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티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티넷은 회원 도시 간 기술 협력을 구축하여 인구 증가, 주거 및 위생 문제 등 현대 도시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제기구이다. 역량 강화 연수 사업, 세계도시 정책공유 온라인 플랫폼 운영, 기술 정책 자문 등의 사업을 진행하며, 2013년 사무국을 서울특별시로 이전했다. 방글라데시, 인도 등 6개국에 국가지부를 운영하며, 쿠알라룸푸르 지역교육센터를 통해 도시 지도자 대상 연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 연합 - 유럽 연합
유럽 연합(EU)은 1957년 유럽 경제 공동체를 기원으로 27개 회원국 간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단일 시장을 형성하고, 초국가적 의사결정 시스템과 주요 기관을 통해 정책을 결정하며 국제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정치 및 경제 연합체이다.
| 시티넷 | |
|---|---|
| 시티넷 정보 | |
![]() | |
| 정식 명칭 | 아시아 태평양 도시 네트워크 |
| 영어 명칭 | CityNet |
| 설립일 | 1987년 |
| 유형 | 비정부 기구 |
| 본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 사무총장 | 정과영 |
| 회원 수 | 도시 172개, 파트너 25개 (2019년 기준) |
| 공식 웹사이트 | 시티넷 공식 웹사이트 |
2. 사업 분야
시티넷은 회원 도시 간의 기술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인구 증가, 주거 및 위생 문제 등 현대 도시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량 강화 연수 사업, 세계도시 정책공유 온라인 플랫폼(Urban SDG Knowledge Platform) 운영[3], 기술 정책 자문[4]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 1. 역량 강화 연수 사업
시티넷은 회원 도시 간의 기술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인구 증가, 주거 및 위생 문제 등 현대 도시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시티넷은 역량 강화 연수 사업, 세계 도시 정책 공유 온라인 플랫폼(Urban SDG Knowledge Platform) 운영[3], 기술 정책 자문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중 역량 강화 연수 사업은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다양한 연수 기관과 함께 진행하고 있다.[4]2. 2. 세계도시 정책공유 온라인 플랫폼 (Urban SDG Knowledge Platform) 운영
시티넷은 2016년 서울특별시, UNESCAP과 공동으로 세계도시 정책공유 온라인 플랫폼(Urban SDG Knowledge Platform)을 개설하였다.[3] 이 플랫폼은 지속가능발전목표 이행에 있어 도시 간의 우수 정책 공유를 장려한다.[3]2. 3. 기술 정책 자문
시티넷은 회원 도시 간의 기술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회원들 간의 협력을 통해 인구증가, 주거 및 위생 문제 등 현대 사회의 도시가 직면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시티넷은 기술 정책 자문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원 도시의 요청에 따라 도시를 1:1로 연결하여 기술 및 지식을 전수하고, 현장 견학 및 전문가 파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4]3. 사무국
시티넷 사무국은 2013년 일본 요코하마시에서 대한민국 서울시로 이전하였으며, 서울시 종로구에 있다.[5] 그 외에도 일본 고베시에 시티넷 플러스아트 센터가 2021년 개소하였다.[5]
3. 1. 시티넷 요코하마 프로젝트 오피스
요코하마시에 2013년 개소하였으며, 재난 분야를 포함한 일본의 우수 정책 및 지식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3. 2. 시티넷 플러스아트 센터
시티넷 사무국은 2013년 일본 요코하마시에서 대한민국 서울시로 이전하였으며,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하고 있다. 그 외에도 일본 고베시에 위치한 시티넷 플러스아트 센터(2021년 개소)가 있으며, 재난 분야를 포함한 일본의 우수 정책 및 지식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5]4. 국가지부
시티넷은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네팔, 필리핀, 스리랑카 총 6개국에 국가지부를 운영하고 있다.[1] 국가지부를 통해 시티넷은 한 국가 내에 위치한 회원 간의 긴밀한 협력을 촉진하여 전문지식 및 경험 공유를 용이하게 하고 파트너십 형성을 효과적으로 장려한다.[1]
5. 지역교육센터
시티넷은 국제연합훈련조사연구소(UNITAR), 쿠알라룸푸르시와 협력하여 쿠알라룸푸르 지역교육센터를 설립했을 뿐만 아니라,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인도 주택도시개발공사(HUDCO), 말레이시아 Think City와도 협력하고 있다.
5. 1. 쿠알라룸푸르 지역교육센터
시티넷은 2003년 국제연합훈련조사연구소(UNITAR) 및 쿠알라룸푸르시, 시티넷이 공동으로 창설한 쿠알라룸푸르 지역교육센터를 통해 도시 지도자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관련 역량강화 연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인도 주택도시개발공사(HUDCO), 말레이시아 Think City와 협력하고 있다.5. 2. 협력 기관
시티넷은 2003년 국제연합훈련조사연구소(UNITAR) 및 쿠알라룸푸르시와 공동으로 쿠알라룸푸르 지역교육센터를 창설하여, 도시 지도자 및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관련 역량강화 연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 외에도 서울특별시인재개발원, 인도 주택도시개발공사(HUDCO), 말레이시아 Think City와 협력하고 있다.참조
[1]
웹인용
시티넷 소개 {{!}} CityNet Secretariat
https://citynet-ap.o[...]
2021-04-16
[2]
웹인용
Organization {{!}} CityNet Secretariat
https://citynet-ap.o[...]
2021-04-16
[3]
웹인용
URBAN SDG KNOWLEDGE PLATFORM
http://www.urbansdgp[...]
2021-04-16
[4]
홈페이지
홈페이지의 보도자료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함
https://citynet-ap.o[...]
[5]
웹인용
설립 배경 {{!}} CityNet Secretariat
https://citynet-ap.o[...]
2021-04-16
[6]
웹인용
클러스터 {{!}} CityNet Secretariat
https://citynet-ap.o[...]
2021-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