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아대학교는 1946년 남조선 대학으로 설립되어, 1959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된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현재 구덕, 승학, 부민의 세 캠퍼스로 운영되며, 각 캠퍼스별로 특화된 단과대학과 학과를 갖추고 있다.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도서관, 박물관 등 다양한 부속기관을 보유하고 있다. 김성근, 하형주, 윤정환 등 여러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사하구의 학교 - 부산보건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는 1978년 개교하여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교명을 확정하고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예체능 계열의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는 사립 전문대학교로, 보건 및 사회 복지, 호텔 및 관광 경영, 유아 교육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하며 보건 관련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배우 송선미가 이 학교 출신이다. - 부산 서구의 학교 - 부산혜송학교
부산혜송학교는 2000년 3월 1일에 개교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학교이다. - 부산 서구의 학교 - 고신대학교
고신대학교는 1946년 고려신학교로 설립되어 부산과 천안에 캠퍼스를 둔 사립 대학으로, 신학대학을 모태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특히 의과대학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을 통해 암 치료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부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부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동아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대학 명칭 | 동아대학교 |
한자 표기 | 東亞大學校 |
영어 표기 | Dong-A University |
학교 종류 | 사립 종합대학 |
설립 | 1946년 |
대학 설치 | 1959년 |
설립자 | 정재환 |
학교법인 | 동아학숙 |
총장 | 이해우 |
표어 | 자유, 진리, 정의 |
상징 | 소나무, 목련, 표범 |
위치 | 승학캠퍼스: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 (하단동) 구덕캠퍼스: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32 (동대신동) 부민캠퍼스: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 |
웹사이트 | 동아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캠퍼스 | |
캠퍼스 | 승학 (부산광역시 사하구) 부민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 (부산광역시 서구) |
규모 | |
단과대학 | 12개 |
학부 | 2개 |
일반대학원 | 1개 |
전문대학원 | 9개 |
학부생 | 24,057명 (2022년, 휴학생 포함) |
대학원생 | 2,301명 (2018년) |
교직원 수 | 교수 1269명 (2021년) |
기타 | |
한국어 표기 | 동아대학교 |
한글 표기 | 동아대학교 |
일본어 표기 | とうあだいがっこう |
가타카나 표기 | トンアデハッキョ |
2. 연혁
- 1946년 '''남조선 대학'''으로 설립되었다.
- 1947년 재단법인 동아학숙과 동아대학 설립인가를 받고, 교명을 '''동아대학'''으로 변경하였다.
- 1951년 교사를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현재의 구덕캠퍼스)로 이전하였다.
- 1957년 도서관을 개관하였다.
- 1958년 대학원을 개원하였다.
- 1959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 1979년 공과대학을 승학캠퍼스로 이전하였다.
- 1985년 대학본부와 문과대학을 승학캠퍼스로 이전하였다.
- 2003년 법과대학, 동북아국제대학원, 경찰법무대학원, 사회교육원, 동아시아연구원, 지식자원개발센터 등을 부민캠퍼스로 이전하였다.
- 2008년 부민캠퍼스에 종합강의동을 준공하여 사회과학대학과 경영대학을 이전하였다.
- 2009년 부민캠퍼스에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
- 2010년 부민캠퍼스에 석당인재학부와 국제학부를 신설하였다.
- 2015년 예술대학을 승학캠퍼스로 이전하고 예술체육대학으로 변경하였다.
- 2021년 부민캠퍼스에 국제대학을 신설하였다.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영미학과, 중국학과, 일본학과)
3. 캠퍼스
동아대학교는 부산광역시에 세 개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
- '''구덕캠퍼스'''는 1951년에 조성되었으며, 의료원과 의과대학이 있다.
- '''승학캠퍼스'''는 대학 본부가 있으며, 여러 단과대학이 이곳에 있다.
- '''부민캠퍼스'''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청으로 쓰였던 건물을 석당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사회과학대학과 경영대학 등이 있다.
3. 1. 구덕캠퍼스
1951년에 조성되었으며, 하단동의 승학캠퍼스에 대학본부가 이전하기까지 동아대학교의 중심 캠퍼스였다. 대신동캠퍼스라고 하기도 한다. 구덕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고 뒤편에 대신공원이 있다. 구덕캠퍼스는 대신공원의 울창한 숲에 둘러싸여 있어 일년내내 깨끗한 공기와 좋은 경치를 즐길 수 있다. 캠퍼스 넓이는 45542m2에 달한다. 의과대학이 있고 캠퍼스 앞에는 의료원이 있다. 주소는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32 (동대신동)이다.3. 2. 승학캠퍼스
하단캠퍼스라고도 한다. 승학산 기슭에 자리잡아 철새도래지인 을숙도와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다. 캠퍼스 넓이는 704917m2에 달한다. 대학 본부가 있으며, 인문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건강과학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공과대학, 디자인환경대학, 예술체육대학, 컴퓨터·AI학부 등이 있다. 주소는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550번길 37 (하단동)이다.3. 3. 부민캠퍼스
부산광역시의 구 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옛 부산지방법원과 부산지방검찰청이 있던 곳이다. 한국 최고의 대학박물관으로 손꼽히는 석당박물관으로 쓰이고 있는 건물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청으로 쓰이던 건물로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부민캠퍼스에는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국제대학, 석당인재학부, 법학전문대학원, 평생교육원 등이 있다. 주소는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이다.1957년에 개관하였다.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와 함께 대학 3대 박물관으로 불린다. 2009년 5월 19일에 구덕캠퍼스에 있었던 박물관을 부민캠퍼스(구 경상남도청 건물)로 이전하여 개관하였다. 국보 개국원종공신녹권(제69호), 동궐도(제249호)와 보물 융기문토기(제597호) 외 53점 등 총 27,584점(2017년 3월 29일 기준)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 대학 박물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박물관이며 50,000원 지폐 뒷면의 초충도수병도(보물 제595호)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 박물관 인근에 대한민국에 하나 남은 미제 전차를 전시하고 있으며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지 뒤에 있는 임시수도기념관과 연계하여 견학코스를 만들고 있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홈페이지
'''부민캠퍼스'''
- 사회과학대학
- 경영대학
- 석당인재학부
- 국제대학
4. 학과 구성
동아대학교는 여러 캠퍼스에 걸쳐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는 승학, 구덕, 부민 캠퍼스로 나뉘어 있으며, 각 캠퍼스별 특성에 맞는 학과들이 설치되어 있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분된다.
4. 1. 학부
동아대학교는 캠퍼스별로 학부를 운영하고 있다. 승학캠퍼스에는 인문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건강과학대학, 디자인환경대학, 예술·체육대학, 컴퓨터·AI공학부가 있다. 구덕캠퍼스에는 의과대학과 간호학부가 있으며, 부민캠퍼스에는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석당인재학부, 국제대학이 있다.; 대학원
대학원 및 유형 |
---|
일반대학원(인문사회계열, 자연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 학연산 협동과정, 학과간 협동과정), 국제전문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법무대학원, 예술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
4. 1. 1. 승학캠퍼스
wikitext단과대학 | 학과 |
---|---|
인문과학대학 |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역사문화학부(사학전공, 고고미술사학전공), 한국어문학과, 교육학과, 아동학과 |
자연과학대학 | 정보수학과, 반도체학과, 화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
디자인환경대학 | 건축학과, 산업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조경학과 |
공과대학 | 건축공학과, 도시공학과, 건설시스템공학과, 환경·에너지공학부(환경안전전공, 미래에너지공학전공), 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기계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화학공학과, 신소재공학과 |
생명자원과학대학 | 분자유전공학과, 응용생물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생명자원산업학과 |
예술체육대학 | 미술학과, 음악학과, 체육학과, 태권도학과 |
건강과학대학 | 식품영양학과, 의약생명공학과, 건강관리학과 |
컴퓨터·AI공학부 | 컴퓨터공학부, AI학과 |
스마트헬스케어융합전공 | |
기초교양대학 | 리버럴아츠전공 |
4. 1. 2. 구덕캠퍼스
4. 1. 3. 부민캠퍼스
단과대학 | 학과 |
---|---|
경영대학 | 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관광경영학과, 국제무역학과, 금융학과, 융합경영학과, 지식서비스경영학과 |
사회과학대학 | 정치‧사회학부 (정치외교학전공, 사회학전공), 행정학과, 사회복지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경제학과 |
석당인재학부 | 공공정책학전공 |
국제대학 | 글로벌비즈니스학과, 영미학과, 중국학과, 일본학과 |
4. 2. 대학원
대학원 및 유형 |
---|
https://web.archive.org/web/20120204115211/http://cms.donga.ac.kr/user/gra/index.html 일반대학원(인문사회계열, 자연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의학계열, 학연산 협동과정, 학과간 협동과정), 국제전문대학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법무대학원, 예술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
- 일반대학원
- 전문대학원
- * 국제전문대학원
- * 법학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 경영대학원
- * 교육대학원
- * 산업정보대학원
- * 사회복지대학원
- * 법무대학원
- * 문화예술대학원
5. 부속기관
도서관, 정보전산원, 체육부, 박물관, 석당학술원, 한림생활관(기숙사), 교양교육원, 공학교육혁신센터, 다우미디어센터, 출판부, 보건진료소, 평생교육원, 공동기기센터, 창업지원단 등이 있다.
승학캠퍼스에는 한림도서관이 있으며, 구덕캠퍼스에는 석당도서관이 있었으나 2009년 사회과학대와 경영대가 부민캠퍼스로 이전하면서 폐쇄되었다. 현재는 의학도서분관이 있으며, 부민캠퍼스에는 부민도서관과 법학도서분관이 있다.
박물관은 1957년에 개관하였다.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와 함께 대학 3대 박물관으로 불린다. 2009년 5월 19일 구덕캠퍼스에 있던 박물관을 부민캠퍼스(구 경상남도청 건물)로 이전하여 개관하였다. 국보 개국원종공신녹권(제69호), 동궐도(제249호)와 보물 융기문토기(제597호) 외 53점 등 총 27,584점(2017년 3월 29일 기준)의 소장품을 보유하고 있다. 전국 대학 박물관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50,000원 지폐 뒷면의 초충도수병도(보물 제595호)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 박물관 인근에 대한민국에 하나 남은 미제 전차를 전시하고 있으며,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 부지 뒤에 있는 임시수도기념관과 연계하여 견학 코스를 만들고 있다.
6. 저명한 동문
- 김성근 - 한국 프로야구 감독(중퇴)
- 하형주 -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 현 동아대학교 교수
- 윤정환 - J리그 클럽 세레소 오사카 감독
- 문현인 - 전 동아대학교 교수(논문 투고 시 가명을 사용하여 스스로 심사하도록 한 전대미문의 연구 부정으로 35편의 논문이 철회됨)
- 최홍만 - 전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킥복서, 종합격투기 선수, 배우 (동아대학교 체육교육학과, 2002년 중퇴)
- 문대성 - 전 대한민국의 태권도 선수,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정치인. 제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태권도 남자 80kg급 이상 금메달리스트
- 신춘호 - 대한민국의 제면, 인스턴트식품, 스낵과자 회사 농심의 창업자, 롯데의 창업자인 신격호의 친동생
- 현철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출신의 트로트 가수 (중퇴)
- 양정모(梁正模) - 체육학과 졸업, 전 레슬링 선수, 한국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 박연차(朴淵次) - 태광실업 회장
- 강병중(姜丙中) - 넥센타이어, KNN (방송국) 회장, 법학과 졸업
- 최무배 - 대한민국의 남성 종합격투기 선수, 종합격투기 이벤트 "PRIDE"에 처음 출전한 한국인 선수
- 한해 - 래퍼, 블락비의 전 멤버, 국제무역학과 재학 중
- 강형숙(姜亨淑) - 체조 선수, 컨디셔닝 연구자, 스포츠 영양학자, QOL 다이어트 전문가, 헬스투어리즘, 웰니스투어리즘, 스파투어리즘 연구, 해양요법 및 해양치유 연구, 오키나와 온천 연구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국동서발전, ‘부울경 사이버안보교육훈련센터’ 설립 업무협약
국회의원 8명·기업인 4명, 여성은 26%···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19명 분석
6월3일 인사
'인생 역전' NC 손주환…"아버지 사랑합니다"
4월24일 궂긴 소식
"전원 복귀 후 수강률 3.9%"…의대협 "수업 거부로 투쟁"
2월28일 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