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테판 페트로비치 시파초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판 페트로비치 시파초프는 러시아 제국 말기인 1913년 시인으로 등단하고 1916년 수필가로 활동한 인물이다. 1954년 소련작가동맹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한 북한 시인 김순석과 교류했으며, 김순석을 통해 김일성에게 북조선식 이름을 받았다. 북한에서는 시파초프의 시선집이 출판되었고, 김순석의 시집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수필가 - 조지프 브로드스키
    조지프 브로드스키는 러시아계 유대인 시인으로, 소련에서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여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개인의 고뇌, 망명 등을 주제로 서정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다.
  • 러시아의 수필가 - 일리야 레핀
    일리야 레핀은 러시아 제국의 사실주의 화가이자 이동파의 주요 인물로, 러시아 민중의 삶을 묘사하고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다룬 작품과 당대 유명 인사들의 초상화를 남겼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핀란드로 이주하여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 소련의 작가 - 조지프 브로드스키
    조지프 브로드스키는 러시아계 유대인 시인으로, 소련에서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망명하여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개인의 고뇌, 망명 등을 주제로 서정시,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 활동을 했다.
  • 소련의 작가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알렉산드라 콜론타이는 러시아 혁명 이후 볼셰비키 정부에 참여하여 여성 권익 증진에 힘쓰고 세계 최초의 여성 정책 담당 부서인 여성부를 창설했으며, 급진적인 여성 해방론과 자유 연애 사상으로 사회에 반향을 일으킨 혁명가이자 정치인, 외교관,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시인 - 김책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 투쟁가이자 북한의 군인, 정치인인 김책은 만주에서 항일 투쟁 후 소련에서 김일성과 함께 활동했으며, 해방 후 북한 건국에 참여하여 부수상 겸 산업상, 한국 전쟁 전선사령관을 역임했고 사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다.
스테판 페트로비치 시파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스테판 페트로비치 시파초프
원어 이름Степа́н Петро́вич Щипачёв
출생일1898년 12월 17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사망일1980년 1월 1일
사망지모스크바, 모스크바주, 소련
직업시인, 수필가
국적소련
활동 기간1913년 ~ 1980년
장르시문학, 수필
별칭북조선 이름은 김효열(金孝悅)
소속소련작가동맹 최고위원
영향 준 인물알렉산드르 푸시킨
영향 받은 인물김순석
수상1949년 스탈린상 수상
1952년의 시파초프
1952년의 시파초프
기타 정보
학력붉은 교수 연구소
분야사회주의 리얼리즘
수상 내역스탈린상
레닌 훈장
노동 적기 훈장
인민 우정 훈장
붉은 별 훈장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메달
모스크바 방어 메달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메달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메달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메달
모스크바 800주년 기념 메달

2. 생애

스테판 페트로비치 시파초프는 1913년 시인으로, 1916년 수필가로 등단하였다.[1] 1954년 소련작가동맹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한 북한 시인 김순석과 교류하였으며, 김순석을 통해 김일성에게서 '김효열'이라는 북조선식 이름을 받았다.[1]

2. 1. 문단 등단

1913년 시인으로 첫 등단하였고, 1916년 수필가로 등단하였다.[1]

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인 김순석과의 만남

1954년 4월 26일 소련작가동맹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한 북한 시인 김순석과 교류하였다. 김순석을 통하여 김일성 수상에게서 '김효열'이라는 북조선식 이름을 받았다.[1] 김순석은 귀국 후 시파초프와의 만남을 정리한 글 《서정시에 대한 담화》를 발표하였다.[1] 1955년 북조선에서는 《쉬빠쵸브 서정시선집》을 펴냈다.[1] 김순석의 시집 《황금의 땅》에 시파초프와의 만남이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Интервью с Евтушенко http://www.bulvar.co[...]
[2] 웹사이트 Травля Солженицына и Сахарова. Официальные публикации и документы http://antology.igru[...]
[3] 웹사이트 Museum website http://litmuseum.uk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