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본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본기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감천초등학교에서 야구를 시작하여 경남고등학교를 거쳐 동아대학교를 졸업했다. 2012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14년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 2020년 kt 위즈로 이적했으며, 내야 멀티 포지션을 소화하는 유틸리티 선수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천초등학교 (부산) 동문 - 김재덕 (가수)
    김재덕은 1997년 젝스키스 멤버로 데뷔하여 메인 댄서와 안무가로 활동했으며, 젝스키스 해체 후 J-Walk를 결성했고, 무한도전 '토토가' 프로젝트를 통해 젝스키스가 재결합하면서 그룹 활동을 재개,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영화 출연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가수이자 배우이다.
  • 감천초등학교 (부산) 동문 - 윤성환
    윤성환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16시즌 동안 중간 계투와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다승왕을 차지하고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나, 도박 및 승부조작 논란으로 야구계를 떠난 전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영산 신씨 - 신정훈
    신정훈은 1985년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 농성 사건 참여 후 농민운동을 하다 1995년 전라남도의회 의원으로 정치에 입문, 나주시장, 국회의원을 거쳐 현재 22대 국회 전반기 행정안전위원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영산 신씨 - 신격호
    신격호는 롯데그룹의 창업주로서, 일본에서 롯데를 10대 재벌로 성장시킨 후 한국에 롯데제과를 설립하여 그룹을 확장했으나, 경영권 분쟁과 여러 논란에 휘말린 기업인이다.
  • 함양군 출신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함양군 출신 - 신성범
    신성범은 KBS 기자 출신으로 제18대, 19대, 22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현재 제22대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신본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신본기
원어명Shin Bon-Ki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한민국 경상남도 함양군
생년월일1989년 3월 21일
신장179
체중88
수비 위치유격수, 3루수, 2루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2012년
드래프트 순위2012년 2차 2라운드(롯데 자이언츠)
첫 출장KBO / 2012년 4월 8일 사직 대 한화전
마지막 경기KBO / 2024년 9월 27일 수원 대 키움전
계약금1억 2,000만원
연봉1억 3,000만원 (2023년)
경력
선수 경력롯데 자이언츠 (2012년 ~ 2020년)
경찰 야구단 (2015년 ~ 2016년)
kt 위즈 (2021년 ~ 2024년)
국가대표
대표 국가대한민국
야구 월드컵2009년 유럽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2009년 삿포로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2010년 도쿄
한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2010년 노스캐롤라이나주

2. 선수 경력

부산 감천초등학교 2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고 경남중학교 진학 후부터 운동에만 전념했다. 경남고등학교 3학년 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2연패를 달성하고 화랑대기에서도 준우승하는 등 크게 활약했지만 김선빈, 안치홍에 밀려 청소년 대표에 뽑히지 못했다.

2008년 동아대학교에 진학하자마자 주전 유격수로 강한 어깨와 폭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하며 프로팀 스카우트에게 일찌감치 주목받았다. 2009년 야구 월드컵, 200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한미대학선수권 등 국가대표로 2년 연속 총 4번 출전했다.

201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5순위(전체 14순위) 지명을 받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박기혁, 문규현의 동반 부진으로 주전 유격수로 기용됐으나, 2013년에는 2할대 타율, 1홈런, 25타점, 2014년에는 2할대 타율, 4홈런, 13타점에 그치며 타격 부진을 겪었다.

2014년 시즌 후 전준우, 김사훈과 함께 경찰 야구단에 입단하여 퓨처스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연도타율홈런타점득점안타
2015년0.34833653-
2016년0.35335195116



2016년 9월 3일 제대와 동시에 1군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잔여 시즌 동안 25경기에 출장해 3할대 타율, 1홈런, 10타점을 기록했다.

2017년 정규 시즌과 준플레이오프에서 유격수와 3루수를 번갈아 맡으며 안정적인 수비 실력을 보였으나, 타격에서는 2할대 타율, 5홈런, 47타점으로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2018년 내야 멀티 포지션을 수행하며 풀타임 주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유격수로서 522.2innings, 3루수로서 434innings, 2루수로서 102.2innings을 소화해 유틸리티 내야수로서의 역량을 과시했다. 데뷔 후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워 2할대 타율, 11홈런, 71타점, OPS 0.799의 성적을 기록했다.

2020년 12월 4일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신본기와 박시영, kt 위즈 소속이었던 최건2022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2차 3라운드 지명권 양도를 포함한 2:1 트레이드를 통해 kt 위즈로 이적하였다.

2. 1. 아마추어 시절

부산 감천초등학교 2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고 경남중학교 진학 후부터 운동에만 전념했다. 3루수와 투수를 병행하다가 경남고등학교 3학년 때 팀 사정상 유격수로 포지션을 옮겼다. 경남고 3학년 때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2연패를 달성하고 화랑대기에서도 준우승하는 등 크게 활약했지만 김선빈, 안치홍에 밀려 청소년 대표에 뽑히지 못했다.

2008년 동아대학교에 진학하자마자 주전 유격수로 강한 어깨와 폭넓은 수비 범위를 자랑하며 프로팀 스카우트에게 일찌감치 주목받았다. 또한 2009년 야구 월드컵, 200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한미대학선수권 등 국가대표로 2년 연속 총 4번 출전해 2012년 신인 드래프트 참가 선수 중 국제 대회 최다 출전 선수였다.

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1차)

동아대학교 졸업 후 201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2라운드 5순위(전체 14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 당시 유격수를 맡았던 문규현의 백업으로 간간히 출장했으나 어깨 탈골 부상으로 첫 시즌을 조기에 마감했다.[1] 이후 박기혁, 문규현의 동반 부진으로 주전 유격수로 기용됐으나,[2] 2013년에는 2할대 타율, 1홈런, 25타점, 2014년에는 2할대 타율, 4홈런, 13타점에 그치며 타격 부진을 겪었다.

2. 3. 경찰 야구단 시절

2014년 시즌 후 전준우, 김사훈과 함께 경찰 야구단에 입단하였다. 약점인 타격을 보완하는 데 집중하여 퓨처스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연도타율홈런타점득점안타
2015년0.34833653-
2016년0.35335195116



특히 2016년에는 2군 최다 안타(116개)와 득점 1위에 올랐다.

2. 4. 롯데 자이언츠 복귀

2016년 9월 3일 제대와 동시에 곧바로 1군 엔트리에 포함되었다. 잔여 시즌 동안 25경기에 출장해 3할대 타율, 1홈런, 10타점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정규 시즌과 준플레이오프에서 유격수와 3루수를 번갈아 맡으며 안정적인 수비 실력을 더욱 인정받았다. 그러나 타격에서는 2할대 타율, 5홈런, 47타점으로 아쉬운 성적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내야 멀티 포지션을 수행하며 풀타임 주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수비에서는 유격수로서 522.2innings, 3루수로서 434innings, 2루수로서 102.2innings을 소화해 유틸리티 내야수로서의 역량을 과시했다. 데뷔 후 처음으로 규정 타석을 채워 2할대 타율, 11홈런, 71타점, OPS 0.799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하위 타선에 기용되며 71타점을 기록했다.

2. 5. kt 위즈 시절

2020년 12월 4일 당시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신본기와 박시영, kt 위즈 소속이었던 최건2022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2차 3라운드 지명권 양도를 포함한 2:1 트레이드를 통해 kt 위즈로 이적하였다.[3]

3. 논란 및 사건 사고

(신본기의 논란 및 사건 사고 섹션은 현재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3. 1. 롯본기 사건

2019년 수비 도중 타구에 머리를 맞아 '제2의 월드 스타'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생긴 별명이기에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있다. 일본 도쿄 미나토구의 부촌 지명인 롯폰기에서 유래한 '롯본기'라는 별명도 사용되는데, 이 별명은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있다.[4]

4. 기타

신현정과 2017년에 결혼하였다.

5. 통산 기록

연도팀명타율경기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실볼넷사구삼진병살실책
2012롯데0.1055057960006311911731
20130.229992402755110169256324555210
20140.230631132026614461311542504
20160.309258113254013210011381232
20170.237128325497711051034752251376810
20180.294139425551252811118871153311951220
20190.2561213754396901108263324862915
20200.2178110618231023012101412232
2021kt0.2369617425418015219122244564
20220.18274121922301288011022851
20230.204405481120116701142833
20240.2798412218343034619201632837
통산12시즌0.24710002193294541862317242601920209624735779


참조

[1] 뉴스 롯데 신인 신본기, 왼쪽 어깨 수술로 시즌 아웃 http://news.chosun.c[...] 스포츠조선 2012-06-29
[2] 뉴스 '롯데 키스톤 콤비' 정훈-신본기, 보고 배우며 동반 성장 https://www.joongang[...] 일간스포츠 2013-06-26
[3] 뉴스 롯데-KT, 신본기+박시영↔신인 지명권+최건 트레이드 http://www.sportsseo[...] 스포츠서울
[4] 뉴스 '신인갈매기' 신본기, "롯데 입단이 꿈이었죠" http://sports.news.n[...] 네이버 2011-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