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39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보물 제839호 신법 지평일구(新法 地平日晷)는 1636년(인조 14년)에 제작된 평면 해시계입니다. 대부분의 해시계가 반원 모양인 것과 달리, 시반(시간을 표시하는 면)이 수평을 이루고 있어 지평일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특징:


  • 재질 및 크기: 흰 대리석으로 만들어졌으며, 가로 120.3cm, 세로 57.5cm, 두께 16.5cm, 무게 310kg입니다.
  • 시반면: 잘 연마된 평면에 시각선과 절기선이 조밀하고 아름답게 새겨져 있습니다.
  • 시각선: 1시간을 4각(角)으로 나누고, 1각마다 시각선을 그어 오전 5시 45분부터 오후 6시 15분까지 시간을 알 수 있습니다.
  • 절기선: 하지에서 동지까지 13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에 삼각형 시표(時表)가 있었으나 현재는 없어졌습니다.
  • 명문: '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晷)'라는 이름과 함께 '숭정9년세차병자일전 흠정수독배신탕약망라아곡(崇禎九年歲次丙子日躔 欽定修督陪臣湯若望羅雅谷)'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습니다. 이는 1636년에 아담 샬(湯若望)의 시헌역법(서양 역법)으로 제작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역사적 배경:

  • 조선 시대 해시계에 대한 공식적인 기록은 《세종실록》에 처음 나타나며, 세종 때 앙부일구, 현주일구, 천평일구, 정남일구 등이 제작, 사용되었습니다.
  • 신법 지평일구는 《증보문헌비고》에 언급된 지평일구로, 명나라의 이천경이 만든 것입니다.
  • 소현세자가 청나라에서 1645년에 귀국하면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됩니다.
  • 처음에는 창덕궁 홍문관 남쪽 계단에 설치되었다가, 1770년에 창덕궁 밖 서운관으로 이전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창경궁 박물관으로 옮겨졌습니다. 광복 후 명정전 뒤에 보관되다가 세종대왕기념관을 거쳐 현재는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제작 배경 및 원리:

  • 이 해시계는 중국에서 이천경이 감독하고, 탕약망(아담 샬)과 나아곡 등 서양 선교사들이 고안한 것입니다.
  • 시각선 외에 13줄의 절기선이 쌍곡선처럼 그려져 있고, 가운데 삼각형 구리 기둥(현재는 없음)의 그림자 끝이 어느 절기선을 따라가는지 보고 절기를 알 수 있었습니다.
  • 이 해시계의 표준 위도는 북위 39°54′로 계산되었는데, 이는 북경의 위도와 일치합니다.

참고:

  • 보물 제840호로 지정된 또 다른 신법 지평일구가 있으며, 이는 검은 대리석으로 만들어졌고 크기가 더 작습니다.


신법 지평일구 (보물 제839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신법 지평일구
신법 지평일구
종류천문 관측기구
지정 번호보물 제839호
지정일1985년 8월 9일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57 국립고궁박물관
시대조선 시대
소유자국유
관리자국립고궁박물관
참고 사항지정 당시 명칭: 숭정9년명신법지평일귀(崇禎9年銘新法地平日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