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은 1995년 에드워드 N. 잘타가 창간한 온라인 철학 백과사전이다. SEP는 전통적인 학술적 접근 방식을 따르며, 2022년 8월 기준 1,774개의 항목을 제공한다. 각 항목은 전문가의 기고와 동료 평가를 거쳐 갱신되며, 학자 간의 논쟁을 반영하기 위해 동일 주제에 대한 여러 견해를 게재한다. 초기에는 CSLI의 지원과 공공 기금으로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대학 도서관과 개인 기부를 통해 오픈 액세스를 유지하며, 미러 서버를 통해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돕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 백과사전 -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
인터넷 철학 백과사전(IEP)은 제임스 피저가 1995년 설립하여 철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학술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철학 백과사전으로, 비영리 단체를 통해 운영되며 교수진이 편집자로 활동하고 미국 도서관 협회 등에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로 인정받고 있다. - 자유 온라인 백과사전 - 누피디아
누피디아는 1999년 시작되어 전문가 중심의 백과사전을 지향했으나 위키백과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2003년 종료되었고, 위키백과의 성공에 영향을 미쳤다. - 자유 온라인 백과사전 - 백괴사전
백괴사전은 위키백과의 패러디를 목적으로 조너선 황과 스틸워터스에 의해 2005년 설립된 위키 기반 웹사이트로, 위키백과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와 편집 시스템을 갖추고 유머, 왜곡, 패러디, 풍자를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문서가 주된 콘텐츠이다. - 미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1768년 에든버러에서 초판 발행 후 15개의 판본을 거치며 발전해 온 세계적인 백과사전으로, 현재는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권위 있는 지식 정보의 원천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주제 범위의 편향성과 정보 정확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미국의 온라인 백과사전 - 뮤직브레인즈
뮤직브레인즈는 CDDB 상업화에 대응하여 로버트 케이에 의해 설립된 음악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로, 사용자들이 편집한 음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며, BBC, Amazon.com, Spotify 등에서 활용되고, 메타데이터 태깅 소프트웨어와 음향 지문 기술을 제공하며, 인터넷 아카이브와 협력하여 커버 아트 및 이벤트 아트 아카이브를 운영한다.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
로마자 표기 | Seuteanpodeu Cheolhak Baekgwasaejeon |
유형 | 온라인 백과사전 |
분야 | 철학 |
언어 | 영어 |
등록 | 필요 없음 (PDF 다운로드 시 필요) |
편집자 | 에드워드 N. 잘타 우리 노델만 |
저자 | 에드워드 N. 잘타 |
설립일 | 1995년 |
ISSN | 1095-5054 |
OCLC | 643092515 |
내용 라이선스 | 저작권 정보 참조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저작권 정보 |
소유주 | 스탠퍼드 대학교 언어 정보 연구 센터, 형이상학 연구실 |
웹사이트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공식 웹사이트 |
내용 | |
항목 수 | 1600개 이상 |
査読 | 있음 |
현재 상태 | 항목 수 증가 중 |
운영 및 자금 | |
운영 기관 | 스탠퍼드 대학교 언어 정보 연구 센터, 형이상학 연구실 |
자금 | 연구 보조금 (전미 인문 과학 기금, 미국 과학 재단 등) 세계 558개 도서관 기부금 개인 기부금 |
영리성 | 비영리 |
기타 | |
추가 정보 |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소개 |
2. 역사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은 1995년 에드워드 N. 잘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2] 대부분의 백과사전과 학술지의 전통적인 학문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한다. 백과사전과 동료평가를 통해 다루는 영역에서 유능한 편집자나 편집위원회가 현장에서 선별한 전문적인 작가들을 통하여 획득한 높은 수준의 문서를 얻어낸다.[5]
에드워드 N. 잘타는 시간이 흘러도 뒤처지지 않는 역동적인 백과사전을 제공하고자 했다.[1][6] 백과사전의 성격은 학자들 사이의 논리적인 불합치를 반영하기 위해 동일한 주제로 서로 대립하는 글들이 올라오는 것을 허용한다.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처음에는 미국의 국립인문학기금과 국립과학재단의 공공기금을 토대로 개발되었다.[3] 많은 대학 도서관들과 도서관 협회들이 백과사전에 대한 오픈액세스를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자금조달을 도왔다. 이 기관들은 스탠퍼드 백과사전이 학술자료출판연합, 국제도서관협회연합, 남동부도서관네트워크와 함께 고안한 계획에 따라 국립인문학기금이 진행하는 자금조달에 기여한다.
2. 1. 시작과 발전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은 1995년 에드워드 N. 잘타가 만들었다.[2] 이 백과사전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역동적인 백과사전을 제공하여, 종이책 형태의 백과사전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내용이 뒤처지는 것을 막고자 했다.[1][6] 학자들 간의 의견 불일치를 반영하기 위해 같은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글들이 올라오는 것을 허용한다.
SEP는 스탠퍼드 대학교의 독립 연구소 중 하나인 언어정보연구센터(CSLI)에 의해 시작되었다.[13] 당시 CSLI 대표인 존 페리는 철학 관련 온라인 백과사전을 만들어 CSLI의 존재감을 보여주고자 했다.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에드워드 잘타가 SEP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CSLI 자체 자금으로 프로젝트가 운영되었으나, 2년 후에는 미국의 국립인문학기금(NEH)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았다.[13] 이후에도 국립과학재단(NSF) 등 여러 기관으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발전했다.[3] 2007년 기준으로 SEP는 1000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지원받는 대형 프로젝트로 성장했으며, 편집 위원은 세계 학술 기관에 소속된 대학교수 등 전문가 105명, 저술자는 1143명에 달했다.[15][14] SEP는 발족 10년이 넘은 현재까지도 꾸준히 항목 수를 늘리고 있다.
2. 2. 자금 지원 및 운영 방식
에드워드 N. 잘타는 1995년에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을 만들면서, 시간이 흘러도 뒤처지지 않는 역동적인 백과사전을 제공하고자 했다.[1][6] 초기에는 미국 국립 인문학 재단과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되었다.[3]초기 운영비는 언어정보연구센터(CSLI) 자체 자금으로 충당되었다.[13] 2년 후부터는 여러 연구비를 지원받아 운영되었다.[9]
기간 | 연구비 지원 기관 | 금액 |
---|---|---|
1998년 10월 - 2000년 9월 | 미국 국립인문과학재단(NEH) 보존 및 접근 부서 | 131400USD |
2000년 10월 - 2003년 9월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정보 및 지능 시스템 (NEH 지원) | 528900USD |
2002년 2월 - 2002년 8월 | 앤드류 W. 멜론 재단 | 43000USD |
2003년 10월 - 2005년 9월 | 미국 국립인문과학재단(NEH) 보존 및 접근 부서 | 300828USD |
2005년 1월 - 2008년 12월 | 미국 국립인문과학재단(NEH) 과제 지원 부서 (SOLINET에 SEP용으로 지원) | 500000USD |
2005년 10월 - 2007년 9월 | 미국 국립인문과학재단(NEH) 보존 및 접근 부서 | 150000USD |
2005년 9월 - 2007년 8월 | 윌리엄 앤드 플로라 휴렛 재단 교육, 기술, 공개 콘텐츠 | 190000USD |
하지만 연구비는 지원 여부와 금액을 예측하기 어려워 장기적인 운영 자금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어, 현재는 보다 안정적인 자금원으로 전환하고 있다.[10]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오픈 액세스를 유지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며,[17][18] 학술지처럼 회원제로 구독료 수입을 얻는 방식은 고려하지 않는다.
현재 운영비는 여러 대학 도서관의 자금 지원과 개인 기부를 통해 충당하고 있다.[10] 2007년부터 3년간 도서관 지원으로 300만달러, 개인 기부로 1125000USD를 모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대학 도서관에는 학술지를 구독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19]
구분 | 금액 |
---|---|
철학 박사 학위 수여 기관 | 연간 5000USD |
철학 석사 학위 수여 기관 | 연간 2000USD |
철학 학사 학위 수여 기관 | 연간 1000USD |
2007년 4월 현재, 전 세계 558개 도서관이 지원하고 있으며,[11] 이는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의 주요 자금원이 되고 있다. 개인 기부는 [https://plato.stanford.edu/fundraising/donate.html Giving to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페이지에서 받고 있으며, 금액은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학술 출판 및 학술 자원 연합, 국제 도서관 컨소시엄 연합, 남동부 도서관 네트워크 등 여러 기관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미국 국립 인문학 재단의 매칭 자금도 지원받고 있다.[3]
3. 특징
2022년 8월 5일 기준으로,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에는 1,774개의 항목이 게시되어 있다.[5] 온라인 백과사전이지만, 대부분의 백과사전과 학술지처럼 전통적인 학술적 접근 방식을 따른다.
SEP의 로고는 스탠퍼드 대학교가 공동 소유하고 있으며, 대학의 상징과 문화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생각하는 사람''의 형태로 SEP의 약자를 묘사하고 있다.[7]
3. 1. 학술적 접근 방식
이 백과사전은 대부분의 백과사전과 학술지의 전통적인 학술적 접근 방식을 따른다. 전문 편집 위원회와 동료 검토를 통해 엄선된 저자들이 작성한 항목들을 제공한다.[5]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학자들 사이의 논리적인 불일치를 반영하기 위해 동일한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진 글들이 올라오는 것을 허용한다.
3. 2. 역동적인 백과사전
에드워드 N. 잘타는 1995년에 종이책 형태의 전통적인 백과사전처럼 시간이 흐르면서 뒤처지지 않는,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역동적인 백과사전을 만들었다.[1][6] 백과사전은 학자들 사이의 논리적인 불합치를 반영하기 위해 동일한 주제에 대한 대립하는 글들을 허용한다.[3]
초기에 국립 인문학 재단과 국립 과학 재단의 미국 공공 자금으로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이 개발되었다. 개방 접근을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기금 모금 계획은 많은 대학 도서관과 도서관 컨소시엄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 기관들은 학술 출판 및 학술 자원 연합, 국제 도서관 컨소시엄 연합, 남동부 도서관 네트워크와 SEP가 공동으로 고안한 계획에 따라 기여하며, 국립 인문학 재단의 매칭 자금을 지원받는다.[3]
3. 3. 온라인 접근성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은 모든 항목을 온라인으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3] 이는 에드워드 N. 잘타가 1995년에 백과사전을 만들면서, 시간이 지나도 뒤처지지 않는 역동적인 백과사전을 제공하고자 했던 목표에 따른 것이다.[2][1][6]
초기에 백과사전은 미국의 국립인문학기금과 국립과학재단의 공공기금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3] 이후 많은 대학 도서관과 도서관 협회들이 백과사전의 오픈액세스 유지를 위한 장기적인 자금 조달 계획에 동참하여, 학술자료출판연합, 국제도서관협회연합, 남동부도서관네트워크와 함께 기금을 마련하고 있다.[3]
4. 구성 및 내용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EP)은 철학의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온라인 백과사전이다. 각 항목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가 작성하며, 동료평가를 거쳐 높은 수준을 유지한다.
4. 1. 항목 구성
2022년 8월 5일 기준으로,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에는 1,774개의 항목이 게시되어 있다. 각 항목은 해당 분야 전문가들에 의해 작성되고, 정기적인 개정을 거친다.[5] 이 백과사전은 온라인상의 상태와는 별개로 대부분의 백과사전과 학술지의 전통적인 학문적인 접근방식을 사용한다. 즉, 백과사전과 동료평가를 통해 다루는 영역에서 유능한 편집자나 편집위원회가 현장에서 선별한 전문적인 작가들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문서를 획득한다.[5]4. 2. 기사 특징
각 기사 상단에는 PDF 텍스트 링크(유료), InPho 검색 링크, PhilPapers 링크가 제공된다.[20] 기고 및 개정 정보는 심사를 통과하는 대로 [http://plato.stanford.edu/new.html What's New] 페이지에 목록으로 표시된다. 기사 개정 기록은 각 기사 페이지 상단의 "Cite this entry"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5. 미러 서버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은 2007년 4월 현재, 전 세계 3곳에 미러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미러 서버 운영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의 미러 서버를 운영하는 대학 기관은 다음과 같다.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대학교(Sydney Electronic Text and Image Service)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교(Institute for Logic, Language and Computation)
- 영국 리즈 대학교(Subject Center for Philosophical & Religious Studies)
모든 서버의 내용은 본 서버와 동일하다.
6. 한국 철학계에의 기여
(빈 문자열)
7. 비판과 과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비판과 과제' 섹션의 수정은 불가능합니다. 원문 소스가 필요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his free online encyclopedia has achieved what Wikipedia can only dream of
https://qz.com/48074[...]
2015-09-21
[2]
논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A university/library partnership in support of scholarly communication and open access
http://crln.acrl.org[...]
2006-09-01
[3]
논문
From SEP to SEPIA: How and Why Indiana University is Helping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13-11-04
[4]
웹사이트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Copyright Information
https://plato.stanfo[...]
2015-12-01
[5]
논문
I Hear the Train A Comin'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6
[6]
논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A Developed Dynamic Reference Work
2002
[7]
잡지
Hmmm . . . Where Did He Go?
https://stanfordmag.[...]
Stanford Magazine
2002-04
[8]
웹사이트
About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2021-07-13
[9]
웹사이트
History of grant
http://plato.stanfor[...]
[10]
웹사이트
Fundraising and Support
http://plato.stanfor[...]
[11]
웹사이트
Libraries/Consortia Registering Financial Support of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2007-04-04
[12]
웹사이트
Giving to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13]
웹사이트
history
http://plato.stanfor[...]
[14]
웹사이트
List of Authors
http://plato.stanfor[...]
2007-04-02
[15]
웹사이트
Editorial Board
http://plato.stanfor[...]
2007-03
[16]
웹사이트
What's New
http://plato.stanfor[...]
[17]
웹사이트
Open Letter to Professional Scholars - Why Open Access is Important
http://www.seop.leed[...]
[18]
웹사이트
Open Letter to General Readers -Our Plan to Preserve Free and Open Access
http://www.seop.leed[...]
[19]
웹사이트
Open Letter to Librarians
http://plato.stanfor[...]
[20]
웹사이트
The SEP's Publishing Model
http://plato.stanfor[...]
[21]
웹사이트
The SEP's Publishing Model
http://www.seop.leed[...]
[22]
웹인용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Copyright Information
https://plato.stanfo[...]
2015-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