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도모나스 푸티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는 토양 및 수권 환경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다양한 유기 용매 분해 능력을 바탕으로 생물학적 복원, 유기물 합성, 생물학적 방제 등 다방면으로 활용된다. 16S rRNA 분석에 따르면 슈도모나스 속에 속하지만, 유전체학적 분석 결과 여러 종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세균은 탄화수소 분해 능력으로 특허를 받았으며, 유전체 특성상 DNA 손상을 복구하고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또한, 엔트너-듀도로프 경로를 통해 에너지를 얻고, 시데로포어를 활용하여 철을 획득한다. ''P. putida''는 톨루엔, 나프탈렌 등 유기 용매 분해 능력을 통해 환경 정화에 기여하며,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를 분리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도모나스목 - 녹농균
녹농균은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그람 음성 세균으로, 녹색 색소를 생성하여 청록색을 띠며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기회 감염을 일으켜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 감염증을 유발한다. - 슈도모나스목 - 모락셀라
모락셀라는 점막에 공생하는 세균 속으로, 일부 종은 호흡기 감염이나 안검결막염, 소 전염성 각막결막염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 그람 음성균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그람 음성균 - 리케차
리케차는 사람에게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의 한 종류이며, 혈관 내피 세포에 침투하여 손상을 입히고,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치료하며, 로키산 홍반열 등을 연구하다 사망한 하워드 테일러 리케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슈도모나스 푸티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Pseudomonas putida |
명명자 | Trevisan, 1889 |
타입 균주 | ATCC 12633 CCUG 12690 CFBP 2066 DSM 291 HAMBI 7 JCM 13063 JCM 20120 LMG 2257 NBRC 14164 NCAIM B.01634 NCCB 72006 NCCB 68020 NCTC 10936 |
로마자 표기 | Syudeomonaeu Putida |
기타 명칭 | Bacillus fluorescens putidus" Flügge 1886 Bacillus putidus Trevisan 1889 Pseudomonas eisenbergii Migula 1900 Pseudomonas convexa Chester 1901 Pseudomonas incognita Chester 1901 Pseudomonas ovalis Chester 1901 Pseudomonas rugosa (Wright 1895) Chester 1901 Pseudomonas striata Chester 1901 Pseudomonas mildenbergii Bergey, et al. Arthrobacter siderocapsulatus Dubinina and Zhdanov 1975 Pseudomonas arvilla O. Hayaishi Pseudomonas barkeri Rhodes Pseudomonas cyanogena Hammer |
생물학적 분류 | |
도메인 | 세균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 |
강 | 감마프로테오박테리아 |
목 | 슈도모나스목 |
과 | 슈도모나스과 |
속 | 슈도모나스 |
특징 | |
설명 | KT2440은 HV1 인증을 받았으며, GRAS는 아님. |
역할 | 슈도모나스 주요 진화 그룹 간의 핵심 단백질체 비교 분석은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와 슈도모나스 클로로라피스에 대한 종 특이적 적응을 보여준다. |
특성 | 슈도모나스 푸티다 TOL 플라스미드 이화 경로의 전사 제어.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Pseudomonas putida 클레이드의 유전체, 계통 발생 및 이화 재평가는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및 Pseudomonas shirazica sp. nov.의 구분을 뒷받침한다. |
2. 역사 및 계통 분류
16S rRNA 분석에 따르면, ''P. putida''는 ''Pseudomonas'' 종(''sensu stricto'')으로 분류되며, ''P. putida'' 그룹에 속한다.[3] 그러나 전체 ''Pseudomonas'' 속의 게놈에 대한 계통유전체학적 분석[4][5] 결과, ''P. putida''로 명명된 게놈들이 단일 계통군을 형성하지 않고, 다른 종들을 포함하는 더 넓은 진화적 그룹(putida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이 그룹에는 ''P. alkylphenolia, P. alloputida, P. monteilii, P. cremoricolorata, P. fulva, P. parafulva, P. entomophila, P. mosselii, P. plecoglossicida'' 및 몇몇 유전체 종이 포함된다.
''P. putida''에 속하는 63개 게놈의 단백질 수는 3748-6780개(평균 5197개)이고, GC 함량은 58.7-64.4%(평균 62.3%)이다.[19] 분석된 게놈들의 핵심 단백질체는 1724개의 단백질로 구성되며, 그 중 1개의 단백질만이 다른 슈도모나스류에는 존재하지 않는 특이성을 가진다.[19] ''P. putida'' KT2440 염색체는 상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가닥 대칭성과 내부 가닥 패리티를 특징으로 하며, 각 사핵산은 두 가닥에서 유사한 빈도로 나타난다. ''P. putida''는 DNA 손상 복구 및 회피 기작을 통해 돌연변이를 방지한다.[2]
''P. putida''는 환경 중 기질 분해에 관여하는 산화 환원 효소 유전자를 최소 80개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들 대부분은 환경 중의 화학적 상태를 감지하여 독소에 즉시 반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TOL 및 OCT 플라스미드 등 오염 물질 분해 능력을 부여하는 여러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다.
''슈도모나스 푸티다''는 산소가 있는 토양 및 물 환경에서 발견된다. 생육 최적 온도는 25°C~30°C이다. KT2440주 등의 균주는 근권에서 군집을 형성한다. 뿌리 표면은 세균에 영양소를 공급하고, 이에 대해 ''P. putida''는 병원균이 뿌리에 번식하는 것을 막아 숙주 식물의 성장에 기여한다. 이러한 식물 생장 촉진 효과 때문에 ''P. putida'' 균주는 생물 농약으로서의 이용이 기대되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슈도모나스 푸티다(''P. putida'')는 다양한 유기 용매를 분해하고, 특정 화합물을 합성하며, 식물 병원균에 대한 길항 작용을 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활용된다.
다중 플라스미드 탄화수소 분해 ''Pseudomonas''는 세계 최초로 특허를 받은 유기체이다. 이는 다이아몬드 대 차크라바티 재판에서 미국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인정받았다.[7] 제너럴 일렉트릭에 근무하던 아난다 모한 차크라바티 박사는 원유를 분해할 수 있는 세균(현재의 ''Pseudomonas putida'')을 발견하고 유류 유출 사고 정화 처리에 이용하고자 했다. 제너럴 일렉트릭은 차크라바티를 발명자로 하여 이 세균의 특허를 미국 정부에 출원했지만, 특허 심사과에서 거절당했다. 당시에는 특허법에 따라 생물은 일반적으로 특허성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특허 심판 및 충돌부는 이 결정을 지지했지만, 연방 관세 및 특허 항소 법원은 차크라바티의 주장을 지지하며 판결을 뒤집었다. 당시 특허 상표청 장관 시드니 A. 다이아몬드는 대법원에 상소했고, 1980년 3월 17일에 대법원에서 이 문제가 다루어져 같은 해 6월 16일에 판결이 내려졌다. 이듬해인 1981년 3월 31일에 미국 특허 상표청에서 특허가 정식으로 발행되었다.
3. 유전체학적 특성
4. 대사 특성
''P. putida''는 단백질 및 펩타이드의 분비, 수송, 수정, 복구, 접힘, 안정화, 분해 등 다양한 조절 기구를 통해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가진다. 신호 전달 조절 단백질은 신호 수신뿐만 아니라 특정 프로모터나 레귤레이터도 조절하여 매우 복잡한 대사 경로를 구축하고, 산소나 영양소 이용 가능성 정보를 세포에 전달한다. Crc 단백질은 탄소 대사를 조절하는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되어 바이오필름 형성에도 관여한다.
''P. putida''는 다른 슈도모나스 속 세균처럼 환경에서 철을 획득하는 철 킬레이트제인 시데로포어를 가지고 있으며, 시데로포어에 철 복합체가 수송되도록 돕는 외막 수용체 단백질도 가지고 있다. 획득된 철은 산소가 전자 수용체인 대사 과정에서 이용된다. 산소는 우수한 전자 수용체이지만, 과산화물이나 활성산소 같은 유독한 부산물을 생성하기도 한다. ''P. putida''는 이러한 부산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카탈라아제를 생산한다.
''P. putida''는 지방산 포화도, 시클로프로판 지방산 합성량, 시스-트랜스 이성질화 정도를 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대수 증식기에서 정지기로 전환될 때, 기질 섭취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방산 포화도와 막 유동성을 높인다. 또한, ''P. putida''는 생물에 유해한 유기 용매를 무해한 물질로 변환하는 능력도 가지고 있다.
''P. putida''는 엔트너-듀도로프 경로를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 이 경로에서는 포도당이나 글루콘산 같은 헥소스를 분해하여 포도당 1분자당 1분자의 ATP를 순수하게 얻는다. (참고로 해당 과정에서는 포도당 1분자당 2분자의 ATP를 얻는다.) ''P. putida''는 다른 에너지 획득 경로도 이용할 수 있지만, 주로 엔트너-듀도로프 경로에 의존한다.
5. 분포
6. 활용
균주 | 생성물 |
---|---|
P. putida영어 | 5-시아노펜타아미드, D-p-히드록시페닐글리신 합성 |
P. putida영어 ATCC 33015 | 2-퀴녹살린 아세트산, 5-메틸피라진-2-아세트산 합성 |
P. putida영어 ATCC 12633 | 키랄 화합물 합성 |
6. 5. 생물학적 방제
피티움 아파니더마툼(Pythium phanidermatum) 및 ''푸사리움 옥시스포룸'' f.sp. ''라디시스-리코페르시시''와 같은 식물 병원균에 효과적인 길항제 역할을 하여 생물학적 방제 특성을 보여왔다.[13] ''P. putida''는 피시움(Pythium) 속이나 푸사리움(Fusarium) 속과 같은 식물의 입고병 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작용하여 생물학적 방제에 이용될 수 있다.''P. putida'' 균주는 근권에서 콜로니를 형성하는데, 뿌리 표면은 세균에 영양소를 공급하고, 이에 대해 ''P. putida''는 병원균이 뿌리에 번식하는 것을 막아 숙주 식물의 성장에 기여한다. 이러한 식물 생장 촉진 효과 때문에 ''P. putida'' 균주는 생물 농약으로서의 이용이 기대되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P. putida''를 접종한 버미큘라이트로 재배한 오이의 생장과 수확량은 병원균인 ''Fusarium oxysporum'' f.sp. ''cucurbitacearum''을 접종한 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006년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Forl'')가 일으키는 토마토의 줄기썩음병 및 뿌리썩음병( Tomato foot and root rot영어)을 억제하는 생물 방제 효과를 평가했다. 이 연구에서 강력한 뿌리 콜로니 형성 균주로 여겨지는 ''Pseudomonas fluorescens'' WCS365보다 경쟁력이 높고, TFFR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7개의 균주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3균주가 ''P. putida''였다.
참조
[1]
서적
Bergey's Manual of Systematics of Archaea and Bacteria
https://onlinelibrar[...]
Wiley
2015-04-17
[2]
논문
"Pseudomonas putida KT 2440 is HV 1 certified, not GRAS"
http://dx.doi.org/10[...]
2019-06-14
[3]
논문
Phylogenetic affiliation of the pseudomonads based on 16S rRNA sequence
2000-07
[4]
논문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https://hal.archives[...]
2019-07-01
[5]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Proteomes among the Pseudomonas Major Evolutionary Groups Reveals Species-Specific Adaptations for Pseudomonas aeruginosa and Pseudomonas chlororaphis
2020-07-24
[6]
논문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2019-05
[7]
논문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Pseudomonas putida TOL plasmid catabolic pathways
[8]
논문
Oxidative DNA damage defense systems in avoidance of stationary-phase mutagenesis in Pseudomonas putida
null
2007-08
[9]
논문
Effects of the inoculant strain Pseudomonas putida KT2442 (pNF142) and of naphthalene contamination o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10]
웹사이트
Immortal Polystyrene Foam Meets its Enemy
https://www.livescie[...]
2006-03-07
[11]
논문
A two step chemo-biotechnological conversion of polystyrene to a biodegradable thermoplastic
[12]
논문
Development of formulations of biological agents for management of root rot of lettuce and cucumber
[13]
논문
Selection of bacteria able to control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in stonewool substrate
[14]
서적
Pseudomonas: Genom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2007-09-24
[15]
논문
Industrial biotechnology of Pseudomonas putida and related species
http://link.springer[...]
2012-03
[16]
웹사이트
Newly Discovered Bacteria Lives on Caffeine
https://blogs.scient[...]
2021-11-04
[17]
논문
Characterization of a broad-specificity non-haem iron N-demethylase from Pseudomonas putida CBB5 capable of utilizing several purine alkaloids as sole carbon and nitrogen source
[18]
논문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https://www.scienced[...]
2019-07-01
[19]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re Proteomes among the Pseudomonas Major Evolutionary Groups Reveals Species-Specific Adaptations for Pseudomonas aeruginosa and Pseudomonas chlororaphis
2020-07-24
[20]
논문
Genomic, phylogenetic and catabolic re-assessment of the ''Pseudomonas putida'' clade supports the delineation of ''Pseudomonas alloputida'' sp. nov., ''Pseudomonas inefficax'' sp. nov., ''Pseudomonas persica'' sp. nov., and ''Pseudomonas shirazica'' sp. nov.
2019-05
[21]
논문
Transcriptional control of the Pseudomonas putida TOL plasmid catabolic pathways
[22]
논문
Effects of the inoculant strain Pseudomonas putida KT2442 (pNF142) and of naphthalene contamination on the soil bacterial community
[23]
웹인용
Immortal Polystyrene Foam Meets its Enemy
https://www.livescie[...]
2006-03-07
[24]
논문
A two step chemo-biotechnological conversion of polystyrene to a biodegradable thermoplastic
[25]
논문
Development of formulations of biological agents for management of root rot of lettuce and cucumber
https://archive.org/[...]
[26]
논문
Selection of bacteria able to control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lycopersici in stonewool substr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