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내티 마스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1899년 시작된 테니스 대회로, 여러 차례 장소 변경과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는 오하이오주 메이슨에서 개최된다. 남자 단식에서는 로저 페더러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2018년 노바크 조코비치는 골든 마스터스를 달성했다. 여자 단식은 1899년부터 시작되었으나 여러 차례 중단되었으며, 루스 샌더스 코더스와 클라라 루이즈 징크가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KNVB 베커르
KNVB 베커르는 1898년 시작된 네덜란드의 축구 컵 대회로, 우승팀은 UEFA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며 아약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 신시내티의 스포츠 - 신시내티 벵골스
신시내티 벵골스는 오하이오주 신시내티를 연고로 하는 1968년 창단된 NFL 팀으로, 슈퍼볼 준우승과 장기간의 부진을 겪었으나 2021년 슈퍼볼 준우승으로 부활을 알렸고, 프로풋볼 명예의 전당 헌액자를 배출하며 NFL 역사에 족적을 남겼으며, 현재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강팀으로 도약하고 있다. - 신시내티의 스포츠 - 신시내티 사이클론즈
신시내티 사이클론즈는 여러 아이스하키 프랜차이즈를 지칭하며, ECHL과 IHL에서 활동했고, 1990년에 창단되어 2007-08 시즌에 켈리 컵 우승을 차지했으며, 2020-21 시즌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운영을 중단했다. - 미국의 테니스 대회 - US 오픈 시리즈
US 오픈 시리즈는 2004년에 시작되어 US 오픈을 포함한 북미 하드코트 테니스 대회를 묶어 텔레비전 방송으로 중계하며, 2017년 보너스 챌린지가 폐지되고 2024년 웹사이트가 US 오픈 공식 웹사이트로 통합되면서 종료되었다. - 미국의 테니스 대회 - 인디언웰스 마스터스
인디언웰스 마스터스는 캘리포니아주 인디언 웰스에서 매년 열리는 남녀 프로 테니스 토너먼트로서 ATP 투어 마스터스 1000과 WTA 1000에 속하며, 인디언 웰스 테니스 가든에서 진행되고, 2009년부터 BNP 파리바가 명명권을 가지고 있으며, 윌리엄스 자매 보이콧 사건과 세레나 윌리엄스 복귀, 그리고 '선샤인 더블'로 알려져 있다.
신시내티 마스터스 | |
---|---|
기본 정보 | |
종류 | 합동 토너먼트 |
위치 | 오하이오주 메이슨 |
장소 | 린드너 가족 테니스 센터 (1979년-현재) |
코트 종류 | 하드 / 야외 |
창설 | 1899년 |
웹사이트 | cincinnatiopen.com |
이전 명칭 | 웨스턴 & 서던 파이낸셜 그룹 마스터스 & 여자 오픈 |
영어 명칭 | Cincinnati Open |
ATP 정보 | |
ATP 분류 | 마스터스 1000 |
ATP 드로 | 56S / 24Q / 24D |
ATP 상금 (2024) | US$6,795,555 |
WTA 정보 | |
WTA 티어 | WTA 1000 |
WTA 드로 | 56S / 32Q / 28D |
WTA 상금 (2024) | US$3,211,715 |
최근 대회 | |
완료된 이벤트 | 2024 |
남자 단식 | 얀니크 시너 |
여자 단식 | 아리나 사발렌카 |
남자 복식 | 마르셀로 아레발로 마테 파비치 |
여자 복식 | 아시아 무함마드 에린 라우틀리프 |
2. 역사
1899년 신시내티의 에이본데일 애슬레틱 클럽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US 오픈 다음으로 미국에서 오래된 테니스 대회이다. 여자 경기는 1974년~1987년, 1989년~2003년의 두 차례에 걸쳐 장기간 중단되었다. 2000년부터는 ATP 마스터스 1000에 포함되었다.
2020년에는 COVID-19의 영향으로 US 오픈 경기장[20]을 사용하여 8월 하순에 개최되었다.[21] 같은 해 8월 26일, 제이콥 블레이크 총격 사건에 항의하여 오사카 나오미가 보이콧을 선언했고, WTA와 ATP도 투어 일정의 일시 중지를 발표했다. 오사카는 협회의 대응을 보고 준결승 기권을 철회했다.[23]
2. 1. 초창기 (1899년 ~ 1970년대)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1899년 '''신시내티 오픈'''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되었다.[25] 최초의 대회는 현재 자비에 대학 부지의 일부가 된 아본데일 스포츠 클럽에서 개최되었으며, 이후 대회 운영상의 사정 및 코트 종류의 변동에 따라 몇 번에 걸쳐 개최 장소가 이전되었다. 1978년까지는 주로 클레이 코트에서 열렸으며, 1979년부터는 영구적으로 하드 코트 대회로 바뀌게 되었다.[4]1903년, 대회는 신시내티 테니스 클럽으로 옮겨져 1972년까지 주로 이곳에서 열렸다. 1974년에는 대회가 거의 무산될 뻔했으나, 신시내티 컨벤션 센터로 장소를 옮겨 실내에서 개최되기도 하였다. 이 해에는 1919년 이후 처음으로 여자 경기가 제외되었다. 1975년, 대회 장소가 오하이오 강 옆의 코니 아일랜드 놀이공원으로 옮겨지면서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79년, 대회 장소가 메이슨으로 옮겨졌고, 영구적인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이때 코트 종류도 하트루 클레이에서 하드 코트(데코 터프 II)로 변경되었다. 이후 두 개의 경기장이 더 지어져,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그랜드 슬램 대회를 제외하고 세 개의 경기장(센터 코트, 그랜드스탠드 코트, 코트 3)을 가진 유일한 테니스 대회가 되었다. 1988년에는 일시적으로 여자 경기가 함께 열렸고, 2004년부터는 옥타곤 스포츠 에이전시의 도움으로 크로아티아에서 열리던 대회를 사들여 개최지를 신시내티로 옮겨오면서 여자 경기가 완전히 부활하였다.
2. 2. 발전기 (1980년대 ~ 현재)
1979년 대회 장소가 메이슨으로 옮겨지면서 현재의 메인 경기장(스타디움)이 건설되었고, 코트 종류도 하트루 클레이에서 하드 코트(데코 터프 II)로 변경되었다. 이후 두 개의 경기장이 추가로 건설되어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그랜드 슬램 대회를 제외하면 세 개의 경기장(센터 코트, 그랜드스탠드 코트, 코트 3)을 가진 유일한 테니스 대회가 되었다.[25] 2010년에는 새로운 코트 3이 건설되어 주 경기장 수가 4개로 늘어났고, 기존 코트 3은 코트 9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1]1988년에는 여자 경기가 일시적으로 열렸으며, 이후 옥타곤 스포츠 에이전시(현재의 옥타곤)의 도움으로 대회 조직위가 크로아티아에서 열리던 대회를 인수하여 신시내티로 개최지를 옮기면서 2004년부터 여자 경기가 완전히 부활하게 되었다.[25]
1981년부터 1989년까지는 남자 그랑프리 테니스 투어의 주요 토너먼트였으며 그랑프리 슈퍼 시리즈의 일부였다.
2008년 8월, 남자 부문은 US 오픈의 소유주인 USTA에 매각되었다.[6]
2002년, 토너먼트는 처음으로 웨스턴 앤 서던 파이낸셜 그룹의 후원을 받았고, 이 회사는 최소 2016년까지 후원을 계속했다.[7] 2011년에는 남자 및 여자 토너먼트가 같은 주에 열렸고, 이름은 "웨스턴 앤 서던 파이낸셜 그룹 마스터스 앤 위민스 오픈"에서 "웨스턴 앤 서던 오픈"으로 변경되었다.[4]
2022년, 토너먼트는 USTA에서 벤 나바로의 비목 캐피털로 매각되었다.[8] 2023년에는 토너먼트가 린드너 패밀리 테니스 센터에 대한 1.5억달러 규모의 확장을 돕기 위해 2250만달러의 추가 주정부 자금 지원을 제안했으며, 여기에는 신시내티 오픈을 96명의 선수 드로우(인디언 웰스 오픈, 마드리드 오픈, 마이애미 오픈)로 확대하고 추가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12일 형식으로 확대하는 계획이 포함되었다.[9]
2023년 10월, 비목은 토너먼트가 메이슨에 유지될 것이며, 2025년부터 드로우가 56명에서 96명으로 확대되어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대회를 12일 형식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1][12] 합의의 일환으로 웨스턴 앤 서던은 타이틀 스폰서십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13] 이로 인해, 그리고 토너먼트 125주년을 기념하여, "웨스턴 앤 서던 오픈" 브랜드는 2024년에 신시내티 오픈 이름으로 돌아가는 것을 선호하여 중단되었다.[13]
2. 3. 폴 M. 플로리 (Paul M. Flory)
1975년부터 신시내티 마스터스의 운영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아온 인물은 폴 M. 플로리(Paul M. Flory)이다.[25] 그는 프락터 앤드 갬블사의 전 중역이었으며, 대회 위원장(chairman)을 맡고 있었다. 그는 재임기간 동안 대회의 가치를 더욱 높였으며, 대회 수익금의 일부를 지속적으로 자선 단체에 기부하여 활발한 기부 활동을 해온 것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현재 신시내티 어린이 병원 의학 센터 및 찰스 M. 바렛 암 센터에 대회 수익금을 기부하고 있다.폴 플로리는 ATP가 수여하는 '아서 애시 인도주의 상'(Humanitarian Award)을 수상하였으며, USTA/중서부 명예의 전당 및 신시내티 테니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2009년에는 신시내티 상공회의소에 의해 '살아있는 위대한 신시내티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는 1960년대 후반부터 자원하여 대회 운영에 참여해왔으며, 모든 임금 지불 제안을 거절하고 무료로 대회를 위해 일하고 있다. 1922년 5월 31일에 태어난 플로리는 2013년 1월 31일에 사망했으며, 마지막 날까지 토너먼트 회장직을 유지했다.
3. 장소
신시내티 마스터스는 오하이오주 메이슨의 린드너 패밀리 테니스 센터에서 개최된다. 이곳은 4개의 그랜드 슬램 대회를 제외하면 3개 이상의 전용 경기장을 갖춘 세계에서 유일한 테니스 대회이다.
경기장 시설은 다음과 같다.
코트 | 건설 | 수용 인원 |
---|---|---|
센터 코트 | 1981 | 11,400명 |
그랜드스탠드 코트 | 1995 | 5,000명 |
코트 3 | 2010 | 4,000명 |
코트 9 | 1997 | 2,000명 |
센터 코트는 1981년 세워져 이후 몇 회에 걸쳐 증축되었으며, 10,7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번 경기장인 그랜드스탠드 코트는 1995년 세워졌으며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3번 경기장은 1997년 세워졌으며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전체 코트 수는 17개이며, 그랜드 슬램 외에 2개 이상의 영구 경기장을 갖춘 몇 안 되는 장소(예: 마드리드 오픈) 중 하나이다.
2009년에는 선수, 미디어, 팬을 위한 공간을 추가하기 위해 약 4830.96m2 규모의 웨스트 빌딩 건설을 포함하여 1000만달러 규모의 시설 업그레이드가 발표되었다. 2010년 중반에 개장한 이 새로운 건물은 폴 M. 플로리 선수 센터로 명명되었으며, 이전 웨스트 빌딩보다 약 2배 높이인 지상 약 25.91m, 코트 레벨에서 약 29.57m 높이로 솟아 있다.
2010년에는 부지를 40% 이상 확장하고 6개의 새로운 코트를 추가할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 중 하나는 세 번째 텔레비전 코트 역할을 하는 코트 3이며, 다른 코트는 2,500명 규모이다. 새로운 티켓 매표소, 출입 광장, 푸드 코트 및 전시 공간도 추가되었다.
2020년 6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선수들의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기 위해 토너먼트와 US 오픈을 한 곳에 집중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USTA 빌리 진 킹 국립 테니스 센터로 이전했다.
이 경기장은 애틀랜틱 10 컨퍼런스 테니스 챔피언십, 오하이오 애슬레틱 컨퍼런스 테니스 챔피언십, 남녀 OHSAA 주립 테니스 챔피언십을 비롯한 추가적인 행사를 개최하며, 프로 배구 협회 이벤트, 콘서트, 자선 행사 및 수많은 지역 및 전국 주니어 테니스 이벤트를 개최했다.
린드너 패밀리 테니스 센터의 의도적인 디자인 선택으로 인해 신시내티 오픈은 선수-팬 간의 상호 작용을 위한 친밀한 환경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시설의 레이아웃은 선수들이 팬들 사이에서 코트에서 코트로 이동함에 따라 팬과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며, 토너먼트는 수많은 코트에서 선수들의 연습 시간을 공개한다.
4. 역대 대회 결과
1899년 신시내티의 에이본데일 애슬레틱 클럽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이는 미국에서 US 오픈 다음으로 오래된 테니스 토너먼트이다.[24] 여자 경기는 1974년~1987년과 1989년~2003년 두 차례에 걸쳐 중단되었다. 2000년부터 본 대회는 ATP 투어의 ATP 마스터스 1000에 포함되었다.
2020년에는 COVID-19의 영향으로 US 오픈 경기장에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20][21], 이는 1920년 이후 신시내티 지역 외에서 개최된 다섯 번째 사례였다.[21] 같은 해 8월 26일, 제이콥 블레이크 총격 사건에 항의하여 오사카 나오미를 비롯한 여러 선수들이 보이콧을 선언했고[22], WTA와 ATP는 투어 일정을 일시 중지했다. 오사카는 이후 협회의 대응을 보고 준결승 기권을 철회했다.[23]
4. 1. 남자 단식 결승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2010 | 로저 페더러 | 마디 피시 | 6–7(5), 7–6(1), 6-4 |
2009 | 로저 페더러 | 노바크 조코비치 | 6–1, 7–5 |
2008 | 앤디 머리 | 노바크 조코비치 | 7-6(4), 7-6(5) |
2007 | 로저 페더러 | 제임스 블레이크 | 6-1, 6-4 |
2006 | 앤디 로딕 |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 6-3, 6-4 |
2005 | 로저 페더러 | 앤디 로딕 | 6-3, 7-5 |
2004 | 앤드리 애거시 | 레이턴 휴잇 | 6-3, 3-6, 6-2 |
2003 | 앤디 로딕 | 마디 피시 | 4-6, 7-6, 7-6 |
2002 | 카를로스 모야 | 레이턴 휴잇 | 7-5, 7-6 |
2001 | 구스타보 쿠에르텐 | 패트릭 라프터 | 6-1, 6-3 |
2000 | 토마스 엔크비스트 | 팀 헨먼 | 7-6, 6-4 |
1999 | 피트 샘프러스 | 패트릭 라프터 | 7-6, 6-3 |
1998 | 패트릭 라프터 | 피트 샘프러스 | 1-6, 7-6, 6-4 |
1997 | 피트 샘프러스 | 토마스 무스터 | 6-3, 6-4 |
1996 | 앤드리 애거시 | 마이클 창 | 7-6, 6-4 |
1995 | 앤드리 애거시 | 마이클 창 | 7-5, 6-2 |
1994 | 마이클 창 | 스테판 에드베리 | 6-2, 7-5 |
1993 | 마이클 창 | 스테판 에드베리 | 7-5, 0-6, 6-4 |
1992 | 피트 샘프러스 | 이반 렌들 | 6-3, 3-6, 6-3 |
1991 | 기 포르제 | 피트 샘프러스 | 2-6, 7-6, 6-4 |
1990 | 스테판 에드베리 | 브래드 길버트 | 6-1, 6-1 |
1989 | 브래드 길버트 | 스테판 에드베리 | 6-4, 2-6, 7-6 |
1988 | 매츠 빌랜더 | 스테판 에드베리 | 3-6, 7-6, 7-6 |
1987 | 스테판 에드베리 | 보리스 베커 | 6-4, 6-1 |
1986 | 매츠 빌랜더 | 지미 코너스 | 6-4, 6-1 |
1985 | 보리스 베커 | 매츠 빌랜더 | 6-4, 6-2 |
1984 | 매츠 빌랜더 | 안데르스 야뤼드 | 7-6, 6-3 |
1983 | 매츠 빌랜더 | 존 매켄로 | 6-4, 6-4 |
1982 | 이반 렌들 | 스티브 덴턴 | 6-2, 7-6 |
1981 | 존 매켄로 | 크리스 루이스 | 6-3, 6-4 |
1980 | 해럴드 솔로몬 | 프란시스코 곤살레스 | 7-6, 6-3 |
1979 | 피터 플레밍 | 로스코 태너 | 6-4, 6-2 |
1978 | 에디 디브스 | 라울 라미레스 | 5-7, 6-3, 6-2 |
1977 | 해럴드 솔로몬 | 마크 콕스 | 6-2, 6-3 |
1976 | 로스코 태너 | 에디 디브스 | 7-6, 6-3 |
1975 | 톰 고먼 | 셔우드 스튜어트 | 7-5, 2-6, 6-4 |
1974 | 마티 리슨 | 로버트 루츠 | 7-6, 7-6 |
1973 | 일리에 나스타시 | 마누엘 오란테스 | 5-7, 6-3, 6-4 |
1972 | 지미 코너스 | 기예르모 빌라스 | 6-3, 6-3 |
1971 | 스탠 스미스 | 후안 히스베르트 시니어 | 7-6, 6-3 |
1970 | 켄 로즈월 | 클리프 리치 | 7-9, 9-7, 8-6 |
1969 | 클리프 리치 | 앨런 스톤 | 6-1, 6-2 |
1968 | 윌리엄 해리스 | 톰 고먼 | 3-6, 6-2, 6-2 |
1967 | 호아킨 로요마요 | 하이메 피욜 | 8-6, 6-1 |
1966 | 데이비드 파워 | 윌리엄 해리스 | 7-5, 3-6, 0-6, 6-1, 6-2 |
1965 | 빌리 레노이 | 허브 피츠기번 | 1-6, 6-3, 6-3, 9-7 |
1964 | 허브 핏지본 | 로버트 브리언 | 6-1, 6-3, 6-1 |
1963 | 마티 리슨 | 허브 핏지본 | 6-1, 6-3, 7-5 |
1962 | 마티 리슨 | 앨런 폭스 | 1-6, 6-2, 6-2, 6-3 |
1961 | 앨런 폭스 | 빌리 레노이 | 3-6, 8-6, 6-2, 6-1 |
1960 | 미겔 올베라 | 크로퍼드 헨리 | 4-6, 9-7, 6-4 |
1959 | 휘트니 리드 | 도널드 델 | 1-6, 7-5, 6-3, 6-3 |
1958 | 버나드 바천 | 새미 지아말바 | 7-5, 6-3, 6-2 |
1957 | 버나드 바천 | 그랜트 골든 | 6-4, 7-5, 6-4 |
1956 | 에드워드 모일런 | 버나드 바천 | 6-0, 6-3, 6-3 |
1955 | 버나드 바천 | 토니 트래버트 | 7-9, 11-9, 6-4 |
1954 | 스트레이트 클라크 | 새미 지아말바 | 8-6, 6-1, 6-1 |
1953 | 토니 트래버트 | 해밀턴 리처드슨 | 10-8, 6-3, 6-4 |
1952 | 노엘 브라운 | 프레드 헤기스트 | 6-4, 0-6, 2-0 (기권) |
1951 | 토니 트래버트 | 빌 탤버트 | 5-7, 4-6, 6-4, 6-3, 6-4 |
1950 | 글렌 바셋 | 해밀턴 리처드슨 | 6-2, 4-6, 6-1, 6-1 |
1949 | 제임스 브링크 | 아널드 솔 | 6-4, 6-8, 6-4, 6-0 |
1948 | 허버트 베렌스 | 어빈 도프먼 | 7-5, 11-9, 2-6, 6-8, 6-4 |
1947 | 빌 탤버트 | 조지 페로 | 6-1, 6-0, 6-0 |
1946 | 닉 카터 | 조지 E. 리처즈 | 6-1, 6-1 |
1945 | 빌 탤버트 | 엘우드 쿡 | 6-2, 7-9, 6-2 |
1944 | 판초 세구라 | 빌 탤버트 | 9-11, 6-2, 7-5, 2-6, 7-5 |
1943 | 빌 탤버트 | 시모어 그린버그 | 6-1, 6-2, 6-3 |
1942 | 판초 세구라 | 빌 탤버트 | 1-6, 6-2, 6-4, 12-10 |
1941 | 프랭크 파커 | 빌 탤버트 | 6-2, 6-2, 6-4 |
1940 | 보비 리그스 | 아서 마크스 | 11-9, 6-2, 4-6, 6-8, 6-1 |
1939 | 브라이언 그랜트 | 프랭크 파커 | 4-6, 6-3, 6-1, 2-6, 6-4 |
1938 | 보비 리그스 | 프랭크 파커 | 6-1, 7-5, 6-3 |
1937 | 보비 리그스 | 존 맥더미드 | 6-3, 6-3, 4-6, 6-3 |
1936 | 보비 리그스 | 찰스 해리스 | 6-1, 6-3, 6-1 |
1935 | 대공황으로 인해 대회 중단 | ||
1934 | 헨리 프루소프 | 아서 핸드릭스 | 6-3, 6-2, 4-6, 6-4 |
1933 | 브라이언 그랜트 | 프랭크 파커 | 11-9, 6-2, 1-6, 7-5 |
1932 | 조지 롯 | 프랭크 파커 | 5-7, 6-2, 4-6, 6-0, 6-3 |
1931 | 클리프 서터 | 브루스 반스 | 6-3, 6-2, 3-6, 6-3 |
1930 | 프랭크 실즈 | 에멋 페어 | 6-2, 6-4, 3-6, 2-6, 6-1 |
1929 | 허버트 보먼 | 줄리어스 셀리그슨 | 2-6, 6-4, 6-4, 6-1 |
1928 | 에멋 페어 | 해리스 코제셜 | 2-6, 6-1, 6-4, 6-4 |
1927 | 조지 롯 | 에멋 페어 | 6-4, 6-4, 6-2 |
1926 | 빌 틸던 | 조지 롯 | 4-6, 6-3, 7-9, 6-4, 6-3 |
1925 | 조지 롯 | 줄리어스 사갈로프스키 | 6-3, 7-5, 6-1 |
1924 | 조지 롯 | 폴 컨켈 | 2-6, 13-11, 6-4, 6-3 |
1923 | 루이스 쿨러 | 폴 컨켈 | 6-3, 6-3, 6-2 |
1922 | 루이스 쿨러 | 에드윈 헙트 | 6-3, 6-1, 6-1 |
1921 | 대회 중단 | ||
1920 | 존 F. 헤네시 | 월터 웨스브룩 | 8-10, 6-3, 6-3, 6-4 |
1919 | 프리츠 배스천 | 존 F. 헤네시 | 2-6, 6-4, 6-1, 6-4 |
1918 | 제1차 세계 대전으로 대회 중단 | ||
1917 | 프리츠 배스천 | 존 G. 매케이 | 4-6, 6-4, 6-1, 6-2 |
1916 | 빌 존스턴 | 클래런스 그리핀 | 경기 포기 |
1915 | 클래런스 그리핀 | 윌리엄 S. 매켈로이 | 6-4, 6-3, 6-3 |
1914 | 윌리엄 S. 매켈로이 | 윌리엄 호그 | 6-4, 1-6, 6-4, 6-2 |
1913 | 윌리엄 S. 매켈로이 | 거스 터차드 | 경기 포기 |
1912 | 거스 터차드 | 리처드 H. 파머 | 6-1, 6-2, 7-5 |
1911 | 리처드 H. 파머 | 리처드 비숍 | 14-12, 6-4, 8-6 |
1910 | 리처드 H. 파머 | 월리스 F. 존슨 | 11-9, 6-3, 6-4 |
1909 | 로버트 리로이 | 냇 에머슨 | 6-3, 3-6, 6-0, 1-6, 6-3 |
1908 | 로버트 리로이 | 냇 에머슨 | 6-0, 7-5, 6-4 |
1907 | 로버트 리로이 | 로버트 천시 시버 | 8-6, 6-8, 6-2, 6-0 |
1906 | 빌스 라이트 | 로버트 리로이 | 6-4, 6-4, 4-6, 4-6, 6-2 |
1905 | 빌스 라이트 | 크리 콜린스 | 6-3, 7-5, 4-6, 7-9, 6-3 |
1904 | 빌스 라이트 | L. 해리 웨이드너 | 7-5, 6-0, 6-3 |
1903 | 크리 콜린스 | 레이먼드 D. 리틀 | 11-9, 4-6, 6-1, 3-6, 6-4 |
1902 | 레이먼드 D. 리틀 | 크리 콜린스 | 3-6, 6-8, 6-4, 6-1, 6-2 |
1901 | 레이먼드 D. 리틀 | 크리 콜린스 | 2-6, 8-6, 6-4, 7-5 |
1900 | 레이먼드 D. 리틀 | 냇 에머슨 | 6-2 6-4 6-2 |
1899 | 냇 에머슨 | 더들리 섯핀 | 8-6, 6-1, 10-8 |
4. 2. 여자 단식 결승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1899 | Myrtle McAteer영어 | Juliette Atkinson영어 | 7-5, 6-1, 4-6, 8-6 |
1900 | Myrtle McAteer영어 | Maud Banks영어 | 6-4, 6-8, 6-2, 6-3 |
1901 | Winona Closterman영어 | Juliette Atkinson영어 | 6-2, 8-6, 6-1 |
1902 | Maud Banks영어 | Winona Closterman영어 | 6-2, 6-1 |
1903 | Winona Closterman영어 | Myrtle McAteer영어 | 6-1, 5-7, 6-4 |
1904 | Myrtle McAteer영어 | Winona Closterman영어 | 7-5, 6-3 |
1905 | 메이 서튼 | Myrtle McAteer영어 | 6-0, 6-0 |
1906 | 메이 서튼 | Florence Sutton영어 | 7-5, 6-2 |
1907 | 메이 서튼 | Martha Kinsey영어 | 6-1, 6-1 |
1908 | Martha Kinsey영어 | Marjorie Dodd영어 | 4-6, 8-6, 6-2 |
1909 | Edith Hannam영어 | Martha Kinsey영어 | 6-3, 6-1 |
1910 | Miriam Steever영어 | Rhea Fairbairn영어 | 4-6, 8-6, 6-0 |
1911 | Marjorie Dodd영어 | Helen McLoughlin영어 | 6-0, 6-2 |
1912 | Marjorie Dodd영어 | 메이 서튼 | 경기 포기 |
1913 | Ruth Sanders영어 | Marjorie Dodd영어 | 6-2, 6-3 |
1914 | Ruth Sanders영어 | Katharine Brown영어 | 7-5, 5-7, 6-2 |
1915 | 몰라 말로리 | Ruth Sanders영어 | 6-0, 6-4 |
1916 | Martha Guthrie영어 | Marguerite Davis영어 | 6-2, 2-6, 6-1 |
1917 | Katharine Brown영어 | Mrs. Willis Adams영어 | 7-5, 0-6, 6-4 |
1918 |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대회 중단 | ||
1919 | 여자 경기 미개최 | ||
1920 | Ruth Sanders영어 | Ruth King영어 | 6-1, 6-0 |
1921 | 대회 중단 | ||
1922 | Ruth Sanders영어 | Olga Strashun영어 | 6-3, 6-4 |
1923 | Ruth Sanders영어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6-0, 7-5 |
1924 | Olga Strashun영어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6-4, 6-2 |
1925 | Marian Leighton영어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6-3, 6-2 |
1926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Olga Strashun영어 | 6-2, 6-2 |
1927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Marian Leighton영어 | 6-4, 4-6, 4-1 (기권) |
1928 | Midge Gladman영어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6-4, 6-4 |
1929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Ruth Riese영어 | 6-2, 6-3 |
1930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Ruth Riese영어 | 6-2, 6-4 |
1931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Ruth Riese영어 | 6-1, 6-1 |
1932 | Dorothy Weisel Hack영어 | 클라라 루이즈 징크 | 6-1, 6-0 |
1933 | Muriel Adams영어 | Helen Fulton영어 | 6-4, 6-4 |
1934 | Gracyn Wheeler영어 | Esther Bartosh영어 | 경기 포기 (질병) |
1935 | 대공황으로 인해 대회 중단 | ||
1936 | Lila Porter영어 | 버지니아 홀링어 | 6-4, 6-3 |
1937 | 버지니아 홀링어 | Monica Nolan영어 | 6-3, 6-2 |
1938 | 버지니아 홀링어 | Margaret Jessee영어 | 8-6, 1-6, 6-0 |
1939 | 캐서린 울프 | 버지니아 홀링어 | 6-2, 6-3 |
1940 | 앨리스 마블 | Gracyn Wheeler영어 | 6-3, 6-4 |
1941 | 폴린 베츠 | Mary Arnold영어 | 6-4, 6-3 |
1942 | 캐서린 울프 | Monica Nolan영어 | 6-4, 6-1 |
1943 | 폴린 베츠 | 캐서린 울프 | 6-0, 6-2 |
1944 | 도로시 번디 | 폴린 베츠 | 7-5, 6-4 |
1945 | 폴린 베츠 | 도로시 번디 | 6-2, 6-0 |
1946 | Virginia Kovacs영어 | 셜리 프라이 어빈 | 6-4, 6-1 |
1947 | Betty Rosenquest영어 | Betty Hulbert James영어 | 9-7, 6-2 |
1948 | Dorothy Head Knode영어 | Mercedes "Baba" Madden Lewis영어 | 6-4, 6-4 |
1949 | Magda Ruracro | 베벌리 베이커 플라이츠 | 6-4, 2-6, 6-0 |
1950 | 베벌리 베이커 플라이츠 | Magda Ruracro | 5-7, 6-3, 9-7 |
1951 | Pat Canning Todd영어 | Magda Ruracro | 6-3, 6-4 |
1952 | Anita Kanter영어 | Doris Popple영어 | 6-0, 6-1 |
1953 | Thelma Coyne Long영어 | Anita Kanter영어 | 7-5, 6-2 |
1954 | Lois Felix영어 | Ethel Norton영어 | 6-1, 6-3 |
1955 | Mimi Arnold영어 | Barbara Breit영어 | 6-4, 6-3 |
1956 | Yola Ramirezes | Mary Ann Mitchell영어 | 7-5, 6-1 |
1957 | Lois Felix영어 | Pat Nod영어 | 7-5, 2-6, 7-5 |
1958 | Gwyn Thomas영어 | Marta Hernándezes | 6-1, 6-2 |
1959 | Donna Floyd영어 | Carol Hanks Aucamp영어 | 5-7, 6-2, 6-4 |
1960 | Carol Hanks Aucamp영어 | Farel Footman영어 | 6-2, 4-6, 6-3 |
1961 | 피치 켈마이어 | Carole Caldwell Graebner영어 | 3-6, 12-10, 7-5 |
1962 | Julie Heldman영어 | Roberta Alison영어 | 6-4, 6-4 |
1963 | Stephanie DeFina영어 | Jane "Peaches" Bartkowicz영어 | 7-5, 6-2 |
1964 | Jean Danilovich영어 | Alice Tym영어 | 6-1, 6-2 |
1965 | Stephanie DeFina영어 | Roberta Alison영어 | 10-8, 5-7, 6-4 |
1966 | Jane "Peaches" Bartkowicz영어 | 피치 켈마이어 | 6-3, 6-3 |
1967 | Jane "Peaches" Bartkowicz영어 | Patsy Rippy영어 | 6-4, 6-1 |
1968 | Linda Tuero영어 | Tory Fretz영어 | 6-1, 6-2 |
1969 | Lesley Turner Bowrey영어 | Gail Chanfreau프랑스어 | 1-6, 7-5, 10-10 (기권) |
1970 | 로즈마리 카잘스 | Nancy Richey Gunter영어 | 6-3, 6-3 |
1971 | 버지니아 웨이드 | Linda Tuero영어 | 6-3, 6-3 |
1972 | 마거릿 코트 | 이본 굴라공 콜리 | 3-6, 6-2, 7-5 |
1973 | 이본 굴라공 콜리 | 크리스 에버트 | 6-2, 7-5 |
1974-87 | 여자 경기 미개최 | ||
1988 | 바버라 포터 | 헬렌 켈레시 | 6-2, 6-2 |
1989-2003 | 여자 경기 미개최 | ||
2004 | 린지 대븐포트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2 |
2005 | 패티 슈니더 | 모리가미 아키코 | 6-4, 6-0 |
2006 | 베라 즈보나레바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6-2, 6-4 |
2007 | 안나 차크베타제 | 모리가미 아키코 | 6-1, 6-3 |
2008 | 나디아 페트로바 | 나탈리 드시 | 6-2, 6-1 |
2009 | 옐레나 얀코비치 | 디나라 사피나 | 6-4, 6-2 |
2010 | 킴 클레이스터르스 | 마리아 샤라포바 | 2-6, 7-6(7-4), 6-2 |
2011 | 마리아 샤라포바 | 옐레나 얀코비치 | 4-6, 7-6(7-3), 6-3 |
2012 | 리나 | 안젤리크 케르버 | 1-6, 6-3, 6-1 |
2013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세레나 윌리엄스 | 2-6, 6-2, 7-6(8-6) |
2014 | 세레나 윌리엄스 | 아나 이바노비치 | 6-4, 6-1 |
2015 | 세레나 윌리엄스 | 시모나 할레프 | 6-3, 7-6(7-5) |
2016 | 카롤리나 플리스코바 | 안젤리크 케르버 | 6-3, 6-1 |
2017 | 가르비녜 무구루사 | 시모나 할레프 | 6-1, 6-0 |
2018 | 키키 베르텐스 | 시모나 할레프 | 2-6, 7-6(8-6), 6-2 |
2019 | 매디슨 키스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7-5, 7-6(7-5) |
2020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오사카 나오미 | 기권 |
2021 | 애슐리 바티 | 질 타이히만 | 6-3, 6-1 |
2022 | 카롤린 가르시아 | 페트라 크비토바 | 6-2, 6-4 |
2023 | 코코 고프 | 카롤리나 무호바 | 6-3, 6-4 |
2024 | 아리나 사발렌카 | 제시카 페굴라 | 6-3, 7-5 |
4. 3. 남자 복식 결승 (오픈 시대)
연도 | 우승 팀 | 준우승 팀 | 스코어 |
---|---|---|---|
1968년 | 론 골드먼 / 윌리엄 브라운 | 호아킨 로요마요 / 하이메 피욜 | 10-8, 6-3 |
1969년 | 밥 루츠 / 스탠 스미스 | 아서 애시 / 찰리 파사렐 | 6-3, 6-4 |
1970년 | 일리 나스타세 / 이온 치리아크 | 밥 휴이트 / 프루 맥밀란 | 6-3, 6-4 |
1971년 | 스탠 스미스 / 에릭 반 딜렌 | 샌디 마이어 / 로스코 태너 | 6-4, 6-4 |
1972년 | 밥 휴이트 / 프루 맥밀란 | 폴 가르켄 / 험프리 호세 | 7-6, 6-4 |
1973년 | 존 알렉산더 / 필 덴트 | 브라이언 고트프리드 / 라울 라미레스 | 1-6, 7-6, 7-6 |
1974년 | 딕 델 / 셔우드 스튜어트 | 제임스 델라니 / 존 휘틀링거 | 4-6, 7-6, 6-2 |
1975년 | 필 덴트 / 클리프 드라이스데일 | 마르셀로 라라 / 호아킨 로요-마요 | 7-6, 6-4 |
1976년 | 스탠 스미스 / 에릭 반 딜렌 | 에디 딥스 / 해롤드 솔로몬 | 6-1, 6-1 |
1977년 | 존 알렉산더 / 필 덴트 | 밥 휴이트 / 로스코 태너 | 6-3, 7-6 |
1978년 | 진 마이어 / 라울 라미레스 | 이스마일 엘 샤페이 / 브라이언 페어리 | 6-3, 6-3 |
1979년 | 브라이언 고트프리드 / 일리 나스타세 | 밥 루츠 / 스탠 스미스 | 1-6, 6-3, 7-6 |
1980년 | 브루스 맨슨 / 브라이언 티처 | 보이체크 피바크 / 이반 렌들 | 6-7, 7-5, 6-4 |
1981년 | 존 매켄로 / 퍼디 테이건 | 밥 루츠 / 스탠 스미스 | 7-6, 6-3 |
1982년 | 피터 플레밍 / 존 매켄로 | 스티브 덴턴 / 마크 에드먼드슨 | 6-2, 6-3 |
1983년 | 빅터 아마야 / 팀 굴릭슨 | 카를로스 키르마이어 / 카시우 모타 | 6-4, 6-3 |
1984년 | 프란시스코 곤살레스 / 매트 미첼 | 샌디 마이어 / 벌라즈 타로치 | 4-6, 6-3, 7-6 |
1985년 | 스테판 에드베리 / 안데르스 예리드 | 요아킴 니스토롬 / 마츠 빌란데르 | 4-6, 6-2, 6-3 |
1986년 | 마크 크라츠만 / 킴 워릭 | 크리스토 스테인 / 다니 비서 | 6-3, 6-4 |
1987년 | 켄 플라흐 / 로버트 세구소 | 스티브 덴턴 / 존 피츠제럴드 | 7-5, 6-3 |
1988년 | 릭 리치 / 짐 푸 | 짐 그라브 / 패트릭 매켄로 | 6-2, 6-4 |
1989년 | 켄 플라흐 / 로버트 세구소 | 피터 알드리치 / 다니 비서 | 6-4, 6-4 |
1990년 | 대런 케이힐 / 마크 크라츠만 | 닐 브로드 / 게리 뮬러 | 7-6, 6-2 |
1991년 | 켄 플라흐 / 로버트 세구소 | 그랜트 코넬 / 글렌 미치바타 | 6-7, 6-4, 7-5 |
1992년 | 토드 우드브리지 / 마크 우드포드 | 패트릭 매켄로 / 조너선 스타크 | 6-3, 1-6, 6-3 |
1993년 | 안드레 애거시 / 페트르 코르다 | 스테판 에드베리 / 헨릭 홀름 | 7-6, 6-4 |
1994년 | 알렉스 오브라이언 / 샌던 스톨 | 웨인 페레이라 / 마크 크라츠만 | 6-7, 6-3, 6-2 |
1995년 | 토드 우드브리지 / 마크 우드포드 | 마크 노울스 / 다니엘 네스터 | 6-2, 3-0 기권 |
1996년 | 마크 노울스 / 다니엘 네스터 | 샌던 스톨 / 시릴 수크 | 3-6, 6-3, 6-4 |
1997년 | 토드 우드브리지 / 마크 우드포드 | 마크 필리푸시스 / 패트릭 라프터 | 7-6, 4-6, 6-4 |
1998년 | 마크 노울스 / 다니엘 네스터 | 올리비에 들라트르 / 파브리스 산토로 | 6-1, 2-1 기권 |
1999년 | 바이런 블랙 / 요나스 뷔르크만 | 토드 우드브리지 / 마크 우드포드 | 6-3, 7-6(8-6) |
2000년 | 토드 우드브리지 / 마크 우드포드 | 엘리스 페레이라 / 릭 리치 | 7-6(8-6), 6-4 |
2001년 | 마헤쉬 부파티 / 레안더 파에스 | 마르틴 담 / 다비드 프리노실 | 7-6(7-3), 6-3 |
2002년 | 제임스 블레이크 / 토드 마틴 | 마헤쉬 부파티 / 맥스 미르니 | 7-5, 6-3 |
2003년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웨인 아서스 / 폴 한리 | 7-5, 7-6(7-5) |
2004년 | 마크 노울스 / 다니엘 네스터 | 요나스 뷔르크만 / 토드 우드브리지 | 6-2, 3-6, 6-3 |
2005년 | 요나스 뷔르크만 / 맥스 미르니 | 웨인 블랙 / 케빈 얼리에트 | 7-6(7-3), 6-2 |
2006년 | 요나스 뷔르크만 / 맥스 미르니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3-6, 6-3, [10-7] |
2007년 | 조너선 얼리치 / 앤디 람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4-6, 6-3, [13-11] |
2008년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조너선 얼리치 / 앤디 람 | 4-6, 7-6(7-2), [10-7] |
2009년 | 다니엘 네스터 / 네나드 지모니치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3-6, 7-6(7-2), [15-13] |
2010년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마헤쉬 부파티 / 맥스 미르니 | 6-3, 6-4 |
2011년 | 마헤쉬 부파티 / 레안더 파에스 | 미카엘 로드라 / 네나드 지모니치 | 7-6(7-4), 7-6(7-2) |
2012년 | 로베르트 린드스테트 / 호리아 테커우 | 마헤쉬 부파티 / 로한 보파나 | 6-4, 6-4 |
2013년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 마르크 로페스 | 6-4, 4-6, [10-4] |
2014년 | 밥 브라이언 / 마이크 브라이언 | 바섹 포스피실 / 잭 삭 | 6-3, 6-2 |
2015년 | 다니엘 네스터 / 에두아르 로제바세린 | 마르친 마트코프스키 / 네나드 지모니치 | 6-2, 6-2 |
2016년 | 이반 도디그 / 마르셀로 멜로 | 장-줄리앙 로제 / 호리아 테커우 | 7-6(7-5), 6-7(5-7), [10-6] |
2017년 | 피에르-위그 에르베르 / 니콜라 마위 | 제이미 머레이 / 브루노 소아레스 | 7-6(8-6), 6-4 |
2018년 | 제이미 머레이 / 브루노 소아레스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 로베르트 파라 | 4-6, 6-3, [10-6] |
2019년 | 이반 도디그 / 필립 폴라세크 |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 / 로베르트 파라 | 4-6, 6-4, [10-6] |
2020년 | 파블로 카레뇨 부스타 / 알렉스 드 미노르 | 제이미 머레이 / 닐 스쿠프스키 | 6-2, 7-5 |
2021년 | 마르셀 그라노예르스 / 오라시오 세바요스 | 스티브 존슨 / 오스틴 크라이첵 | 7-6(7-5), 7-6(7-5) |
2022년 | 라지브 람 / 조 샐즈버리 | 팀 퓌츠 / 마이클 비너스 | 7-6(7-4), 7-6(7-5) |
2023년 | 막시모 곤살레스 / 안드레스 몰테니 | 제이미 머레이 / 마이클 비너스 | 3-6, 6-1, [11-9] |
4. 4. 여자 복식 결승 (오픈 시대)
연도 | 우승 팀 | 준우승 팀 | 스코어 |
---|---|---|---|
1968년 | 에밀리 버러 / 린다 투에로 | 페기 미셸 / 캐롤 게이 | 6-2, 6-3 |
1969년 | 케리 해리스 / 발레리 지겐푸스 | 에밀리 버러 / 팸 리치먼드 | 6-3, 9-7 |
1970년 | 로지 카살스 / 게일 셰리프 | 헬렌 굴레이 / 패트리샤 워크덴 | 12-10, 6-1 |
1971년 | 헬렌 굴레이 / 켈리 해리스 | 게일 셰리프 / 위니 쇼 | 6-4, 6-4 |
1972년 | 마가렛 스미스 코트 / 이브 본 골라공 | 브렌다 커크 / 패트 프리토리우스 | 6-4, 6-1 |
1973년 | 일라나 클로스 / 패트 프리토리우스 | 이브 본 골라공 / 자넷 영 | 7-6, 3-6, 6-2 |
1974년-1987년 | 여자 경기 미개최 | ||
1988년 | 베스 허 / 캔디 레이놀즈 | 린지 바틀렛 / 헬렌 켈레시 | 4-6, 7-6, 6-1 |
1989년-2003년 | 여자 경기 미개최 | ||
2004년 | 질 크레이바스 / 마를렌 바인가르트너 | 에마뉘엘 가글리아르디 / 안나 레나 그뢰네펠트 | 7-5, 7-6 |
2005년 | 로라 그랜빌 / 애비게일 스피어스 | 쿠베타 페슈케 / 마리아 에밀리아 살레르니 | 3-6, 6-2, 6-4 |
2006년 | 마리아 엘레나 카메린 / 히셀라 둘코 | 마르타 도마호프스카 / 사니아 미르자 | 6-4, 3-6, 6-2 |
2007년 | 베서니 매텍 / 사니아 미르자 | 알리나 지드코바 / 타티아나 푸체크 | 7-6, 7-5 |
2008년 | 나디아 페트로바 / 마리아 키릴렌코 | 셰수웨이 /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 4-6, 6-3, [10-8] |
2009년 | 카라 블랙 / 리젤 후버 | 누리아 랴고스테라 비베스 /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산체스 | 6-3, 0-6, [10-2] |
2010년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키릴렌코 | 리사 레이먼드 / 르네 스텁스 | 7-6, 7-6 |
2011년 | 바니아 킹 /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 나탈리 그랜딘 / 블라디미라 울리르조바 | 6-4, 3-6, [11-9] |
2012년 | 안드레아 흘라바치코바 / 루치에 흐라데츠카 | 카타리나 스레보트니크 / 정제 | 6-1, 6-3 |
2013년 | 셰수웨이 / 펑솨이 | 안나 레나 그뢰네펠트 / 쿠베타 페슈케 | 2-6, 6-3, [12-10] |
2014년 | 라켈 콥스존스 / 애비게일 스피어스 | 티메아 바보스 / 크리스티나 믈라데노비치 | 6-1, 2-0 기권 |
2015년 | 잔하오칭 / 잔융란 | 케이시 델라쿠아 / 야로슬라바 시베도바 | 6-4, 7-5 |
2016년 | 사니아 미르자 / 바르보라 스트리코바 | 마르티나 힝기스 / 코코 밴더웨이 | 7-5, 6-4 |
2017년 | 잔융란 / 마르티나 힝기스 | 셰수웨이 / 모니카 니쿨레스쿠 | 4-6, 6-4, [10-7] |
2018년 | 루치에 흐라데츠카 / 예카테리나 마카로바 | 엘리서 메르턴스 / 데미 스휘르스 | 6-2, 7-5 |
2019년 | 루치에 흐라데츠카 / 안드레야 클레파치 | 안나 레나 그뢰네펠트 / 데미 스휘르스 | 6-4, 6-1 |
2020년 | 쿠베타 페슈케 / 데미 스휘르스 | 니콜 멜리차 / 쉬이판 | 6-1, 4-6, [10-4] |
5. 기록
로저 페더러는 신시내티 오픈에서 8번 결승에 진출하여 7번 우승,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페더러의 마지막 우승은 2015년으로, 결승에서 노바크 조코비치를 꺾었다. 2018년 이 토너먼트에서 조코비치는 골든 마스터스(9개의 마스터스 모두 우승)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조코비치는 이후 2020년에 다시 골든 마스터스를 달성했다.
최장 시간 결승전 기록은 1948년 허버트 베렌스와 어빈 도프먼의 경기로 총 64게임이었다. 반면 최단 시간 결승전은 2011년 앤디 머레이와 노바크 조코비치의 경기로 13게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