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방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대방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동이다. 삼국시대에는 잉벌노현, 통일신라시대에는 곡양현, 고려시대에는 금주현으로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금천현, 시흥현의 일부였다. 1914년 시흥군 북면 번대방리로, 1936년 동면 번대방리로 개칭되었으며, 1949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어 번대방리가 되었다. 1950년 신대방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73년 관악구로 편입되었다가 1980년 현재의 동작구로 편입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서울보라매초등학교, 문창초등학교, 대방중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신대방역과 7호선의 신대방삼거리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행정 구역 - 상도동 (서울)
상도동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상여꾼 거주지에서 유래한 이름과 조선시대 지명에서 비롯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이 통과하고 다양한 문화유산과 교육 시설을 갖춘 지역이지만, 재개발로 인한 갈등과 논란이 존재한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흑석동 (서울)
흑석동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일제강점기에 경성부에 편입되어 흑석정으로 불리다 영등포구와 관악구를 거쳐 동작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중앙대학교, 중앙대학교병원 등의 시설과 흑석역이 위치하고 영화, 드라마, 만화의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 서울 동작구의 법정동 - 상도동 (서울)
상도동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상여꾼 거주지에서 유래한 이름과 조선시대 지명에서 비롯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이 통과하고 다양한 문화유산과 교육 시설을 갖춘 지역이지만, 재개발로 인한 갈등과 논란이 존재한다. - 1977년 폐지 - 성산동 (서울)
성산동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하며, 산세가 성처럼 둘러싸인 지형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과거 '성메' 또는 '성미'로 불리다 일제강점기 이후 택지 조성 사업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현재는 성산1동과 성산2동으로 나뉘어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서울월드컵경기장과 서부자동차검사소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한다. - 1977년 폐지 -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
동남아시아 조약 기구(SEATO)는 냉전 시대 공산주의 확산 방지를 목표로 1954년 설립된 국제 기구로, 군사적 기여는 미미했으며 미국의 베트남 전쟁 철수 후 1977년 해산되었다.
신대방동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대방동 |
한글 표기 | 신대방동 |
한자 표기 | 新大方洞 |
로마자 표기 | Sindaebang-dong |
면적 | 1.65 km² |
인구 | 43,900명 |
인구 조사 시점 | 2001년 |
인구 밀도 | 26,606명/km²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서울특별시 |
시군구 | 동작구 |
신대방제1동 정보 | |
이름 | 신대방제1동 |
한자 표기 | 新大方第1洞 |
영어 표기 | Sindaebang 1(il)-dong |
![]() | |
면적 | 0.62 km² |
세대수 | 10,073세대 |
세대 조사 시점 | 2012년 12월 31일 |
인구 | 23,076명 |
인구 조사 시점 | 2022년 2월 |
법정동 | 신대방동 |
통 | 36 |
반 | 212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길 72 |
홈페이지 | 신대방1동 주민센터 |
신대방제2동 정보 | |
이름 | 신대방제2동 |
한자 표기 | 新大方第2洞 |
영어 표기 | Sindaebang 2(i)-dong |
![]() | |
면적 | 0.42 km² |
세대수 | 8,390세대 |
세대 조사 시점 | 2012년 12월 31일 |
인구 | 21,855명 |
인구 조사 시점 | 2022년 2월 |
법정동 | 신대방동 |
통 | 22 |
반 | 178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대방로24길 76 |
홈페이지 | 신대방2동 주민센터 |
2. 연혁
삼국시대에는 잉벌노현(仍伐奴縣)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곡양현(穀壤縣)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는 금주현(衿州縣)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경기도 금천현 하북면(京畿道 衿川縣 下北面)이었다. 조선 말기에는 경기도 시흥현 하북면 우와피리(京畿道 始興縣 下北面 牛臥陂里)였다. 1914년 경기도 시흥군 북면 번대방리였다. 1936년 시흥군 동면 번대방리로 바뀌었다. 1949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편입되면서 번대방리가 되었다. 1950년 신대방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3년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대방동이 되었다가, 1980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2. 1. 삼국시대 ~ 조선시대
삼국시대에는 잉벌노현(仍伐奴縣)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곡양현(穀壤縣)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는 금주현(衿州縣)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경기도 금천현 하북면(京畿道 衿川縣 下北面)이었다. 조선 말기에는 경기도 시흥현 하북면 우와피리(京畿道 始興縣 下北面 牛臥陂里)였다.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경기도 시흥군 북면 번대방리였다. 1936년 시흥군 동면 번대방리로 바뀌었다. 1949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로 편입되면서 번대방리가 되었다. 1950년 신대방동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73년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대방동이 되었다가, 1980년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3. 행정 구역
4. 인구
5. 교육
6. 정치
7. 문화재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는 등록문화재 제744호이다.
8. 교통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이 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이 있다.
신대방동을 경유하는 주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신대방동에는 신대방역과 신대방삼거리역이 있다.
8. 1. 지하철
8. 2. 버스
신대방동을 경유하는 주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8. 3. 도로
신대방동에는 신대방역과 신대방삼거리역이 있다.9. 상권
10. 주거 환경
참조
[1]
웹사이트
신대방동 (Sindaebang-dong 新大方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7
[2]
웹사이트
신대방동 소개
http://www.dongjak.g[...]
2012-06-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용산 등 ‘신통기획’ 후보지 8곳 토허구역 지정···내년 8월 30일까지
서울 대방중 인근서 사다리차 전복…도로 통제 뒤 해체 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