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악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악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남부에 위치한 구로, 1973년 영등포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동쪽으로는 서초구과천시, 서쪽으로는 구로구금천구, 남쪽으로는 안양시, 북쪽으로는 동작구영등포구와 접한다. 관악산을 포함하며, 21개의 행정동과 3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대학교가 위치해 교육, 경제,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 남부순환로 등의 교통망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관악구의 행정 구역 - 신림동
    신림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관악산 아래에 위치하여 숲이 무성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림역 주변 상업지역 발달로 번화한 지역으로 발전했다.
  • 서울 관악구의 행정 구역 - 남현동 (서울)
    남현동은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과거 사당리에서 유래했으며, 지하철 2호선과 4호선 사당역이 위치하고, 서울사당초등학교 등이 있다.
  • 서울 관악구 - 낙성대
    낙성대는 강감찬 장군의 탄생 설화에서 유래된 '별이 떨어진 곳'이라는 뜻의 관악구 지명으로, 안국사, 낙성대 공원, 삼층석탑 등의 유적지가 있으며 역사적 근거에 대한 논란과 함께 서울대학교를 은유하는 표현으로도 쓰인다.
  • 서울 관악구 - 낙성대공원
    낙성대공원은 관악구 봉천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강감찬 장군을 기리기 위해 1973년에 조성되었으며, 안국사, 3층 석탑, 연못 등의 시설과 인헌제가 열리는 곳이다.
  • 서울특별시의 구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구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관악구
지도 정보
서울 관악구 지도
관악구 위치 (서울특별시)
기본 정보
공식 명칭관악구 (冠岳區)
로마자 표기Gwanak-gu
행정 구역 유형자치구
위치서울
지역수도권
하위 행정 구역21 행정동
면적29.57 km²
우편 번호08700 – 08899
전화 지역 번호+82-2-5xx, 8xx
웹사이트관악구 공식 웹사이트
관악구 깃발
관악구 깃발
인구 통계
총 인구487,038 (2022년)
총 가구283,538 (2022년)
남자 인구242,651
여자 인구239,305
인구 밀도auto
인구 (2010년)520,849
정치 및 행정
정부 기관관악구청
구청장박준희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유기홍 (더불어민주당)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구의회관악구의회
구청 소재지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45
상징
구 나무소나무
구 꽃철쭉
구 새까치

2. 역사

관악구는 원래 관악산을 중심으로 한 농촌 지역이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수도권의 급속한 산업화와 인구 급증으로 인해, 밀집된 주거 지역과 산업 지역이 혼재된 모습으로 빠르게 변화했다. 특히, 서울의 산업화 과정에서 전국 각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대규모 빈민가를 형성하기도 했다.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에서 분리되어 관악구가 신설되었다.[10] 1980년 4월 1일에는 동작구가 분리 신설되고, 방배동이 강남구로 편입되었다.[12] 1988년에는 구로구 일부가 관악구 신림11동으로 편입되었고, 2008년 9월 1일에는 행정동 통폐합 및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재개발 사업과 서울대학교의 관악구 이전은 빈민가와 열악한 섬유 산업을 감소시키고, 관악구를 서울의 주거 중심 지역으로 변모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2. 1. 행정 구역 변천


  •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에서 노량진동, 상도동, 상도1동, 봉천동, 본동, 흑석동, 동작동, 사당동, 대방동, 신대방동, 방배동, 신림동이 분리되어 관악구가 신설되었다.[10]
  • 1975년 영등포구와 구역을 조정하였다.
  • 1980년 4월 1일 노량진동, 상도제1동, 상도동, 본동, 흑석동, 대방동, 신대방동 일원과 동작동 및 사당동 중 일부[11]를 분리하여 동작구가 신설되었고, 방배동은 강남구로 편입되었다.[12]
  • 1988년 구로구의 일부를 관악구 신림11동으로 편입하였다.
  • 2008년 9월 1일 행정동을 27개에서 21개로 통폐합하고 행정동 명칭을 변경하였다.

2. 2. 지역 발전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수도권의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정착하여 대규모 빈민가가 형성되었다. 1970년대부터 재개발 사업과 서울대학교 이전으로 빈민가와 섬유 산업은 감소하고,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였다. 이 지역은 주변 지역에서 온 대학생들도 많이 거주하고 있다.[1]

3. 지리

관악구는 서울특별시 남쪽에 위치하며, 주요 지형으로는 관악산(632m)과 봉천천, 도림천 등의 하천이 있다.

3. 1. 위치

관악구는 서울특별시 남쪽에 위치한다.

3. 2. 자연환경

관악구는 서울특별시의 남쪽에 위치한다.

4. 행정 구역

관악구는 봉천동, 신림동, 남현동 3개의 법정동과 2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3] [3] 각 행정동의 면적, 세대, 인구 정보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보라매동보라매洞0.76km211,60528,345
청림동靑林洞0.3km26,62617,288
행운동幸運洞0.72km215,46230,334
낙성대동落星垈洞2.27km29,97418,327
중앙동中央洞0.39km27,45815,279
인헌동仁憲洞1.08km213,15028,769
남현동南峴洞3.27km28,18818,368
서원동書院洞0.65km212,29124,274
신원동新源洞0.55km29,36220,484
서림동西林洞0.99km213,30124,916
신사동新士洞0.64km212,38326,716
신림동新林洞0.54km213,12423,553
난향동蘭香洞0.8km26,69417,899
조원동棗園洞0.67km29,22919,744
대학동大學洞8.3km214,16024,078
은천동殷川洞0.78km214,96737,105
성현동成賢洞0.68km212,85835,003
청룡동靑龍洞1.18km217,81434,411
난곡동蘭谷洞0.96km212,85431,240
삼성동三聖洞2.66km212,19429,711
미성동美星洞1.38km213,90434,676
관악구冠岳區29.57km2247,598540,520



관악구는 과거 관악산 중심의 농촌 지역이었으나,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인구 급증과 수도권의 급속한 산업화로 주거 및 산업 혼합 지역으로 변화했다. 서울 산업화 과정에서 전국 각지 이주민들이 유입되어 대규모 빈민가가 형성되기도 했으나, 1970년대부터 서울대학교 이전 및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중심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현재는 주변 지역 대학생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기도 하다.

4. 1. 법정동과 행정동

관악구는 3개의 법정동(신림동, 봉천동, 남현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법정동들은 다시 21개의 행정동으로 나뉜다.[13]

법정동행정동한국어한자
신림동서원동서원|書院한국어서원|書院한국어
신원동신원|新源한국어신원|新源한국어
서림동서림|西林한국어서림|西林한국어
난곡동난곡|蘭谷한국어난곡|蘭谷한국어
신사동신사|新士한국어신사|新士한국어
신림동신림|新林한국어신림|新林한국어
삼성동삼성|三聖한국어삼성|三聖한국어
난향동난향|蘭香한국어난향|蘭香한국어
조원동조원|棗園한국어조원|棗園한국어
대학동대학|大學한국어대학|大學한국어
미성동미성|美星한국어미성|美星한국어
봉천동은천동은천|殷川한국어은천|殷川한국어
성현동성현|成賢한국어성현|成賢한국어
청룡동청룡|靑龍한국어청룡|靑龍한국어
보라매동보라매|보라매한국어
청림동청림|靑林한국어청림|靑林한국어
행운동행운|幸運한국어행운|幸運한국어
낙성대동낙성대|落星垈한국어낙성대|落星垈한국어
중앙동중앙|中央한국어중앙|中央한국어
인헌동인헌|仁憲한국어인헌|仁憲한국어
남현동남현|南峴한국어남현|南峴한국어


4. 2. 인구

2012년 12월 31일 기준 관악구의 인구는 247,598세대, 540,520명이다.[13]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총인구(명)
1975년734,022
1980년501,474
1985년556,084
1990년574,240
1995년548,156
2000년503,957
2005년527,690
2010년511,185
2015년519,622



관악구는 50만 명이 넘는 인구가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인구 급증과 수도권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 주거 지역과 산업 지역이 혼재된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서울대학교의 관악구 이전은 관악구를 서울의 주거 중심 지역으로 변모시키는데 기여하였다.

4. 3. 면적

관악구의 면적은 29.57km2이다.[13]

5. 정치

관악구는 서울특별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하다.[1]

구청장은 1995년부터 주민 직선제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이고 최대 3번 연임할 수 있다. 구의회는 1991년 4월에 설치되었으며, 의원 정수는 22명이다. 중선거구제(8개 선거구 19명)와 비례대표제(3명)를 병립하여 4년마다 선거를 통해 의원을 선출한다.

5. 1. 구청장

1995년부터 구청장 공선제가 시행되어 4년마다 선거를 통해 구청장을 선출하며, 계속 재임 기간은 3기 12년으로 제한된다. 현 구청장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유종필(柳鍾珌, Yu Jong-pil, 민선 5-6기)이다.

5. 2. 구의회

1991년 4월에 설치되었으며, 의원 정수는 22명이다. 중선거구제(8개 선거구 19명)와 비례대표제(3명)의 병립제로 4년마다 선거가 실시된다.

6. 교육

서울특별시 동작관악교육지원청 관할 학교는 95곳이다(유치원 37, 초등학교 22, 중학교 16, 고등학교 16, 대학교 1, 기타 3). 서울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교육기관이 관악구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정문

6. 1. 대학교

6. 2. 고등학교


6. 3. 중학교

학교명설립 유형주소비고
관악중학교공립관악로 85
광신중학교사립신림로58길 24
구암중학교공립쑥고개로 80
난우중학교공립난곡로34길 37
남항중학교사립신림로 238
남서울중학교공립남부순환로 1799
당곡중학교공립보라매로2길 21
미성중학교공립호암로 577
봉림중학교공립관악로30길 27
봉원중학교공립봉천로 405
삼성중학교공립호암로 531
서울문영여자중학교사립광신길 95
성보중학교사립원신길 45
신관중학교공립난곡로26길 50
신림중학교공립신림로5가길 15
인헌중학교공립남부순환로 1929


6. 4. 초등학교

서울관악초등학교

서울구암초등학교

서울난곡초등학교

서울난우초등학교

서울난향초등학교

서울남부초등학교

서울당곡초등학교

서울미성초등학교

서울봉천초등학교

서울봉현초등학교

서울사당초등학교

서울삼성초등학교

서울신림초등학교

서울신봉초등학교

서울신성초등학교

서울신우초등학교

서울원당초등학교

서울원신초등학교

서울인헌초등학교

서울조원초등학교

서울청룡초등학교

서울인천초등학교

6. 5. 기타 학교

학교는 95곳(유치원 37, 초등학교 22, 중학교 16, 고등학교 16, 대학교 1, 기타 3)에 설치되어 있다.


7. 교통

서울 지하철 2호선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을 지나고,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서초구동작구의 경계에 있어 관악구의 전철역으로 보아도 무방하다.[14] 서울 경전철 신림선당곡역, 신림역, 서원역, 서울대벤처타운역, 관악산역을 지난다. 서울 지하철 7호선청림동을 지나지만, 정거장은 없고, 숭실대입구역이 인접해 있다.

남부순환로는 관악구의 중심부를 통과하며,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다. 관악로신림로는 관악구 내 주요 간선 도로 역할을 한다.

관악구의 도로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분도로명
대로급과천대로, 시흥대로
로급관악로, 관천로, 신원로, 신림로, 신사로, 쑥고개로, 솔밭로, 성현로, 조원중앙로, 조원로, 낙성대로, 난곡로, 남부순환로, 호암로, 포라메로, 봉천로, 문성로, 양녕로
길급인헌길, 원신길, 구암길, 광신길, 국회단지길, 신우길, 신림동길, 승방길, 서원길, 소담길, 서림길, 성림길, 당곡길, 잠실길, 장군봉길, 창복길, 중앙길, 청림길, 청룡길, 청룡중앙길, 대학길, 태흥길, 동막길, 낙성대역길, 난향길, 난우길, 남현길, 팜골길, 한솔길, 방촌길, 행운길, 복은길, 법원단지길, 미성길, 약수암길, 양산길, 양지길, 용담길



보성운수 난향동 차고지 전경


관악교통 소속 5412번 버스


관악구에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업체가 있다.

; 시내버스

업체명대표자위치
관악교통조장우신림로 98 (신림동)[15]
한남여객운수박복규
박진성
신림로 87-8 (신림동)



; 마을버스

업체명대표자위치
금강운수공기복
공우석
국회단지길 126 (봉천동)
난곡운수박인규미성길 59, 103호 (신림동)
봉현운수오봉린난곡로46길 19 (신림동)
세광운수김성한
유태희
원신길 158-10 (신림동)
신림운수김성한원신길 158-10 (신림동)
은천운수정경희조원중앙로 45 (신림동)
인헌운수박성용
박성훈
황복순
낙성대로3길 28 (봉천동)


7. 1. 철도

서울 지하철 2호선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을 지난다.[14] 서울 지하철 4호선 사당역서초구동작구의 경계에 있어 관악구의 전철역으로 보아도 무방하다.[14] 서울 경전철 신림선당곡역, 신림역, 서원역, 서울대벤처타운역, 관악산역을 지난다. 서울 지하철 7호선청림동을 지나지만, 정거장은 없고, 숭실대입구역이 인접해 있다.

7. 2. 도로

남부순환로가 관악구의 중심부를 통과한다. 남부순환로는 여러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관악로신림로는 관악구 내 주요 간선 도로의 역할을 한다.

관악구의 도로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분도로명
대로급과천대로, 시흥대로
로급관악로, 관천로, 신원로, 신림로, 신사로, 쑥고개로, 솔밭로, 성현로, 조원중앙로, 조원로, 낙성대로, 난곡로, 남부순환로, 호암로, 포라메로, 봉천로, 문성로, 양녕로
길급인헌길, 원신길, 구암길, 광신길, 국회단지길, 신우길, 신림동길, 승방길, 서원길, 소담길, 서림길, 성림길, 당곡길, 잠실길, 장군봉길, 창복길, 중앙길, 청림길, 청룡길, 청룡중앙길, 대학길, 태흥길, 동막길, 낙성대역길, 난향길, 난우길, 남현길, 팜골길, 한솔길, 방촌길, 행운길, 복은길, 법원단지길, 미성길, 약수암길, 양산길, 양지길, 용담길


7. 3. 버스



; 시내버스

업체명대표자위치
관악교통조장우신림로 98 (신림동)[15]
한남여객운수박복규
박진성
신림로 87-8 (신림동)



; 마을버스

업체명대표자위치
금강운수공기복
공우석
국회단지길 126 (봉천동)
난곡운수박인규미성길 59, 103호 (신림동)
봉현운수오봉린난곡로46길 19 (신림동)
세광운수김성한
유태희
원신길 158-10 (신림동)
신림운수김성한원신길 158-10 (신림동)
은천운수정경희조원중앙로 45 (신림동)
인헌운수박성용
박성훈
황복순
낙성대로3길 28 (봉천동)


8. 경제

관악구는 50만 명이 넘는 인구가 밀집해 있는 지역이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인구 급증과 수도권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빠르게 밀집 주거 지역과 산업 지역이 뒤섞인 모습으로 변모했다. 서울의 산업화에 따라 전국 각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형성한 대규모 빈민가가 생겨났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일련의 재개발 사업과 서울대학교의 관악구 이전은 빈민가와 열악한 섬유 산업을 감소시켰고, 관악구를 서울의 주거 중심 지역으로 변모시켰다.

중심 상업 지구는 서울대학교 근처의 서림동과 대학동, 그리고 청룡동 지역을 포함한다. 이 지역들은 주로 대학생과 고시생을 위한 유리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대규모 사립 기숙사와 작은 주택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의 식당, 슈퍼마켓, 바, 술집은 대학동의 녹두거리와 서울대입구역 근처에 집중되어 있다. 주민들을 위한 다른 상업 지구는 남부순환로와 두 개의 주요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

주요 상권인 봉천중앙시장은 서울대입구역 북쪽의 중앙동에 위치해 있다.

9. 관광

관악구는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는 곳이다. 주요 관광 명소와 문화재는 다음과 같다.

'''문화재'''


  • 서울 남현동 요지 - 사적 제247호
  •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 사적 제254호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 천연기념물 제271호
  • 낙성대 삼층석탑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호
  • 정정공강사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4호
  • 효민공이경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5호
  • 강감찬생가터(낙성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명소'''

9. 1. 명소

9. 2. 문화재


  • 서울 남현동 요지 - 사적 제247호
  • 서울 구 벨기에영사관 - 사적 제254호
  • 서울 신림동 굴참나무 - 천연기념물 제271호
  • 낙성대 삼층석탑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호
  • 봉천동 마애미륵불좌상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9호
  • 정정공강사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4호
  • 효민공이경직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05호
  • 강감찬생가터(낙성대) -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호

10. 자매 도시

관악구는 대한민국고창군(1996년 6월 7일), 강진군(2004년 4월 8일), 평창군(2004년 6월 29일), 공주시(2005년 4월 13일), 성주군(2005년 11월 23일), 괴산군(2007년 1월 19일), 서천군(2008년 7월 22일), 양구군(2008년 11월 20일), 함평군(2011년 5월 2일) 및 대한민국 해군 강감찬함(2008년 2월 26일)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6]

또한, 영국 런던 킹스턴(2006년 11월 14일) 및 주영한국인회(2006년 11월 15일), 중국 베이징시 다싱구(1995년 3월 22일), 랴오닝성 선양시 철서구(1998년 2월 9일), 지린성 연길시(2011년 8월 28일, 우호협력일: 1997년 3월 29일),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2012년 8월 30일, 우호협력일: 2000년 6월 26일)과도 자매 결연을 맺었다.[6]

10. 1. 국내

[6]

10. 2. 국외

국가도시
클리블랜드 (2000)[6]
타이비 아일랜드 (2005)[6]
킹스턴어폰템스 왕립구 (2006)[6]
베이징시 (1995)[6]
상하이시 (1999)[6]
다싱구 (1995년 3월 22일)[6]
철서구 (1998년 2월 9일)[6]
연길시 (2011년 8월 28일, 우호협력일: 1997년 3월 29일)[6]
후허하오터시 (2012년 8월 30일, 우호협력일: 2000년 6월 26일)[6]


11. 출신 인물


  • 강감찬: 고려 시대 명장[4]
  • 양정원 (엔하이픈): 가수, 아이돌 그룹 멤버[4]
  • 솔지 (EXID): 가수, 아이돌 그룹 멤버[4]
  • 태용 (NCT): 가수, 아이돌 그룹 멤버[4]
  • 홍은채 (르세라핌): 가수, 아이돌 그룹 멤버[4]

참조

[1] settlement 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rean) : Population and Household : Census Result (2010) : Population by Administrative district, Sex and Age / Alien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sex http://kosis.kr/abro[...] 2010-06-02
[2] 웹사이트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A Clean, Attractive & Global City, Seoul!" http://english.seoul[...] 2008-08-23
[3] 웹사이트 봉천동은 이제 잊어주세요 http://www.seoul.co.[...] 2017-06-17
[4] Youtube 20대 아이돌과 27년 전 아이돌 https://www.youtube.[...] 2023-09-11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웹사이트 冠岳区公式サイト(韓国語) > 冠岳区紹介 > 姉妹都市 http://www.gwanak.go[...] 2016-09-11
[7]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기타
[10] 법률 서울특별시의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https://www.law.go.k[...] 1973-07-01
[11] 기타
[12] 법률 서울특별시 은평구등 7개구 설치 및 구관할구역 조정에 관한 규정 1979-09-26
[13] 간행물 2013 제28회 관악통계연보 관악구청 2013
[14] 기타
[1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