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도모나스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도모나스과는 그람 음성, 막대 모양, 극성 편모를 가진 세균 속인 슈도모나스속을 포함하는 세균 과이다. 1894년 처음 정의되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분리되고 유전체 해독을 통해 분류가 이루어졌다. 슈도모나스과는 사이토크롬 c 산화 효소를 가지고 산화 효소 양성 반응을 보이며, 발효를 수행하지 않고, Entner Doudoroff 경로를 통해 포도당을 대사한다. 녹농균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회 감염 병원체이며, 산업적 이용 및 식물 병원균으로도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도모나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Pseudomonadaceae |
| 명명자 | Winslow 외, 1917 |
| 유형 속 | 슈도모나스속 |
| 유형 속 명명자 | Migula 1894 (IJSEM 리스트에 등재 1980) |
| 이명 | 아조토박테르과 (Azotobacteraceae) Pribram 1933 (Approved Lists 1980) |
| 하위 분류 | |
| 속 | 아토포모나스 (Atopomonas) Rudra and Gupta 2021 아조모나스 (Azomonas) Winogradsky 1938 (Approved Lists 1980) 아조리조필루스 (Azorhizophilus) Thompson and Skerman 1981 아조토박터 (Azotobacter) Beijerinck 1901 (Approved Lists 1980) 데니트리피키모나스 (Denitrificimonas) Saati-Santamaría et al. 2021 엔토모모나스 (Entomomonas) Wang et al. 2020 할로슈도모나스 (Halopseudomonas) Rudra and Gupta 2021 메소필로박터 (Mesophilobacter) Nishimura et al. 1989 오블리티모나스 (Oblitimonas) Drobish et al. 2016 페르미아니박터 (Permianibacter) Wang et al. 2014 슈도모나스 (Pseudomonas) Migula 1894 (Approved Lists 1980) 리조박터 (Rhizobacter) Goto and Kuwata 1988 루가모나스 (Rugamonas) Austin and Moss 1987 티오슈도모나스 (Thiopseudomonas) Tan et al. 2015 |
2. 역사
슈도모나스속(`Pseudomonas`)이라는 용어는 1894년에 등장했으며, 당시에는 그람 음성이며 막대 모양에 극성 편모를 가진 세균 속으로 다소 모호하게 정의되었다. 이후 많은 종이 이 속에 지정되었다. 슈도모나스는 다양한 자연 서식지에서 분리되었으며, 새로운 방법론과 보존된 거대 분자 연구를 기반으로 한 접근 방식 덕분에 많은 종이 재분류되었다.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회 감염 병원체로 점점 더 인식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의 출현도 나타나고 있다.[5]
2000년에 ''슈도모나스속'' 종의 전체 유전체가 해독되었으며, 최근에는 ''P. aeruginosa'' PAO1(2000), ''P. putida'' KT2440(2002), ''P. fluorescens'' Pf-5(2005), ''P. fluorescens'' PfO-1, ''P. entomophila'' L48을 포함한 다른 종의 유전체도 해독되었다. 토마토 DC3000(2003), ''syringae'' B728a(2005), ''phaseolica'' 1448A(2005)를 포함한 여러 ''Pseudomonas syringae''의 병원성 변종이 해독되었다.[3]
아조토박터과(Azotobacteriaceae)는 2004년에 이 과에 통합되었다.
"모나드"라는 용어는 미생물학 초창기에 단세포 생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슈도모나스는 문자 그대로 "거짓 단위"를 의미하며, 고대 그리스어의 ''슈도''(거짓/ψευδο-grc)와 ''모나스''(μονος - 단일 단위)에서 유래되었다.
2. 1. 한국에서의 슈도모나스 연구
슈도모나스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여 미생물학 초창기에 관찰되었다. 1894년 그람 음성, 막대 모양, 극성 편모 세균의 속으로 정의되었으며, 이후 많은 종이 이 속에 포함되었다가 새로운 방법론과 보존된 거대 분자 연구를 기반으로 재분류되었다.[5]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회 감염 병원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출현도 보고되고 있다.[5] 2000년에 ''Pseudomonas'' 종의 전체 유전체가 해독되었고, 이후 ''P. aeruginosa'' PAO1 (2000), ''P. putida'' KT2440 (2002), ''P. fluorescens'' Pf-5 (2005), ''P. fluorescens'' PfO-1, ''P. entomophila'' L48, 토마토 DC3000 (2003), ''syringae'' B728a (2005), ''phaseolica'' 1448A (2005)를 포함한 여러 Pseudomonas syringae의 병원성 변종의 유전체도 해독되었다.[3]
3. 특징
슈도모나스과는 사이토크롬 c 산화 효소를 가져 산화 효소 양성 반응을 보인다.[7] 발효를 수행할 수 없는 비발효성 세균이다.[7] 6-포스포글리세르알데히드 탈수소효소와 알돌라아제에 의해 매개되는 Entner Doudoroff 경로를 통해 포도당을 대사한다.[6] 극성 편모를 가지고 있어 운동성을 가진다. 많은 종들이 형광 색소 피오베르딘을 생성한다.[6]
산화 효소와 극성 편모의 존재, 그리고 발효를 수행할 수 없다는 점은 슈도모나스를 장내세균과와 구별하게 해준다.[7]
4. 하위 분류
4. 1. IJSEM 미승인 속
- ''Alginomonas''* 알기노모나스속 Thjotta and Kass 1945
- ''Alginovibrio''* 알기노비브리오속 Thjotta and Kass 1945
- ''Azotomonas''* 아조토모나스속 Orla-Jensen 1909
- ''Protaminobacter''* 프로타미노박터속 Den Dooren-De Jong 1926
- ''Saccharomonas''* 사카로모나스속 Shimwell 1950
- ''Sporovibrio''* 스포로비브리오속 Starkey 1938
- ''Azomonotrichon''* 아조모노트리콘속 Thompson and Skerman 1981 (IJSEM 리스트에 게재 1981)은 아조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 ''Flavimonas''* 플라비모나스속 Holmes ''et al''. 1987은 슈도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 ''Neopseudomonas''* 네오슈도모나스속 Saati-Santamaría ''et al''. 2021 (IJSEM 리스트에 게재 2021)은 할로슈도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 ''Oblitimonas''* 오브리치모나스속 Drobish ''et al''. 2016 (IJSEM 리스트에 게재 2021)은 티오슈도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 ''Parapseudomonas''* 파라슈도모나스속 Saati-Santamaría ''et al''. 2021 (IJSEM 리스트에 게재 2021)은 ''Atopomonas''의 시노님이다.
- ''Serpens''* 세르펜스속 Hespell 1977 (IJSEM 리스트에 게재 2021)은 슈도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 ''Stutzerimonas''* Lalucat ''et al''. 2022 (IJSEM 리스트에 게재 2021), 수정 Rudra and Gupta 2024은 슈도모나스속의 시노님이다.
5. 응용 및 중요성
5. 1. 녹농균과 기회 감염
5. 2. 산업적 이용
5. 3. 식물 병원균
참조
[1]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s of Archaea and Bacteria
2015
[2]
논문
Approved Lists of Bacterial Names
[3]
서적
Pseudomonas: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4]
논문
Azotobacter vinelandii: a ''Pseudomonas'' in disguise?
[5]
논문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Comparison of Risks Associated with Different Antipseudomonal Agents
[6]
논문
Pyoverdines: pigments, siderophores and potential taxonomic markers of fluorescent ''Pseudomonas'' species
[7]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1984
[8]
논문
Approved Lists of Bacterial Names
[9]
서적
Pseudomonas: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10]
논문
Azotobacter vinelandii: a ''Pseudomonas'' in disgui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