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크트르-RG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크트르-RG는 러시아와 독일이 공동으로 개발한 X선 관측 우주 망원경으로, 2019년 7월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다. 지구에서 150만 km 떨어진 라그랑주 점 L2에서 헤일로 궤도를 돌며 우주 전천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eROSITA와 ART-XC 두 개의 망원경을 탑재했으며, 2019년 L2점에 도달하여 100일간의 순항을 마쳤다.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독일의 요청으로 eROSITA 운영이 중단되었고, 러시아는 망원경 중 하나의 전원을 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인공위성 - 스페크트르-R
스페크트르-R은 라디오아스트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러시아의 우주 전파 망원경으로, 지상 망원경과 협력하여 초장기선 간섭계 기술을 통해 우주 전파를 관측하며 블랙홀, 퀘이사, 펄서 등 고에너지 천체의 구조와 활동을 연구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나 2019년 통신 두절로 종료되었다. - 프로톤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자랴 모듈
자랴 모듈은 국제 우주 정거장의 초기 모듈로서 전력 공급, 추진, 저장 공간 등의 핵심 기능을 제공하며 러시아 궤도 구역과 미국 궤도 구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 프로톤 로켓으로 발사한 우주선 - 다목적 연구실 모듈
다목적 연구실 모듈은 국제 우주 정거장의 러시아 구역에 설치된 과학 연구 및 실험 모듈로, 유럽 로봇 팔을 포함한 장비를 갖추고 승무원 생명 유지 및 자세 제어 시스템 기능도 제공하지만, 도킹 후 추진 시스템 오작동 및 냉각제 누출 사고 등의 문제도 겪었다. - 2019년 발사한 우주선 - 찬드라얀 2호
찬드라얀 2호는 인도우주연구기구에서 개발한 인도의 두 번째 달 탐사 미션으로, 궤도선, 착륙선 '비크람', 로버 '프라그얀'으로 구성되어 달 표면 연구를 목표했으나, 착륙선 추락으로 달 표면 탐사에는 실패했지만 궤도선은 현재까지 임무를 수행하며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 2019년 발사한 우주선 - 스타링크
스타링크는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저궤도 군집 위성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화성 탐사 자금 조달을 목표로 하지만 빛 공해, 전파 간섭, 위성 충돌 위험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스페크트르-RG | |
---|---|
기본 정보 | |
![]() | |
임무 유형 | 엑스선 천문학 |
운영 기관 | 러시아 우주 연구소, 독일 항공 우주 센터 |
웹사이트 | srg.iki.rssi.ru |
COSPAR ID | 2019-040A |
SATCAT | 44432 |
임무 기간 | 계획: 6.5년 경과: 4년, 10개월, 10일 |
우주선 버스 | 나비게이터 |
제조사 | NPO 라보치킨, 막스 플랑크 외계 물리학 연구소 |
발사 질량 | 2,712 kg |
탑재체 질량 | 1,210 kg |
전력 | 1.8 kW |
발사 정보 | |
발사 날짜 | 2019년 7월 13일, 12:31 UTC |
발사 로켓 | 프로톤-M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81/24번 발사대 |
궤도 정보 | |
궤도 기준점 | 태양-지구 L2 |
궤도 유형 | 헤일로 궤도 |
장비 | |
장비 목록 | eROSITA, ART-XC |
망원경 유형 (eROSITA) | 볼터 |
망원경 파장 | 엑스선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스펙트르 프로그램 |
이전 임무 | 스펙트르-R |
다음 임무 | 스펙트르-UV |
2. 역사
이 X선 관측 위성에 대한 원래 아이디어는 1980년대에 라시드 수냐예프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우주 연구소에서 처음 제안했다. 12개국 20개 기관이 모여 5개의 망원경을 갖춘 대형 관측소를 설계했으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우주국의 비용 절감으로 인해 임무가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3년에 축소된 디자인으로 부활했다.[6]
2. 1. 개발 배경
러시아와 독일이 합작해서 개발했다.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했다. 무게는 2.7톤이며, X선을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이다.[6]러시아과학아카데미 우주과학연구소는 우주과학기술분야에서 러시아 최고 학술 기관이다. 모스크바에 위치한 이 연구소는 정부 기능도 가지는 러시아 우주과학 연구의 핵심 기관으로, 현재 1300여 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6]
우주과학연구소는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행성물리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의 X선 우주망원경(Spektr-RG)을 제작했다. 지구로부터 1500000km 떨어진 L2 포인트에 띄워질 Spektr-RG를 통해 우주의 모든 천체에 대한 지도를 제작한다는 목표이다.[6]
이 엑스선 관측 위성에 대한 원래 아이디어는 1980년대에 라시드 수냐예프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우주 연구소에서 처음 제안했다. 12개국 20개 기관이 모여 5개의 망원경을 갖춘 대형 관측소를 설계했으나,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 우주국의 비용 절감으로 인해 임무가 중단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3년에 축소된 디자인으로 부활했다.[6]
2. 2. 발사 및 운영
러시아와 독일이 합작하여 개발하였다.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무게는 2.7톤이며, X선을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이다.[2]2005년에 스페크트르-RG 미션 컨셉이 발표되었고,[9] 2016년에 제작이 완료되었다. 2018년 중반까지 통합 및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2019년 6월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7월 12일로 연기되었다. 최종적으로 발사가 다시 연기되어, 다음 날인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81/24번 기지에서 발사되었다.[2] 이 관측소는 NPO 라보킨에서 제작한 '내비게이터' 인공위성 버스에 통합되었다.[10][11]
2. 3. 운영 중단
독일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대응으로 2022년 2월 26일 eROSITA의 운영 중단을 요청했다. 운영 중단 당시 eROSITA는 계획된 8번의 전천 탐사 중 4번을 완료한 상태였다.[15]2022년 3월, 러시아는 독일에 의해 스페크트르-RG에 탑재된 두 망원경 중 하나(eROSITA로 추정)의 전원이 꺼졌다고 발표했다.[16] 2022년 6월, 로스코스모스(Roscosmos)의 수장은 독일 관리들의 "친파시스트적 견해"를 언급하며 독일 망원경에 대한 일방적인 통제권을 행사하겠다고 위협했다.[17]
3. 우주선 및 장비
스페크트르-RG는 러시아와 독일이 합작하여 개발한 X선 관측 우주 망원경으로, 무게는 2.7톤이다.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우주과학연구소는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와 공동으로 스페크트르-RG를 제작했다. 이 우주선은 지구로부터 150만 km 떨어진 라그랑주 점(L2 포인트)에 위치하여 우주의 모든 천체에 대한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페크트르-RG에는 eROSITA와 ART-XC 두 가지 주요 장비가 탑재되어 있다. eROSITA는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MPE)에서 제작하였으며, ART-XC는 러시아에서 제작한 고에너지 X선 망원경이다.
3. 1. eROSITA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MPE)에서 제작한 eROSITA는 스페크트르-RG 임무의 주요 장비이다. 이 장비는 7년 동안 중간 X선 대역인 10 keV 미만의 에너지에서 최초로 X선 관측 조사를 수행하여 약 100,000개의 은하단을 매핑하도록 설계되었다.[7] 이 조사를 통해 새로운 은하단과 활동 은하핵을 탐지할 수 있다.
3. 2. ART-XC
ART-XC는 러시아의 고에너지 X선 망원경으로, 초대질량 블랙홀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8]3. 3. 장비 상세 정보
임무의 주요 장비는 독일 막스 플랑크 외계물리학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Extraterrestrial Physics, MPE)에서 제작한 eROSITA이다.[7] 이 장비는 7년 동안 중간 X선 대역인 10 keV 미만의 에너지에서 최초로 약 100,000개의 은하단을 매핑하는 X선 관측 조사를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7] 이 조사를 통해 새로운 은하단과 활동 은하핵을 탐지할 수 있다. 두 번째 장비인 ART-XC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감지할 수 있는 러시아의 고에너지 X선 망원경이다.[8]
eROSITA[7] | ART-XC[18] | |
---|---|---|
조직 | MPE | IKI / VNIIEF |
망원경 유형 | 볼터 | 볼터 |
파장 | X선 | X선 |
질량 | 810kg | 350kg |
감도 범위 | 0.3–10 keV | 4–30 keV |
시야 | 1도 | 30 arcminutes |
각분해능 | 15 arcseconds | 45 arcseconds |
센서 면적 | 1 keV에서 2400cm2 | 8 keV에서 450cm2 |
4. 궤도 및 임무 프로필
스페크트르-RG는 러시아와 독일이 합작하여 개발한 우주 망원경으로,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2] 이 관측소는 NPO 라보킨에서 제작한 ''내비게이터'' 인공위성 버스에 통합되었다.[10][11]
우주선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로부터 약 150만 킬로미터 떨어진 L2 라그랑주 점에서 헤일로 궤도를 돌았다.
2022년 3월, 러시아는 독일의 요청에 따라 스페크트르-RG에 탑재된 두 개의 망원경 중 하나(아마도 eROSITA)의 전원을 껐다고 밝혔다.[16] 6월, (Roscosmos)의 수장은 독일 관리들의 "친파시스트적 견해"를 언급하며 독일 망원경에 대한 일방적인 통제권을 행사하겠다고 위협했다.[17]
4. 1. 임무 계획
스페크트르-RG는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된 X선 관측 우주 망원경이다.[2] 무게는 2.7톤이다. 발사 후 3개월 뒤에 지구에서 약 150만 킬로미터 떨어진 L2 라그랑주 점에 도착하여 헤일로 궤도를 돌며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12]태양-지구 L2 지점은 우주망원경이 위치하기에 좋은 곳인데, L2 지점의 물체는 항상 태양과 지구에 대해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기 때문에 차폐 및 보정이 훨씬 단순해지기 때문이다.[9] 윌킨슨 극초단파 비등방 탐색선이 이미 태양-지구 L2 지점에 있으며, 허셜 우주망원경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도 이곳에 위치할 예정이다.
스페크트르-RG는 L2 지점에서 4년 동안 8번의 전천 탐사를 수행하고, 이후 3년 동안은 선택된 은하단과 활동 은하핵(AGN)을 관측할 계획이었다.[12] 2019년 10월 21일, 스페크트르-RG는 100일간의 순항을 완료하고 L2점에 도착했다.[13]
2019년 10월 17일, 주요 eROSITA 장비는 최초 빛을 달성했고,[13] ART-XC의 최초 빛 이미지는 2019년 7월 30일에 촬영되었다.[14] 하지만,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 이후 2022년 2월 26일, 독일의 요청에 따라 eROSITA의 운영이 중단되었다. 당시 eROSITA는 계획된 8번의 전천 탐사 중 4번을 완료한 상태였다.[15]
5. 관측 지원
5. 1. 러시아
러시아와 독일이 합작해서 개발했다.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했다. 무게는 2.7톤이며, X선을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이다.[1]러시아과학아카데미 우주과학연구소는 우주과학기술분야에서 러시아 최고 학술 기관이다. 러시아 모스크바에 위치한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우주과학연구소는 정부 기능도 가지는 러시아 우주과학 연구의 핵심 기관이다. 현재 우주과학연구소에는 1300여 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1]
우주과학연구소는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행성물리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의 X선 우주망원경(Spektr-RG)을 제작했다. 지구로부터 1500000km 떨어진 ‘L2 포인트’( 라그랑주 점)에 설치될 Spektr-RG를 통해 우주의 모든 천체에 대한 지도를 제작한다는 게 목표다.[1]
- BTA-6[1]
- 코카서스 산악 천문대[1]
- RTT-150[1]
- 사얀 태양 천문대[1]
- 국제 과학 광학 네트워크[1]
5. 2. 독일
독일은 러시아와 합작하여 스페크트르-RG를 개발했다.[1] 무게 2.7톤의 X선을 관측하는 우주 망원경으로, 2019년 7월 13일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프로톤-M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1]러시아과학아카데미 우주과학연구소는 독일 막스플랑크 외계행성물리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의 X선 우주망원경(Spektr-RG)을 제작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Spektr-RG (SXG)
http://space.skyrock[...]
2011-02-04
[2]
웹사이트
Spektr-RG to expand horizons of X-ray astronomy
http://www.russiansp[...]
2016-04-16
[3]
웹사이트
Spektr-RG (SXG)
http://en.roscosmos.[...]
2019-06-20
[4]
웹사이트
Russia Launches Spektr-RG, a New X-Ray Observatory, into Space
https://www.space.co[...]
2019-07-13
[5]
뉴스
Russia Successfully Launches Next-Generation Space Telescope
https://www.rferl.or[...]
2019-07-13
[6]
간행물
Update: Telescope designed to study mysterious dark energy keeps Russia's space science hopes alive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9-07-15
[7]
웹사이트
eROSITA Technical Performance
http://www.mpe.mpg.d[...]
Max Planck Institute for Extraterrestrial Physics
[8]
학술지
Telescope designed to study mysterious dark energy keeps Russia's space science hopes alive
https://www.sciencem[...]
2019-07-10
[9]
웹사이트
Spectrum-RG/eRosita/Lobster mission definition document
http://hea.iki.rssi.[...]
Russian Space Research Institute
2005-10-30
[10]
웹사이트
The Navigator satellite bus
http://russianspacew[...]
2019-06-19
[11]
웹사이트
Russian Proton-M launches Spektr-RG observatory
https://www.nasaspac[...]
NASASpaceFlight.com
2019-07-13
[12]
웹사이트
SRG (Spectrum Roentgen Gamma) – Satellite Missions – eoPortal Directory
https://directory.eo[...]
2019-06-20
[13]
뉴스
German X-ray telescope achieves ‘first light’
https://spaceflightn[...]
Spaceflight Now
2019-10-23
[14]
웹사이트
Новости. Первый свет обсерватории "Спектр-РГ"
https://www.roscosmo[...]
2019-08-05
[15]
문서
"Statement on the status of the eROSITA instrument aboard Spektr-RG (SRG)"
https://www.mpe.mpg.[...]
[16]
문서
Russia stops deliveries of rocket engines to US, Roscosmos Head Says
https://www.spacedai[...]
[17]
웹사이트
Russia plans to restart German telescope without permission {{!}} DW {{!}} 04.06.2022
https://www.dw.com/e[...]
2022-06-04
[18]
문서
ART-XC / SRG overview
https://www.spiedigi[...]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