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르남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르남무는 우르 제3왕조를 개창한 수메르의 왕이다. 우투-헤갈의 사위이자 우르의 총독이었던 그는 우투-헤갈 사후 왕위에 올라 라가시를 정복하고 우루크를 제압하는 등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통합했다. 니푸르에서 대관식을 치르고 엘람을 격파하여 북동부 지역을 회복했으며, 우르 지구라트를 비롯한 건축 사업을 펼쳤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집인 우르남무 법전을 제정했으며, 그의 치세 동안 왕조의 기반을 다져 아들 술기가 왕위를 계승하여 수메르 문화의 황금 시대를 열었다. 우르남무는 사후 신격화 논쟁이 있었지만, 숭배를 받았고, 우르남무 석비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르 제3왕조 - 아마르신
아마르신은 우르 제3왕조의 왕으로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아모리인과 전투를 벌였으나, 재위 말년에는 권력 다툼과 반역으로 혼란을 겪다 살해당했다. - 우르 제3왕조 - 입비신
입비신은 우르 제3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제국 행정력 약화, 기근, 이슈비-에라의 반란 등 여러 난관에 직면하다 엘람의 침공으로 멸망했으며, 그의 통치 어려움과 멸망 과정은 우르 멸망 애가에 묘사되어 있다. - 우르의 왕 - 메산네파다
메산네파다는 기원전 26세기경 우르를 통치하며 정치적, 경제적 번영을 이끌고 키시의 왕 칭호를 사용한 수메르 왕조의 시조로, 그의 업적은 아안네파다의 헌납 명판과 투말 비문, 그리고 "우르의 보물"을 통해 알 수 있다. - 우르의 왕 - 푸아비
푸아비는 우르 왕릉에서 도굴되지 않은 채 발굴된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의 여왕으로, 그녀의 무덤에서는 황금 머리 장식과 우르의 리라를 비롯한 다양한 부장품이 출토되어 당시 수메르 사회의 문화와 높은 사회적 지위를 엿볼 수 있다. - 고대의 입법자 - 클레이스테네스
클레이스테네스는 기원전 6세기 아테네의 정치가로, 참주를 몰아내고 민주정 개혁을 주도하여 부족 체제를 개편하고 다양한 제도를 도입했으며 페르시아와 관계를 맺었다. - 고대의 입법자 - 테오도시우스 2세
테오도시우스 2세는 408년부터 450년까지 동로마 제국을 통치한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섭정 시대를 거쳐 누이 풀케리아의 영향력 아래 통치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 설립과 테오도시우스 법전 제정 등의 내정 성과와 훈족과의 굴욕적인 평화협정, 신학 논쟁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평가가 엇갈리다 사냥 중 낙마 사고로 사망하여 동로마 제국의 권력 재편을 초래했다.
우르남무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우르의 왕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
재위 기간 | 기원전 2112년 – 기원전 2094년 (중간 연대기) |
왕조 | 우르 제3왕조 |
종교 | 수메르 종교 |
통치 | |
선임자 | 우투-헤갈 |
후임자 | 슐기 |
배우자 | 와타르툼 |
자녀 | 슐기 |
이름 |
2. 우르 제3왕조의 성립
우르남무는 우투-헤갈 사후 우르의 왕이 되어 그의 후계자 지위를 차지했다. 이를 '''우르 제3왕조'''라고 한다. 우르남무는 독립 상태에 있던 다른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차례로 격파하고 통합해 나갔지만, 그 구체적인 과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라가시 제2왕조의 왕 남마하니를 타도한 기록이 남아 있다. 우르남무의 건축 사업은 우루크, 니푸르, 라르사 등지에서 확인되며, 넓은 범위에 지배권을 행사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푸주르-인슈시나크에 의해 점령되었던 중북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고, 더 나아가 수사까지 점령했다고 여겨진다.[15]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잡은 후, 우르남무는 활발하게 건축 사업을 펼쳤다. 특히 아카드 왕조 멸망 이후의 혼란으로 손상된 각지의 지구라트를 재건하고 확장했다. 우르 시에 건설한 달의 신 난나의 신전은 이전의 모든 건축물보다 거대하게 만들어졌다.
우르남무 법전은 현재 알려진 법전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집이다.
우르남무의 치세 중에 왕조의 기반이 어느 정도 다져졌다고 여겨지며, 사후 왕위를 계승한 아들 술기 등 후계자들에 의해 우르 제3왕조는 번영을 구가하며, 수메르 문화의 황금 시대를 열게 된다.
난무라는 이름은 바다의 여신 남무에서 따왔으며, 우르남무는 스스로를 "여신 남무의 시종"이라고 칭했다.[16]
2. 1. 우투-헤갈과의 관계
우르남무는 우루크 제5왕조의 왕 우투-헤갈의 사위로 알려져 있다. 우투-헤갈 생전에는 우르시의 지사로서 신전과 관련된 일을 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영향력을 가졌다. 우투-헤갈 사후에는 우르의 왕이 되어, 우투-헤갈의 후계자 지위를 차지했다. 이를 '''우르 제3왕조'''라고 한다.[15]2. 2. 왕조 개창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18년 동안 재위했다. 이 중 17년의 연호가 알려져 있지만, 그 순서는 불확실하다. 그의 군사적 업적 중에는 라가시 정복과 우루크에서 그의 이전 주인을 격파한 것이 있었다. 그는 결국 니푸르에서 열린 대관식에서 중요한 지역 통치자(우르, 에리두, 우루크)로 인정받았으며, 니푸르, 라르사, 키시, 아다브, 움마에 건물을 건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구티 시대 이후 도로와 일반 질서를 회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의 과도기에는 여러 도시가 독립하게 되었고, 북동부 지역은 엘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우르남무는 수메르어 비문에서 엘람 통치자 쿠틱-인수시나크와 투투브 및 에슈눈나를 포함한 몇몇 도시의 연합군을 격파했다고 기록했다. 이것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엘람 통치자 푸주르-인슈시나크의 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
우르남무는 우루크 제5왕조의 왕 우투-헤갈의 사위로 알려져 있다. 우투-헤갈 생전에는 우르시의 지사로서 신전과 관련된 일을 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영향력을 가졌다.
우투-헤갈 사후에는 우르의 왕이 되어, 우투-헤갈의 후계자 지위를 차지했다. 이를 '''우르 제3왕조'''라고 한다. 독립 상태에 있던 다른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차례로 격파하고 통합해 나갔지만, 그 구체적인 과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지 라가시 제2왕조의 왕 남마하니를 타도한 기록만 남아 있다. 그러나 우르남무에 의해 이루어진 건축 사업이 우루크, 니푸르, 라르사 등지에서 확인되며, 넓은 범위에 지배권을 행사했음이 확실하다. 또한 푸주르-인슈시나크에 의해 점령되었던 중북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고, 더 나아가 수사까지 점령했다고 여겨진다.[15]
3. 통치와 업적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18년 동안 재위했다.[4] 이 중 17년의 연호가 알려져 있지만, 그 순서는 불확실하다. 그의 통치 기간 중 한 연호는 구티움의 파괴를 기록하고 있으며, 두 개의 연호는 그의 법 개혁("우르남무 왕이 백성들의 방식을 아래에서 위로 정비한 해", "우르남무가 땅에 정의를 세운 해")을 기념하는 것으로 보인다.[4] 우르남무는 우투-헤갈 사후 우르의 왕이 되어 우르 제3왕조를 열었으며, 우르남무 법전을 제정하였다.
그는 구티 시대 이후 도로와 일반 질서를 회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치세 중에 왕조의 기반을 다져 그의 사후 왕위를 계승한 아들 술기 등 후계자들에 의해 우르 제3왕조는 번영하며 수메르 문화의 황금 시대를 열게 된다.
우르남무의 연호는 거의 모두 알려져 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의 주요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연호는 다음과 같다.[13]
연도 | 주요 사건 |
---|---|
1 | 우르남무가 왕이 된 해 |
? | 우르남무가 이 땅에 정의를 세운 해 |
? | 우르의 성벽이 건설된 해 |
? | 난나 신전이 건설된 해 |
? | 구티움이 파괴된 해 |
? | 엔릴 신전이 건설된 해 |
? | 엔-에린-눈 운하가 건설된 해 |
? | 우르의 닌순 신전이 건설된 해 |
? | 루갈-바가라 신이 그의 신전으로 모셔진 해 |
3. 1. 정복 활동
우르남무는 우루크 제5왕조의 왕 우투-헤갈의 사위로 알려져 있다. 우투-헤갈 생전에는 우르시의 지사로서 군사적 영향력을 가졌다. 우투-헤갈 사후 우르의 왕이 되어 '''우르 제3왕조'''를 열었다. 라가시 제2왕조의 왕 남마하니를 타도한 기록이 남아있으나[15], 독립 상태에 있던 다른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차례로 격파하고 통합해 나간 구체적인 과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우르남무에 의해 이루어진 건축 사업이 우루크, 니푸르, 라르사 등지에서 확인되며, 넓은 범위에 지배권을 행사했음이 확실하다. 또한 푸주르-인슈시나크에 의해 점령되었던 중북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고, 더 나아가 수사까지 점령했다고 여겨진다.[15]3. 2. 건축 사업
우르남무는 지구라트 건설을 포함한 여러 건축 사업을 펼쳤다. 특히 아카드 왕조 멸망 이후 혼란기에 손상된 각지의 지구라트를 재건하고 확장했다. 그가 건설한 우르 시의 달의 신 난나의 신전은 이전의 모든 건축물보다 거대하게 만들어졌다.[15]
그는 니푸르, 라르사, 키시, 아다브, 움마에도 건물을 건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르남무의 대관식"과 "우르-남마 D"로 알려진 후대의 수메르 문학 작품은 우르남무가 건설한 운하를 언급하고 있다.[8]
3. 3. 우르남무 법전
우투-헤갈 사후 우르의 왕이 된 우르남무가 제정한 우르남무 법전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법전집이다.[15]3. 4. 기타 업적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18년 동안 재위했다. 이 중 17년의 연호가 알려져 있지만, 그 순서는 불확실하다. 그의 통치 기간 중 한 연호는 구티움의 파괴를 기록하고 있으며, 두 개의 연호는 그의 법 개혁을 기념하는 것으로 보인다("우르남무 왕이 백성들의 방식을 아래에서 위로 정비한 해", "우르남무가 땅에 정의를 세운 해").[4]그의 군사적 업적 중에는 라가시 정복과 우루크에서 그의 이전 주인을 격파한 것이 있었다. 그는 결국 니푸르에서 열린 대관식에서 중요한 지역 통치자(우르, 에리두, 우루크)로 인정받았다. 그는 니푸르, 라르사, 키시, 아다브, 움마에 건물을 건설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는 구티 시대 이후 도로와 일반 질서를 회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아카드 제국 멸망 이후의 과도기에는 여러 도시가 독립하게 되었고, 북동부 지역은 엘람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우르남무는 수메르어 비문에서 엘람 통치자 쿠틱-인수시나크와 투투브 및 에슈눈나를 포함한 몇몇 도시의 연합군을 격파했다고 기록했다. 이것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엘람 통치자 푸주르-인슈시나크의 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
우르남무는 또한 우르 대 지구라트를 포함한 여러 지구라트 건설을 명령했다.[6]
우르남무는 우루크 제5왕조의 왕 우투-헤갈의 사위로 알려져 있다. 우투-헤갈 생전에는 우르시의 지사로서 신전과 관련된 일을 하였으며, 군사적으로도 영향력을 가졌다.
우투-헤갈 사후에는 우르의 왕이 되어, 우투-헤갈의 후계자 지위를 차지했다. 이를 '''우르 제3왕조'''라고 한다. 독립 상태에 있던 다른 수메르 도시 국가들을 차례로 격파하고 통합해 나갔지만, 그 구체적인 과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지 라가시 제2왕조의 왕 남마하니를 타도한 기록만 남아 있다. 그러나 우르남무에 의해 이루어진 건축 사업이 우루크, 니푸르, 라르사 등지에서 확인되며, 넓은 범위에 지배권을 행사했음이 확실하다. 또한 푸주르-인슈시나크에 의해 점령되었던 중북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하고, 더 나아가 수사까지 점령했다고 여겨진다.[15]
메소포타미아의 패권을 잡은 후, 활발하게 건축 사업을 펼쳤다. 특히 아카드 왕조 멸망 이후의 동란으로 손상된 각지의 지구라트를 재건하고 확장했다. 건설한 우르 시의 달의 신 난나의 신전은, 그 이전의 모든 건축물보다 거대하게 만들어졌다.
그가 제정한 우르남무 법전은 현재 알려진 법전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법전집이다.
그의 치세 중에 왕조의 기반이 어느 정도 다져졌다고 여겨지며, 사후 왕위를 계승한 아들 술기 등 후계자들에 의해 우르 제3왕조는 번영을 구가하며, 수메르 문화의 황금 시대를 열게 된다.
그의 이름 난무는 바다의 여신 남무에서 따왔으며, 스스로를 "여신 남무의 시종"이라고 칭했다.[16]
4. 신격화 논쟁
우르남무는 기원전 3천 년기 메소포타미아 왕들 중 사후에 신격화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1] 이는 다음의 사실들로 증명된다.
- 사후 수메르 문학에서 우르남무의 이름 앞에 신적 결정사(神的決定辭)가 한 번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ETCSL의 텍스트 전사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우르남무의 죽음"에 신의 버림받음이라는 주제가 나타난다.
- 슐기가 우르남무가 아닌 전설적인 우루크 왕조의 일원들에게 자신의 혈통을 홍보했다.[2]
수메르 텍스트의 일부 번역본에는 우르남무의 이름 앞에 신적 결정사가 포함되어 있었지만,[3] 최근의 증거는 이것이 잘못된 추가였음을 시사한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이 사후에 신격화되었다는 믿음은 최근에도 표현되었으며, 이 문제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여준다. (이는 새로운 증거 해석과 같은 해에 쓰여졌으므로, 그 해석을 언급할 수는 없었다.)[5] 셜락은 최근 우르남무가 신격화되지 않았다는 주장이 많은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언급했다.[6]
신격화 논쟁의 현재 상태와는 별개로, 우르남무는 분명히 사후에 숭배받았다. 투물 궁전에는 우르남무(e Tum-ma-al Ur-dNamma)와 그의 아내 와타르툼(SI . A.tum)을 위한 장례 예배당이 있었다.[7] 건축 자재는 바빌론, 쿠타, 아답과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가져왔다.[8] 우르 제3왕조 통치자 우르남무를 위한 키-아-나그, 즉 장례 제물은 투물에서 거행되었다. 그의 무덤이 우르에서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투물에 묻혔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9][10]
5. 사후
우르남무는 기원전 3천 년기 메소포타미아의 왕들 중 드물게 사후에 신격화되지 않은 인물로 주목받는다.[10] 비록 일부 번역본에는 우르남무의 이름 앞에 신을 뜻하는 기호가 붙어 있기도 했지만,[10]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는 잘못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12]
우르남무가 신격화되지 않았다는 주장은 여러 학자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0] 그 근거로는 사후 수메르 문학 작품에서 우르남무의 이름 앞에 신을 나타내는 기호가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 "우르남무의 죽음"이라는 작품에서 신에게 버림받았다는 주제가 나타난다는 점, 그리고 아들 술기가 자신의 혈통을 우르남무가 아닌 전설적인 우루크 왕조의 왕들에게 연결하려 했다는 점 등이 제시된다.[12]
신격화 여부와는 별개로, 우르남무는 사후에도 숭배를 받았다. 투물 궁전에는 우르남무와 그의 아내 와타르툼을 위한 장례 예배당이 있었으며,[13] 투물에서는 우르남무를 위한 장례 제물 의식인 키-아-나그가 거행되었다. 우르에서 우르남무의 무덤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가 투물에 묻혔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14]
5. 1. 죽음과 장례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18년 동안 재위했다.[4] 그의 딸 중 한 명인 아마-바라그는 지역 남성과 결혼했고, 다른 딸 엔-니르-갈-안-나는 우르의 난나 신의 엔-사제로 봉헌되어 그 직위에 맞는 이름을 받았다. 우르에서 발견된 두 개의 비문이 이를 뒷받침한다."우르남무의 대관식"과 "우르-남마 D"는 후대의 수메르 문학 작품으로, 우르남무가 건설한 운하를 언급한다.[8] 이 작품들은 니푸르와 우르에서 발견되었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구 바빌로니아 시대의 세 가지 판본으로 전해진다. 우르-남마에 관한 여러 수메르 문학 작품은 A부터 H까지 분류되어 있다. "우르남무의 죽음"(Ur-Namma A)은 찬가, 애가, 또는 지혜 문학으로 다양하게 묘사되는 또 다른 중요한 후대 수메르 문학 작품이다.[9] 이 작품은 우르남무의 죽음, 장례, 그리고 지하 세계로의 여정을 다룬다. 여러 박물관에 보관된 약 9개의 손상된 점토판과 파편을 통해 텍스트의 상당 부분을 복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우르남무의 죽음에 대한 묘사는 손상, 모호성, 은유적 표현으로 인해 후대 학자들이 그가 전투에서 군대에 버려져 사망했다는 해석을 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0][11][12]
5. 2. 계승
수메르 왕 목록에 따르면, 우르남무는 18년 동안 재위했다.[4] 이 중 17년의 연호가 알려져 있지만, 그 순서는 불확실하다. 그의 통치 기간 중 한 연호는 구티움의 파괴를 기록하고 있으며, 두 개의 연호는 그의 법 개혁을 기념하는 것으로 보인다("우르남무 왕이 백성들의 방식을 아래에서 위로 정비한 해", "우르남무가 땅에 정의를 세운 해").[4]그는 아들 술기에게 왕위를 계승했다.[7] 알려진 딸 중 한 명인 아마-바라그는 지역 남성과 결혼했다. 다른 딸은 우르의 난나 신의 엔-사제로 봉헌되었으며, 엔-니르-갈-안-나(En-nirgal-ana)라는 성직자 이름을 받았다.
우르남무는 기원전 3천 년기 메소포타미아 왕들 중 사후에 신격화되지 않은 몇 안 되는 인물 중 하나로 주목할 만하다.[10] 이는 사후 수메르 문학에서 우르남무의 이름 앞에 신적 결정사(神的決定辭)가 한 번도 포함되지 않는다는 사실, "우르남무의 죽음"에 나타난 신의 버림받음이라는 주제, 그리고 술기가 우르남무가 아닌 전설적인 우루크 왕조의 일원들에게 자신의 혈통을 홍보했다는 사실로 증명된다.[12]
신격화 논쟁의 현재 상태와는 관계없이, 우르남무는 분명히 사후에 숭배받았다. 투물 궁전에는 우르남무(e Tum-ma-al Ur-dNamma)와 그의 아내를 위한 장례 예배당이 있었다. 그의 아내는 SI . A.tum, 즉 와타르툼으로 알려져 있다.[13] 우르 제3왕조 통치자 우르남무를 위한 키-아-나그, 즉 장례 제물은 투물에서 거행되었다. 그의 무덤이 우르에서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는 투물에 묻혔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14]
우르남무의 치세 중에 왕조의 기반이 어느 정도 다져졌다고 여겨지며, 사후 왕위를 계승한 아들 술기 등 후계자들에 의해 우르 제3왕조는 번영을 구가하며, 수메르 문화의 황금 시대를 열게 된다.
6. 우르남무 석비
우르남무 석비 조각의 일부는 1920년대에 우르에서 발굴되었으며, 특히 1925년에 레오나드 울리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박물관과 대영 박물관의 공동 탐험대 후원으로 난나 신전 구역에서 발굴했다.[1]
레오나드 울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하지만 우리의 주요 발견은 에-두블랄-마의 안뜰과 그 안뜰로 이어지는 문 앞에서 이루어졌다. 이곳의 포장도로에는 크고 작은 석회암 조각들이 흩어져 있었는데, 이는 양쪽에 정교하게 조각된 부조가 새겨진 거대한 석비 한 개 또는 두 개로 추정되며, 너비 5피트, 높이 15피트 정도였다. 일부 조각에서는 돌이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었지만, 다른 조각에서는 표면이 벗겨지고 염분에 의해 손상되었으며, 부조는 의도적으로 부서져 조각들이 현장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영어[2]
석비의 최초 출판자는 이를 "날아다니는 천사의 석비"라고 불렀다.[3] 대부분의 조각은 기저부 근처에서 발견되었다.[4] 일부 조각은 이동되어 문 소켓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카시트 왕조 (기원전 1595-1155년경) 시대 유물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반 밀레니엄이 지난 후였다. 한쪽 면은 다른 쪽 면보다 눈에 띄게 더 잘 보존되어 있었다. 1932-1933년 시즌에 하나의 큰 조각이 회수되었다.[5] 몇 개의 조각이 우르 제3왕조 멸망 시대의 유물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발굴자는 이 석비가 마지막 우르 제3왕조 통치자 이비-신 (기원전 2028–2004년경)의 통치 말기에 산산조각이 났고, 조각들은 카시트인들에 의해 편리한 건축 자재로 사용되었음을 시사했다.[6]
석회암 판은 제대로 조립되었다는 가정하에 높이 3m, 너비 1.52m이다. 석비 조각은 1927년부터 여러 번 재조립되었으며, 매번 다르게 조립되었다. 재조립의 기본 원칙은 1) 한 면이 눈에 띄게 더 잘 보존되어 있고, 2) 석비의 인물들이 위로 올라갈수록 더 크며, 3) 석비의 가장자리가 매끄럽다는 것이다. 원래 각 면에 5개의 가로 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장면의 식별 및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이 있었다. 1989년에 석비를 분해하여 연구를 진행했을 때, 광물학적 분석 결과 여러 조각이 실제로 석비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7] 동시에, 보관되어 있던 조각보다 더 많은 조각들이 우르남무 석비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조각 수는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조각 1개를 포함하여 총 106개로 늘어났다(대영 박물관에 있는 다른 두 개의 조각도 우르남무 석비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됨). 이 석비와 우투헤갈 석비는 동시에 발굴되었으며, 발견물은 후원자들 사이에 분배되었다. 이 석비에 어떤 조각이 속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열려 있다.[8] 현재는 펜 박물관(University Museum)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9][10][11][12]
7. 유물
참조
[1]
Cuneiform
𒌨𒀭𒇉 UR dingir NAMMU / 𒍑𒆗𒂵 NITAH KALAG ga / 𒈗𒋀𒀊𒆠𒈠 LUGAL URIM KI ma
[2]
웹사이트
Hash-hamer Cylinder seal of Ur-Nammu
https://www.britishm[...]
[3]
서적
Communication and Materiality: Written and Unwritten Communication in Pre-Modern Societies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
[4]
웹사이트
Year-names for Ur-Nammu
http://cdli.ucla.edu[...]
[5]
간행물
Royal Titles from the Mesopotamian Periphery
1980
[6]
웹사이트
The ziggurat (and temple?) of Ur-Nammu
https://web.archive.[...]
2007-07-08
[7]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Near East to 1600 BC
Routledge
2006
[8]
웹사이트
"Ur-Namma the canal-digger (Ur-Namma D)" at ETSCL
https://etcsl.orinst[...]
[9]
웹사이트
"The death of Ur-Namma (Ur-Namma A)" at ETSCL
https://etcsl.orinst[...]
[10]
간행물
The Death of Ur-Nammu and His Descent to the Netherworld
1967
[11]
간행물
Urnammu. Three Religious Texts
1957
[12]
간행물
The Death of Ur-Nammu
Otto Harrassowitz
1991
[13]
웹사이트
"Year names of Ur-Nammu", Cuneiform Digital Library Initiative
https://cdli-gh.gith[...]
[14]
웹사이트
Hash-hamer Cylinder seal of Ur-Nammu
https://www.britishm[...]
[15]
서적
Puzur-Inˇsuˇsinak at Susa: A Pivotal Episode of Early Elamite History Reconsidered
https://www.academia[...]
[16]
서적
神女列伝―比較神話学試論2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