을 근접 관측했을 때 발견된 거대한 폭풍이다. 대흑점, 스쿠터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남위 54도에 위치하고 16.1시간을 주기로 해왕성을 동쪽으로 회전했다.[13] 소흑점은 대흑점과 달리 가장자리에 흰 구름(동반구름)이 없었고, 풍속 데이터도 수집되지 않았다.[14] 1994년 허블 우주망원경 관측에서는 대흑점과 소흑점 모두 사라진 것이 확인되었다.[12]

소흑점은 "마녀의 눈"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눈과 같은 독특한 모습 때문이다.[15] 소흑점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색을 띠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소용돌이가 대기를 행성 중심으로 빨아들여 만들어졌다.[14] 이 과정에서 상층부의 메테인 구름에 큰 구멍이 생겨 폭풍이 어둡게 보인다.[16]

밝은 중심 영역은 폭풍 중심에서 솟아오르는 하얀 메테인 얼음 구름으로 만들어졌으며,[15] 이 안에는 V자 모양의 기류 등 거대한 구조체들이 존재한다.[14]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 Hurricanes https://web.archive.[...] NASA 2012-08-09
[2] 웹사이트 Small Dark Spot http://pds.jpl.nasa.[...] NASA 2012-08-09
[3] APOD Dark Spots on Neptune 2001-08-21
[4] 웹사이트 PIA00046: Neptune Full Disk https://photojournal[...] 1996-01-29
[5] 웹사이트 Neptune's Small Dark Spot (D2) https://www.jpl.nasa[...] 2020-04-23
[6] 웹사이트 NASA's Cosmos https://ase.tufts.ed[...] 2020-04-23
[7] 학술지 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1991-02-22
[8] 학술지 The unusual dynamics of new dark spots on Neptune. 2000-10-01
[9] 문서 日本惑星協会 IMAGE LIBRARY 太陽系 第12回 海王星 http://www.planetary[...]
[10] 웹인용 Historic Hurricanes http://solarsystem.n[...] NASA
[11] 웹인용 Small Dark Spot http://pds.jpl.nasa.[...] NASA
[12] APOD Dark Spots on Neptune August 21, 2001
[13] 웹인용 PIA00046: Neptune Full Disk https://photojournal[...] 1996-01-29
[14] 웹인용 Neptune's Small Dark Spot (D2) https://www.jpl.nasa[...]
[15] 웹인용 NASA's Cosmos https://ase.tufts.ed[...]
[16] 저널 인용 High Winds of Neptune: A Possible Mechanism 1991-02-22
[17] 저널 인용 The unusual dynamics of new dark spots on Neptune. 200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