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의 손 (2004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의 손은 2004년에 개봉한 영화로,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시대를 배경으로 흑인 조수 비비언 토머스와 백인 외과 의사 알프레드 블레이락의 심장 수술 연구를 다룬다. 밴더빌트 대학교와 존스 홉킨스 병원을 거치며 팔로 사징후(청색증) 치료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인종차별의 벽에 부딪히는 토머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 영화는 2004년 에미상 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온라인 영화 & 텔레비전 협회상, 블랙릴 어워즈, 골든 글로브상 등 여러 시상식에서 후보로 지명되거나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사 전기 영화 - 프로페서 앤 매드맨
    《프로페서 앤 매드맨》은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옥스퍼드 영어 사전 편찬 과정에서 언어학자 제임스 머레이와 정신 질환을 앓는 윌리엄 체스터 마이너가 만나 협력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사이먼 윈체스터의 소설 『박사와 광인』을 원작으로 하며 멜 깁슨과 숀 펜이 주연을 맡았다.
  • 의사 전기 영화 - 프로이트 (영화)
    《프로이트》는 존 휴스턴 감독의 1962년 전기 영화로, 젊은 시절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히스테리 연구를 통해 정신 분석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몽고메리 클리프트와 수잔나 요크가 각각 프로이트와 환자 역을 맡았다.
  • 전기 텔레비전 영화 - 헤밍웨이 & 겔혼
    헤밍웨이 & 겔혼은 어니스트 헤밍웨이와 마사 겔혼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2012년 HBO 영화로, 필립 카우프만 감독이 연출하고 니콜 키드먼과 클라이브 오언이 주연을 맡아 두 사람의 만남, 결혼, 갈등, 그리고 이혼에 이르기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니콜 키드먼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전기 텔레비전 영화 - 지아 (영화)
    《지아》는 1998년 미국의 전기 드라마 영화로, 모델 지아 카란기의 삶을 다루며, 안젤리나 졸리가 지아 역을, 페이 더너웨이가 윌헬미나 쿠퍼 역을 맡아 약물 중독과 에이즈로 사망하는 과정을 그린다.
  • 드라마 텔레비전 영화 - 스톰 셀
    스톰 셀은 토네이도 연구에 몰두하는 기상학자 에이프릴이 딸 다나와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과 화해, 그리고 토네이도를 둘러싼 위기를 그린 영화이다.
  • 드라마 텔레비전 영화 - 중년의 함정
    남편의 외도로 파국을 맞은 베티 브로데릭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중년의 함정은, 행복한 주부였던 베티가 남편의 외도, 이혼, 재혼으로 인해 극심한 배신감과 분노에 휩싸여 결국 살인까지 저지르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메러디스 백스터 등이 출연하고 MBC에서 한국판 성우진을 구성하여 방영되었다.
신의 손 (2004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Something the Lord Made
감독조세프 서전트
제작로버트 W. 코트
데이비드 매든
에릭 헤첼
줄리언 크레인인
마이크 드레이크
각본피터 실버맨
로버트 카스웰
출연모스 데프
알란 릭맨
키라 세지윅
가브리엘 유니온
메리 스튜어트 매스터슨
음악크리스토퍼 영
촬영도날드 M. 모건
편집마이클 브라운
상영 시간110분
스튜디오HBO
배급사HBO
언어영어
제작 정보
제작사HBO 필름
니나 색슨 필름 디자인
방송사HBO
공개일2004년 5월 30일
촬영도날드 M. 모건

2. 줄거리

영화는 1930년대 대공황 시기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시작된 외과 의사 알프레드 블레이락 박사(앨런 릭먼)와 그의 흑인 조수 비비언 토머스(모스 데프)의 34년에 걸친 파트너십을 다룬다. 처음에는 밴더빌트 대학교 연구실의 청소부 겸 조수로 고용되었으나, 토머스의 비범한 손재주와 지적 능력을 발견한 블레이락 박사는 그를 심장 수술 연구의 핵심 파트너로 삼는다.

1943년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자리를 옮긴 두 사람은 소아과 의사 헬렌 타우시그(메리 스튜어트 마스터슨)의 요청으로 당시 치명적인 선천성 심장 질환이었던 팔로 사징후(Tetralogy of Fallot), 일명 청색증(Blue Baby Syndrome)을 앓는 아기들을 살리기 위한 혁신적인 수술법 개발에 도전한다. 수많은 동물 실험과 연구 끝에 그들은 마침내 획기적인 수술법을 개발하고 성공시킨다. 블레이락 박사는 토머스의 외과적 기술을 "신의 손"이라 칭하며 그의 도움에 크게 의존한다.

하지만 토머스는 연구실 밖에서는 당시 미국 사회에 만연했던 극심한 인종차별에 직면해야 했다. 그는 뛰어난 업적에도 불구하고 정식 의학 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이유와 인종적 편견 때문에 합당한 대우와 인정을 받지 못했으며, 이는 블레이락 박사와의 관계에도 갈등을 유발한다. 영화는 이러한 의학적 성취와 인종적 장벽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오랜 시간이 흐른 뒤 마침내 토머스가 그의 공헌을 공식적으로 인정받게 되는 과정을 그린다.

2. 1. 내슈빌 시절 (1930년대)

영화는 1930년대 대공황 시대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시작되는 34년간의 파트너십 이야기를 다룬다. 알프레드 블레이락 박사가 밴더빌트 대학교 연구실에서 비비언 토머스를 조수로 고용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블레이락 박사는 처음 토머스에게 청소부 일을 맡기려 했으나, 그의 뛰어난 손재주와 지적 능력을 발견하고는 그를 심장 수술 연구의 파트너로 삼게 된다.

2. 2. 존스 홉킨스 병원 (1940년대)

1943년, 블록 박사와 토마스는 밴더빌트 대학교를 떠나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하지만 당시 존스 홉킨스 병원에서는 흑인 직원을 청소부로만 고용하는 등 인종차별이 심했고, 토마스는 병원 정문 대신 뒷문으로 출입해야만 했다.

이곳에서 두 사람은 소아과 의사이자 심장 전문의인 헬렌 타우시그 박사의 요청을 받게 된다. 타우시그 박사는 선천성 심장 질환인 팔로 사징후(Tetralogy of Fallot), 일명 청색증(Blue Baby Syndrome)을 앓는 아기들의 혈액에 산소를 공급할 외과적 방법을 찾아달라고 의뢰했다.

블록과 토마스는 지역 동물 보호소에서 얻은 개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시작했다. 개들에게 인위적으로 심장 결손을 만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술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했다. 초기 실험 결과가 긍정적으로 보였으나, 토마스는 수술받은 아기가 성장하면서 봉합 부위가 함께 자라지 않아 결국 사망하는 꿈을 꾸게 된다. 이를 통해 기존 봉합술의 한계를 깨달은 블록과 토마스는 새로운 수술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수많은 시도 끝에 그들은 마침내 청색증 아기를 수술할 준비를 마쳤다. 블록 박사는 토마스의 뛰어난 외과 수술 기술을 인정하여 "신의 손"이라 칭찬했고, 병원 관리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첫 수술에서 토마스에게 자신의 수술 과정을 지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수술 중 블록 박사가 실수로 동맥을 잘못 절단하는 위기도 있었지만, 토마스의 침착한 지도 아래 결국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이 획기적인 수술의 성공 소식은 빠르게 퍼져나갔고, 미국 전역과 전 세계에서 청색증을 앓는 아이를 둔 부모들이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몰려들었다. 또한, 많은 의사들이 토마스가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수술 기법을 배우기 위해 병원을 찾았다.

그러나 토마스는 연구실 밖에서는 여전히 심각한 인종차별에 시달려야 했다. 그는 생활비 마련을 위해 블록 박사가 주최하는 파티에서 바텐더로 일하기도 했으며, 블록 박사가 청색증 수술 성공으로 공로를 인정받는 공식적인 자리에는 초대받지 못하고 뒤에서 지켜봐야만 했다. 심지어 블록 박사는 수상 소감에서 다른 동료 의사들의 공로는 언급하면서도 정작 수술법 개발과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토마스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에 큰 실망과 상처를 받은 토마스는 잠시 연구실을 떠나기도 했지만, 결국 연구에 대한 열정을 이기지 못하고 다시 돌아왔다.

2. 3. 인종차별과 갈등

1943년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자리를 옮긴 후, 토머스는 당시 만연했던 인종차별에 직면해야 했다. 당시 병원에서 흑인 직원은 청소부밖에 없었으며, 토머스는 정문이 아닌 뒷문으로 출입해야만 했다.[1]

두 사람의 연구는 청색증(Blue Baby Syndrome) 아기들을 살리는 획기적인 심장 수술법 개발로 이어졌지만, 연구실 밖에서 토머스는 여전히 차별적인 시선과 대우를 받았다. 그는 추가 수입을 얻기 위해 블레이락 박사가 주최한 파티에서 바텐더로 일해야 했고[1], 블레이락 박사가 청색증 수술의 공로를 인정받는 공식적인 자리에는 초대받지 못했다. 토머스는 인종 차별적인 Belvedere Hotel영어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채, 무도회장 뒤편 화분 뒤에서 블레이락 박사가 다른 의사들의 공로는 언급하면서도 정작 수술 성공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자신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 것을 들어야 했다.[1]

다음 날, 토머스는 블레이락 박사에게 자신이 그 행사를 지켜봤음을 밝히고 큰 실망감과 함께 연구실을 떠났다.[1] 그러나 외과 수술 연구에 대한 그의 열정은 다른 어떤 일에서도 만족감을 주지 못했고, 결국 그는 블레이락 박사의 무시를 감내하고 연구실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1]

2. 4. 블레이락 박사의 죽음과 토머스의 인정 (1960년대~1970년대)

1964년, 블레이락 박사는 죽음을 앞두고 개심 수술실에서 전문 외과의이자 교육자로 활동하는 토머스를 만난다. 블레이락 박사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토머스는 존스 홉킨스 병원에 남아 외과의들을 교육하는 일을 계속했다. 오랜 시간이 흘러 1976년, 존스 홉킨스 병원은 공식 행사를 열어 마침내 토머스의 공헌을 인정하고 그에게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또한, 수년 전부터 걸려 있던 블레이락 박사의 초상화 옆에 토머스의 초상화가 나란히 걸리게 되었다. 이는 오랜 기간 인종차별 속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다하며 의학 발전에 기여한 토머스의 업적이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순간이었다. 영화는 두 사람의 초상화와 함께 생몰년도('알프레드 블록 박사 1899-1964', '비비언 토마스 박사 1910-1985')를 보여주며 마무리된다.

3. 등장인물

이 영화는 1930년대 대공황 시대 미국 내슈빌에서 시작되어 34년간 이어진 백인 외과의사 알프레드 블라록 박사(앨런 릭먼 분)와 흑인 외과 기술자 비비언 토머스(모스 데프 분)의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처음에는 단순 조수로 고용되었던 토머스가 뛰어난 능력으로 블라록 박사의 핵심 연구 파트너가 되는 과정과, 당시 만연했던 인종차별 속에서도 협력하여 청색증 아기들을 위한 획기적인 심장 수술법을 개발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두 주인공 외에도 존스 홉킨스 병원의 소아과 의사 헬렌 브루스 타우시그 박사(메리 스튜어트 마스터슨 분), 비비언 토머스의 아내 클라라 토머스(가브리엘 유니온 분), 알프레드 블라록 박사의 아내 메리 블라록(카이라 세드윅 분) 등이 있다. 각 인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와 한국어 더빙 성우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인물

3. 1. 1. 비비언 토머스

모스 데프가 연기한 비비언 토머스는 뛰어난 재능을 가졌지만 대공황 시대의 인종차별 속에서 어려움을 겪는 흑인 청년이다. 한국어 더빙은 곽윤상이 맡았다.[1]

내슈빌밴더빌트 대학교 연구실에서 처음에는 청소부로 고용될 예정이었으나, 그의 놀라운 손재주와 지적 능력을 알아본 알프레드 블라록 박사(앨런 릭먼 분)의 조수가 되어 심장 수술 연구 파트너로 함께하게 된다.[2]

1943년,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지만, 당시 흑인 직원은 청소부뿐이었기에 그는 병원 뒷문으로 출입해야만 했다. 블라록 박사와 함께 팔로트 사징후(흔히 청색증이라 불림)라는 선천성 심장 질환 연구에 매진하며 심장 수술 분야를 개척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헬렌 B. 타우시그 박사(메리 스튜어트 마스터슨 분)의 요청으로 청색증 아기들을 위한 수술법 개발에 몰두했다.[2]

블라록 박사는 토머스의 외과 수술 기술을 "신의 손"이라 칭찬하며 그의 도움 없이는 수술을 진행하기 어려워했지만, 토머스는 연구실 밖에서는 여전히 심각한 인종차별에 직면해야 했다. 추가 수입을 위해 블라록 박사의 파티에서 바텐더로 일하기도 했으며, 블라록 박사가 청색증 수술 공로를 인정받는 공식 석상에는 초대받지 못하고 뒤에서 지켜봐야 했다. 심지어 블라록 박사는 다른 의사들의 공로는 언급하면서도 토머스의 기여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이 일로 잠시 연구실을 떠나기도 했지만, 연구에 대한 열정으로 다시 돌아왔다.[2]

블라록 박사 사후에도 존스 홉킨스 병원에 남아 외과의들을 교육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6년, 존스 홉킨스 병원은 그의 공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고, 그의 초상화는 블라록 박사의 초상화 옆에 나란히 걸리게 되었다.[2]

3. 1. 2. 알프레드 블레이락

알란 릭맨이 연기한 알프레드 블레이락 박사는 영화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한국어 더빙은 성우 박상일이 맡았다. 그는 백인 외과의사로, 1930년대 대공황 시기 내슈빌밴더빌트 대학교 연구실에서 비비안 토마스(모스 데프 분)를 처음 만난다. 처음에는 토마스를 청소부로 고용하려 했으나, 그의 뛰어난 손재주와 지적 능력을 알아보고 심장 수술 연구의 파트너로 삼는다.

1943년, 블레이락은 토마스와 함께 존스 홉킨스 병원으로 자리를 옮긴다. 그곳에서 소아과 의사이자 심장 전문의인 헬렌 타우시그 박사(매리 스튜어트 매스터슨 분)의 요청으로 팔로트 사징후, 즉 청색증 아기들을 위한 외과적 수술법 개발에 착수한다. 블레이락은 토마스와 함께 동물 실험을 거치며 수술법을 연구하고, 토마스의 뛰어난 외과 수술 기술을 "신의 손"이라고 칭찬하기도 한다.

첫 청색증 아기 수술 당시, 블레이락은 병원 관리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토마스에게 수술 지도를 요청한다. 수술 중 실수를 하기도 했지만, 결국 토마스의 도움으로 수술을 성공시키며 의학계에 큰 족적을 남긴다. 이 성공으로 명성을 얻지만, 당시 만연했던 인종차별의 영향으로 토마스의 공헌을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특히, 자신의 공로를 인정받는 호텔 행사에서 토마스를 초대하지 않고 그의 기여를 언급하지 않아 토마스와 갈등을 겪기도 한다.

영화 후반부, 블레이락은 1964년 사망하기 하루 전, 외과 의사이자 교육자로 활동하는 토마스를 만난다. 사후 그의 초상화는 존스 홉킨스 병원 벽에 걸리며, 이후 토마스의 초상화와 나란히 자리하게 된다. 초상화에는 '알프레드 블록 박사(DR. ALFRED BLALOCK) 1899-1964'라고 표시되어 있다.

3. 1. 3. 헬렌 타우시그

메리 스튜어트 매스터슨이 연기한 헬렌 브루스 타우시그 박사는 존스 홉킨스 병원의 소아과 의사이자 심장 전문의이다. 그녀는 알프레드 블라록 박사에게 청색증을 앓는 아기들을 위한 외과적 해결책을 찾아달라고 요청하며, 아기들의 혈액을 산소화할 새로운 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3. 1. 4. 클라라 토머스

가브리엘 유니온이 클라라 토머스 역을 연기했으며, 한국어 더빙은 성우 최하나가 담당했다. 극중 비비언 토머스의 아내이다.

3. 1. 5. 메리 블레이락

알프레드 블라록 박사의 아내인 메리 블라록 역할은 배우 카이라 세드윅 Kyra Sedgwickeng이 연기했다. 한국어 더빙은 성우 김정애가 맡았다.

3. 2. 조연

wikitext

배역배우한국어 더빙 성우
알프레드 블라록앨런 릭맨박상일
비비언 토머스모스 데프곽윤상
헬렌 브루스 타우시그메리 스튜어트 마스터슨배정미
클라라 토마스가브리엘 유니온최하나
메리 블레이락카이라 세드윅김정애
해럴드 토마스클레이턴 르부에프오세홍
월터루레이 쿠퍼김정호
윌리엄 토마스찰스 S. 더튼온영삼
메리 토마스헨리 에드먼즈유지영
장군 / 병원 관리인데이빗 베일리 / 로버트 F. 츄문관일
하밀 박사 / 신부데이브 트로바토 / 마티 로드지유호한
색슨더그 올리어김대중
롱모어 박사볼튼 마쉬이지환
올가 토마스조 벅이승주
색슨 부인메릿 위버전진아


4. 영화 제작 배경

영화의 바탕이 된 비비언 토마스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존스홉킨스에서 함께 일했던 외과 의사들 사이에서만 전설적인 인물로 통했다. 그의 이야기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9년, 작가 케이티 맥케이브가 워싱턴이언 잡지에 토마스와 블래록의 파트너십에 관한 기사 "주님이 만드신 것 같아"(Like Something the Lord Madeeng)를 발표하면서부터이다.[1] 이 기사는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후 2003년 공영 방송 다큐멘터리 "마음의 파트너"(Partners of the Hearteng) 제작[3]과 이 영화의 제작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4][5]

4. 1. 케이티 맥케이브의 기사

평생 세상의 주목을 피했던 토머스는 그가 훈련시킨 존스홉킨스 외과 의사들 외에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이야기는 워싱턴의 작가 케이티 맥케이브에 의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졌다. 맥케이브는 1985년, 저명한 워싱턴 D.C. 외과의사와의 인터뷰에서 토머스를 "절대적인 전설"이라고 묘사하는 말을 듣고 그의 블래록과의 업적을 알게 되었다. 맥케이브의 1989년 ''워싱턴이언'' 잡지 기사, "주님이 만드신 것 같아"(Like Something the Lord Madeeng)[1]는 이 이야기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2003년 토머스와 블래록에 관한 공영 방송 다큐멘터리 "마음의 파트너"(Partners of the Hearteng)[3] 제작으로 이어졌다. 워싱턴 D.C.의 치과의사 어빙 소킨은 맥케이브의 기사를 발견하여 할리우드에 전달했고, 그곳에서 영화로 제작되었다.[4][5]

4. 2. 다큐멘터리 "마음의 파트너"

평생 세상의 주목을 피했던 비비언 토마스의 이야기는 작가 케이티 맥케이브에 의해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졌다. 맥케이브는 1989년 워싱턴이언 잡지에 "주님이 만드신 것 같아"(Like Something the Lord Madeeng)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표했다.[1] 이 기사는 광범위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를 바탕으로 2003년 토마스와 알프레드 블록의 관계를 다룬 공영 방송 다큐멘터리 "마음의 파트너"(Partners of the Hearteng)가 제작되었다.[3] 워싱턴 D.C.의 치과의사 어빙 소킨은 맥케이브의 기사를 발견하고 이를 할리우드에 전달했으며, 이는 영화 《신의 손》 제작으로 이어졌다.[4][5]

5. 수상 및 후보 내역

wikitext

연도시상식부문후보결과참고자료
2004아티오스 상주간 TV 영화 부문 최고 캐스팅Lynn Kressel과 팻 모란수상[6]
온라인 영화 & 텔레비전 협회상최고 텔레비전 영화후보[7]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앨런 릭먼후보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의상 디자인후보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편집후보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조명후보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음악수상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프로덕션 디자인후보
제56회 프라임타임 에미상텔레비전 영화상로버트 W. 코트, 데이비드 매든, 에릭 헤첼,
마이클 드레이크, 그리고 줄리안 크레이닌
수상[8]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앨런 릭먼후보
미니시리즈, 영화 또는 드라마 특집 부문 감독상조셉 사전트후보
미니시리즈, 영화 또는 드라마 특집 부문 각본상피터 실버먼과 로버트 캐스웰후보
미니시리즈, 영화 또는 특집 부문 캐스팅상Lynn Kressel과 팻 모란후보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촬영상도널드 M. 모건수상
미니시리즈, 영화 또는 특집 부문 편집상마이클 브라운수상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녹음상릭 애쉬, 아담 젠킨스, 그리고 브루스 라이트키후보
2005미국 영화 편집자 조합상비상업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최고 편집상마이클 브라운수상[9]
미국 영화 연구소상톱 10 텔레비전 프로그램수상[10]
BET 어워즈여우주연상가브리엘 유니언후보[11]
블랙릴 어워즈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상로버트 W. 코트와 에릭 헤첼수상[12]
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감독상조셉 사전트후보
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조연상클레이턴 르부에프수상
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여우조연상가브리엘 유니언후보
시네마 오디오 소사이어티 어워즈텔레비전 영화 및 미니시리즈 녹음상브루스 라이트키, 릭 애쉬, 그리고 아담 젠킨스후보[13]
제10회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즈최고 텔레비전 영화후보[14]
제57회 감독 조합상텔레비전 영화 또는 미니시리즈 감독상조셉 사전트수상[15]
제62회 골든 글로브상미니시리즈 또는 텔레비전 영화상후보[16]
미니시리즈 또는 텔레비전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제36회 NAACP 이미지 어워즈텔레비전 영화, 미니시리즈 또는 드라마 특집상수상[17]
텔레비전 영화, 미니시리즈 또는 드라마 특집 부문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텔레비전 영화, 미니시리즈 또는 드라마 특집 부문 여우주연상가브리엘 유니언후보
NAMIC 비전 어워즈최고 드라마후보rowspan="2"|
최고 드라마 연기모스 데프후보
피보디상코트/매든 프로덕션
HBO 필름 협력 제작
수상[18]
제16회 미국 프로듀서 조합상장편 텔레비전 부문 데이비드 L. 월퍼상로버트 W. 코트, 데이비드 매든,
마이크 드레이크, 그리고 에릭 헤첼
후보[19]
제9회 골든 새틀라이트상최고 텔레비전 영화상후보[20]
미니시리즈 또는 텔레비전 영화 부문 남우주연상모스 데프후보
앨런 릭먼후보
시리즈, 미니시리즈 또는 텔레비전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메리 스튜어트 마스터슨후보
제21회 TCA 어워즈영화, 미니시리즈 및 특집상후보[21]
제57회 작가 조합상장편 오리지널상피터 실버먼과 로버트 캐스웰수상[22]


참조

[1] 뉴스 Like Something the Lord Made http://reprints.long[...] The Washingtonian 1989-08-00
[2] 웹사이트 Like Something the Lord Made http://reprints.long[...] 2022-10-13
[3] 뉴스 Almost A Miracle http://www.hopkinsm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003-02-00
[4] 뉴스 Dentist Had Hankering for Show Business https://www.washingt[...] 2007-11-11
[5] 뉴스 Irving Sorkin, 88; dentist saw Hollywood dream come true as award-winning producer https://www.latimes.[...] 2007-10-25
[6] 웹사이트 2004 Artios Awards https://www.castings[...] 2004-10-12
[7] 웹사이트 8th Annual TV Awards (2004) http://www.oftaaward[...] 2021-05-15
[8] 웹사이트 Something the Lord Made https://www.emmys.co[...] Academy of Television Arts & Sciences 2017-07-13
[9] 웹사이트 American Cinema Editors (ACE) Announces Nominees for 55th Annual ACE Eddie Awards https://www.billboar[...] 2005-01-14
[10] 웹사이트 AFI Awards 2004 https://www.afi.com/[...] American Film Institute 2022-01-19
[11] 잡지 2005 BET Awards Nominees https://www.prweb.co[...] 2005-05-16
[12] 웹사이트 Black Reel Awards – Past Winners https://www.blackree[...] 2021-12-18
[13] 웹사이트 Nominees/Winners https://www.imdb.com[...] IMDb 2019-05-08
[14] 웹사이트 The BFCA Critics' Choice Awards :: 2004 http://www.bfca.org/[...] Broadcast Film Critics Association 2011-06-23
[15] 웹사이트 57th DGA Awards https://www.dga.org/[...] 2021-07-05
[16] 웹사이트 Something the Lord Made – Golden Globes https://www.goldengl[...] 2021-07-05
[17] 웹사이트 Vivica A. FOX , Omar Epps, Hill Harper, Essence Atkins and Ananda Lewis Join Naacp Executives to Announce the '36th Naacp Image Awards' Nominations http://www.thefutonc[...] 2005-01-19
[18] 웹사이트 Something the Lord Made https://peabodyaward[...] 2021-05-15
[19] 뉴스 Producers' '04 nominees https://www.latimes.[...] 2005-01-06
[20] 웹사이트 Nominees & Winners – Satellite™ Awards 2005 (9th Annual Satellite™ Awards) http://www.pressacad[...] International Press Academy. Satellite Awards 2019-04-07
[21] 잡지 Alphabet tops TCA nominations https://variety.com/[...] 2013-06-17
[22] 웹사이트 Writers Guild Awards Winners: 2005-1996 https://awards.wga.o[...] Writers Guild of America 201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