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신은 기원전 21세기 우르 제3왕조의 왕으로, 선왕 슈르기의 아들이자 아르마르신의 아들로도 알려져 있다. 그는 엘람 방면의 군사 사령관으로 활동하다가 아르마르신과 대립하여 반란을 일으켜 왕위를 찬탈했다. 통치 기간 동안 시마눔의 반란, 아모리인의 침입, 엘람의 반란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으며, 아모리인에 대응하기 위해 '무리크 티도님' 성벽을 건설했다. 그의 딸을 시마눔의 통치자에게 시집보냈으나 반란으로 인해 딸을 잃기도 했다. 슈신 사후에는 그의 아들 이비신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 제3왕조 - 우르남무
우르남무는 기원전 21세기경 수메르 지역을 통치한 우르 제3왕조의 창건자로서, 우르를 중심으로 메소포타미아 패권을 장악하고 우르 지구라트 건설, 우르남무 법전 제정 등 왕조의 기틀을 다진 인물이다. - 우르 제3왕조 - 아마르신
아마르신은 우르 제3왕조의 왕으로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아모리인과 전투를 벌였으나, 재위 말년에는 권력 다툼과 반역으로 혼란을 겪다 살해당했다. - 우르의 왕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우르의 왕 - 푸아비
푸아비는 우르 왕릉에서 도굴되지 않은 채 발굴된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의 여왕으로, 그녀의 무덤에서는 황금 머리 장식과 우르의 리라를 비롯한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어 당시 수메르 사회의 문화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엿볼 수 있다. - 기원전 20세기 통치자 - 멘투호테프 3세
멘투호테프 3세는 이집트 제11왕조의 파라오로 12년간 통치하며 푼트 원정과 건축 사업을 진행했으나 무덤은 발견되지 않았고 '상카레'라는 왕명을 사용했다. - 기원전 20세기 통치자 - 망 (하나라)
망은 하나라의 왕으로 회왕의 아들이며 상나라 신하 자해가 수도를 옮기고 동중국해에서 큰 물고기를 잡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슈신 | |
---|---|
개요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슈-신 |
통치 기간 (중간 연대기) | 기원전 2037년 – 기원전 2028년 |
이전 통치자 | 아마르-신 |
다음 통치자 | 이비-신 |
자녀 | 이비-신 |
아버지 | 아마르-신 |
왕조 | 우르 제3왕조 |
계승 | 신수메르 제국의 왕 |
칭호 | |
칭호 | 우르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세계 사방의 왕 |
2. 생애
슈신은 선왕 슈르기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전해지나, 수메르 왕 목록에는 아르마르신의 아들로 기록되기도 한다. 그는 엘람 방면 군사 사령관으로 활동하다가 기원전 2040년경 아르마르신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기원전 2038년경 그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후 슈신은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서쪽에서는 아모리인의 침입이 거세졌고, 동쪽에서는 엘람 지역에서 반란이 발생했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슈신은 북서쪽에 무리크 티도님이라 불리는 성벽을 건설하는 한편, 동쪽의 반란을 진압하며 왕조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
그의 사후에는 아들 이비신이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즉위했다.
2. 1. 즉위 과정
슈신은 선왕 슈르기의 아들로 태어났다. (수메르 왕 목록에서는 아르마르신의 아들로 기록되기도 한다.) 그는 엘람 방면의 군사 사령관으로서 동부 도시 데르에 주둔하고 있었으나, 왕위에 오른 아르마르신과 대립하여 기원전 2040년경 반란을 일으켰다. 이 과정에서 아르마르신의 왕비 아비심티 등을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 데 성공하였고, 기원전 2038년경 아르마르신을 몰아내고 왕위를 차지했다.왕위에 오른 슈신은 곧바로 어려움에 직면했다. 기원전 2034년에는 북서부 속국 시마눔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를 진압했다. 그러나 서쪽에서는 아모리인의 침입이 점차 거세지고, 동쪽에서는 엘람의 자브샤리국과 스우국을 중심으로 반란이 발생했다. 슈신은 아모리인에 대응하기 위해 북서쪽에 무리크 티도님('티도님을 저지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아모리인의 부족 디도님족을 가리킨다)이라고 불리는 성벽을 건설하는 한편, 동쪽에서 일어난 엘람의 반란을 진압하여 왕조를 유지했다. 그의 사후에는 아들인 이비신이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즉위했다.
2. 2. 통치와 업적
슈신은 선왕 슈르기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전해지나, 수메르 왕 목록에는 아르마르신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그는 엘람 방면의 군사 사령관으로 동부 도시 데르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왕위에 오른 형 또는 아버지인 아르마르신과 대립하여 기원전 2040년경 반란을 일으켰다. 당시 왕비였던 아비심티 등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는 데 성공한 슈신은 기원전 2038년경 아르마르신을 몰아내고 우르 제3왕조의 왕위를 차지했다.왕위에 오른 슈신은 여러 도전에 직면했다. 기원전 2034년에는 북서부의 속국 시마눔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이를 진압하였다. 서쪽에서는 아모리인의 침입이 점차 거세졌고, 동쪽에서는 엘람의 자브샤리국과 스우국을 중심으로 반란이 일어났다.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슈신은 여러 조치를 취했다. 아모리인의 공개적인 반란 이후, 그는 즉위 4년차에 추가적인 공격을 막기 위해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에 '''무리크 티도님'''(티도님을 저지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아모리인의 한 부족인 디도님족을 가리킴)이라고 불리는 거대한 방벽 건설을 지시했다. 또한 동쪽 엘람 지역의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며 왕조의 안정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개인적인 기록으로는 자신의 딸을 시마눔의 통치자에게 시집보냈다는 비문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후 시마눔과 주변 지역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그의 딸은 거처에서 쫓겨났다. 이에 슈신은 시마눔을 다시 정복하고 딸을 그곳으로 돌려보냈다고 한다.[6] 또한, 이스탄불 2461이라 불리는 설형 문자 점토판에는 한 여성이 슈신에게 보낸 에로틱한 시가 보존되어 있다.[2] 이 시는 왕에 대한 강렬한 사랑과 갈망을 표현하고 있다.[3][4][5]
슈신 사후에는 그의 아들 이비-신이 왕위를 계승하여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2. 3. 연도명
슈신 치세의 연도명은 모두 알려져 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요 연도명과 해당 사건은 다음과 같다.[7]연도 | 주요 사건 |
---|---|
1년 | 슈신이 왕이 되다 |
2년 | 우르의 왕 슈신이 엔키의 배 압주의 아이벡스를 만들거나 수리했다 |
3년 | 우르의 왕 슈신이 시마눔을 파괴했다 |
4년 | 우르의 왕 슈신이 아무르 벽 무리크-티드님/티다눔을 막는 자를 건설했다 |
6년 | 우르의 왕 슈신이 엔릴과 닌릴을 위해 웅장한 석비를 세웠다 |
7년 | 우르의 왕, 사방의 왕 슈신이 자브잘리 땅을 파괴했다 |
9년 | 우르의 왕 슈신이 움마에 있는 샤라 신전을 지었다 |
2. 4. 말년과 죽음
슈신의 사후, 그의 아들이자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인 이비신이 왕위를 계승했다.3. 유물
참조
[1]
웹사이트
Sumerian King List
https://en.wikipedia[...]
2022-12-05
[2]
웹사이트
Oldest love poem
https://www.guinness[...]
2019-07-18
[3]
서적
Lost Treasures of the Bible: Understanding the Bible Through Archaeological Artifacts in World Museums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10-15
[4]
서적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Wisdom, Poetry & Writings: A Compendium of Contemporary Biblical Scholarship
InterVarsity Press
2008-06-06
[5]
웹사이트
The World's Oldest Love Poem
https://www.worldhis[...]
2019-07-18
[6]
간행물
The Bride of Simanum
1975
[7]
웹사이트
T6K4.htm
https://cdli.ucla.ed[...]
[8]
웹사이트
CDLI-Found Texts
https://cdli.ucla.ed[...]
[9]
논문
From the Eurasian Steppes to the Roman Circuses: A Review of Early Development of Horse Breeding and Management
2021-07
[10]
서적
The Golden Deer of Eurasia: Perspectives on the Steppe Nomads of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