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티아 파뇌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티아 파뇌프는 캐나다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4살에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11살에 첫 트리플 점프를 성공했으며, 2001년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 2003-2004 시즌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2004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처음 출전했으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011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지만 2012년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4년에 맥심 탈보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엘비스 스토이코
    엘비스 스토이코는 1990년대 세계 피겨 스케이팅계를 주름잡은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과 올림픽 은메달 2회 획득, 쿼드러플 점프와 가라테를 접목한 강렬한 연기로 유명하다.
  • 캐나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조아니 로셰트
    조아니 로셰트는 힘 있는 점프와 우아한 스케이팅으로 유명하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동메달,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 면허를 취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퀘벡 요양 시설에서 근무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캐나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엘비스 스토이코
    엘비스 스토이코는 1990년대 세계 피겨 스케이팅계를 주름잡은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3회 우승과 올림픽 은메달 2회 획득, 쿼드러플 점프와 가라테를 접목한 강렬한 연기로 유명하다.
  • 캐나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조아니 로셰트
    조아니 로셰트는 힘 있는 점프와 우아한 스케이팅으로 유명하며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 동메달, 맥길 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후 의사 면허를 취득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퀘벡 요양 시설에서 근무하는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캐나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안도 미키
    안도 미키는 일본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07년과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2002년 여자 선수 최초로 4회전 점프를 성공시키는 등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은퇴 후 방송 활동과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김연아
    김연아는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고, 독창적인 기술과 예술성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은퇴 후에도 사회 활동과 유니세프 친선대사로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신티아 파뇌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뇌프
2008 스케이트 캐나다에서의 파뇌프
국적캐나다
출생일1988년 1월 16일
출생지소렐트라시, 퀘벡 주
거주지콩트뢰쾨르, 퀘벡 주
1.70 m
배우자막심 탈보 (2014년- )
스케이팅 시작1992년
은퇴2012년 9월 26일
코치 정보
전 코치브라이언 오서
애니 바라베
소피 리샤르
Y. 데자르댕
전 안무가데이비드 윌슨
전 스케이팅 클럽CPA 소렐
전 훈련 장소토론토
콩트뢰쾨르, 퀘벡 주
개인 최고 기록
총점177.54
총점 날짜2010 세계 선수권
쇼트 프로그램 점수60.98
쇼트 프로그램 날짜2009 사대륙 선수권
프리 스케이팅 점수118.04
프리 스케이팅 날짜2010 세계 선수권
주요 대회 성적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사대륙 선수권 대회2004 강릉: 은메달
월드 팀 트로피2009 도쿄: 은메달 (단체)
2012 도쿄: 동메달 (단체)

2. 선수 경력

신티아 파뇌프는 2003-2004 시즌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로는 선발되지 못했다.

2005년에는 오른쪽 발목 피로 골절로 2005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기권했고, 2006년에는 오른쪽 무릎 부상으로 2006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기권하면서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출전 기회를 놓쳤다. 2007년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하며 세계 선수권 팀에 합류했다.

2008년에는 전국 선수권 대회 3위, 2008년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7위를 기록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2010년 201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8위, 프리스케이팅 4위를 기록하며 종합 5위에 올랐다.

2010-11 시즌에는 두 번의 그랑프리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고, 2011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2011년 11월, 브라이언 오서 코치와 훈련하기 위해 토론토로 이사했다. 2012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멜리 라코스테에게 1.57점 차로 뒤져 2위를 기록했고, 2012년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도 라코스테에게 0.18점 뒤지며 2012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2012년 7월에는 허리 피로 골절 진단을 받았다.

나머지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 초기 경력 === 과 === 시니어 경력 === 에 나와 있다.

2. 1. 초기 경력

신시아 파뇌프는 사촌이 스케이팅하는 것을 보고 4살 때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11살에 첫 트리플 점프인 살코를 성공했다. 2001년 4월에는 첫 국제 대회인 트리글라프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 출전하여 2위를 차지했다.

2001-2002 시즌부터 주니어 클래스로 옮겨 ISU 주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첫 대회인 JGP 헤이그에서 우승했고, JGPSBC컵에서는 5위를 기록했지만,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서는 두 번째로 JGP 파이널에 진출하여 7위를 기록했다.

2002-2003 시즌에도 ISU 주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하여 두 번 시상대에 올랐지만, JGP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한편,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는 해당 시즌 이후 시니어 클래스에 출전했다.

파뇌프는 9살부터 2011년 11월까지 퀘벡 주 콩트뢰르에서 애니 바라베와 소피 리처드에게 코치를 받았다. 그녀의 프로그램은 데이비드 윌슨이 안무했다. 캐나다 국내 대회에서는 CPA 소렐을 대표했다.

2. 2. 시니어 경력

파뇌프는 2004-2005 시즌부터 시니어 무대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참가했다. 2004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2위, 2004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첫 우승을 차지하며, 조애니 로셰트와 함께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는 1995-1996 시즌의 조제 슈이나르 이후 처음으로 GP 파이널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10] 그러나 GP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 부진으로 6위에 머물렀다.[10]

2005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2위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발되었으나, 2005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 모두 부진하여 20위에 그쳤다.[10]

2005-2006 시즌은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출전이 걸린 중요한 시기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며 올림픽 출전 기회를 놓쳤다.

2007-2008 시즌, 3년 만에 그랑프리 시리즈에 복귀한 파뇌프는 2007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10위를 기록했지만,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2009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2위를 차지하며 4시즌 만에 200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획득했다.

2009-2010 시즌, 파뇌프는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2년 연속 2위를 기록하며 생애 첫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 조애니 로셰트가 불참한 201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 최고 성적인 5위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2010-2011 시즌, 파뇌프는 그랑프리 시리즈 두 대회에서 모두 4위를 기록했다. 2011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7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며 국내 챔피언 자리에 복귀했으나, 201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13위에 그치며 이전 대회보다 순위가 하락했다.

2011-2012 시즌, 파뇌프는 코치를 브라이언 오서로 변경했다.[10] 2012년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아멜리 라코스테에게 패하며 2연패 달성에 실패했다. 2012년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라코스테에게 0.18점 차로 뒤지며 4년 만에 2012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놓쳤다. 이 시즌 동안 파뇌프는 점프 불안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국제 대회에서 트리플 럿츠 점프를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2012년 9월 26일, 파뇌프는 은퇴를 발표했다.[11] 은퇴 후에는 이자벨 브라소의 지도를 받으며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11]

신티아 파뇌프 선수 경력 요약
대회2004-20052005-20062006-20072007-20082008-20092009-20102010-20112011-2012
올림픽12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2015513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157568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2432212
ISU 그랑프리 파이널6
스케이트 아메리카2
스케이트 캐나다1108747
NHK배769
에릭 봉파르 컵4
재팬 오픈2


3. 주요 대회 성적

GP영어: 그랑프리; JGP영어: 주니어 그랑프리

국제
종목2000-012001-022002-032003-042004-05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
올림픽12위
세계 선수권 대회20위15위5위13위
사대륙 선수권 대회2위15위7위5위8위
그랑프리 파이널6위
스케이트 캐나다1위10위8위7위4위7위
에릭 봉파르4위
NHK 트로피7위6위9위
스케이트 아메리카2위
네벨혼 트로피4위
국제: 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10위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7위
주니어 그랑프리 불가리아3위
주니어 그랑프리 캐나다3위
주니어 그랑프리 독일6위
주니어 그랑프리 일본5위5위
주니어 그랑프리 네덜란드1위
Mladost 트로피1위 J
트리글라브 트로피2위 N
국내
캐나다 선수권 대회6위 N2위 J7위1위2위4위3위2위2위1위2위
팀 이벤트
월드 팀 트로피2위 T
7위 P
3위 T
12위 P
재팬 오픈2위 T
3위 P
레벨: N. = 노비스; J. = 주니어
T: 팀 결과; P: 개인 결과. 팀 결과에 대해서만 메달 수여.
파뇌프는 부상으로 2005–06 시즌에 불참했다.


4. 개인사

신티아 파뇌프는 루시(결혼 전 성은 보도인)와 배리 파뇌프(1966-2001)의 딸이다. 그녀에게는 와이엇과 세바스티앵이라는 두 명의 형제가 있으며, 1997년에 사망한 세드릭과 1998년에 사망한 페넬로피라는 두 명의 형제를 잃었다. 파뇌프는 맥심 탈보와 같은 마사지 치료사를 공유했던 몬트리올에서 그를 만나 2012년에 데이트를 시작했다. 스케이트 선수 은퇴 후, 파뇌프는 필라델피아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탈보는 NHL에서 뛰고 있었으며, 이자벨 브라쇠르의 스케이팅 학교에서 코칭을 시작했다. 2013년 10월 탈보가 콜로라도 애벌랜치로 트레이드된 후, 파뇌프는 그와 함께 콜로라도주 덴버로 이사했다.[1][2] 2013년, 필라델피아 플라이어스의 아이스하키 선수 막심 탈보와 임신[8], 2014년 2월 27일에 아들을 출산했다. 파뇌프와 탈보는 2014년 7월 11일에 결혼했다.[3][4] 2019년 기준으로 그들은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파뇌프는 캐나다 아이스하키 선수 디온 파뇌프의 4촌 사이다.[5]

5. 프로그램

신티아 파뇌프가 선수 시절 사용했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갈라
2010–2012
2008–2010
2006–2008
2004–2005
2002–2004
2001–2002


5. 1. 2010-2012 시즌

2010-2011 시즌, 신티아 파뇌프는 그랑프리 시리즈 두 대회에서 모두 4위를 기록했다.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는 7년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3위로 순위가 크게 하락하여, 다음 해 출전 쿼터 2장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10]

2011-2012 시즌에는 코치를 브라이언 오서로 변경했다.[10] 하지만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아멜리 라코스테에게 패하며 2연패에 실패했다.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도 라코스테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여, 4년 만에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 선발에서 탈락했다. 시즌 내내 점프가 불안정했고, 국제 대회에서 트리플 럿츠 점프를 한 번도 성공하지 못했다.

시즌쇼트 프로그램(SP)프리 스케이팅(FS)갈라 프로그램(EX)
2011-2012Spanish Guitar
Bordaco en oro
Afternoon at Satie's
곡: 제시 쿡
안무: 데이비드 윌슨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안무: 데이비드 윌슨
Je L'Aime A Mourir
보컬: 샤키라
2010-2011바라쿠다
곡: 하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작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안무: 데이비드 윌슨


5. 2. 2008-2010 시즌

작곡: 프레데리크 쇼팽
연주: 애런 로잔드
영화 『미션 클레오파트라』사운드트랙
작곡: 필립 샤니Sweet Dreams
보컬: 테레즈 몽칼름2008-2009녹턴 20번
작곡: 프레데리크 쇼팽
연주: 애런 로잔드
영화 『미션 클레오파트라』사운드트랙
작곡: 필립 샤니


5. 3. 2006-2008 시즌

2006-2007 시즌과 2007-2008 시즌, 신티아 파뇌프는 쇼트 프로그램 곡으로 빌리 프레스턴데니스 윌슨이 작곡하고 칼 휴고가 연주한 "You Are So Beautiful"을 사용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는 클로드 드뷔시가 작곡한 "달빛"을 사용했다.

2007-2008 시즌, 3시즌 만에 출전한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10위를 기록했지만,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하며 부활했다.

5. 4. 2004-2005 시즌

2004-2005 시즌부터 신시아 파뇌프는 시니어 클래스로 완전히 전환하여 ISU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했다. 첫 대회인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2위를, 스케이트 캐나다에서는 첫 우승을 차지하여, 같은 캐나다의 조애니 로셰트와 함께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서는 1995-1996 시즌의 조제 슈이나르 이후 처음으로 GP 파이널에 진출했다. GP 파이널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부진하여 6위에 머물렀다. 2연패를 노렸던 2005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는 2위를 차지했지만, 처음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발되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모두 부진하여 20위로 마쳤다.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갈라
2004–05


5. 5. 2002-2004 시즌



2003-2004 시즌,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2위를 기록했지만,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로는 선발되지 않았다.

5. 6. 2001-2002 시즌

존 윌리엄스의 영화 사브리나 테마곡에 맞춰 쇼트 프로그램을 연기했다. 프리스케이팅에서는 Ottmar Liebert의 Heart Still Beating, Gypsy Kings의 Vamos a Bailar, Robi Rosa, Luis Gomez Escolar의 Casi un Bolero 곡들을 사용했다.

4살 때 스케이트를 시작한 파뇌프는 이 시즌부터 주니어 클래스로 옮겨 ISU 주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했다. 첫 대회인 JGP 헤이그에서 우승했고, JGPSBC컵에서는 5위를 기록했지만, 캐나다 여자 싱글 선수로서는 두 번째로 JGP 파이널에 진출하여 7위를 기록했다.

참조

[1] 트윗 On my way to Denver, Colorado. Can't wait to be there and start this new chapter! 2013-11-15
[2] 뉴스 Avalanche, Flyers trade forwards Steve Downie, Max Talbot http://www.cbc.ca/sp[...] 2013-10-31
[3] 트윗 Losing a tooth the morning of your wedding... #stillagreatday! #bestwifeever 2014-07-11
[4] 뉴스 Avalanche, Flyers trade forwards Steve Downie, Max Talbot http://www.cbc.ca/sp[...] CBC News 2013-10-31
[5] 웹사이트 Phaneuf's plans go awry http://slam.canoe.ca[...] Canoe.ca 2012-01-20
[6] 웹사이트 http://www.olympic.c[...]
[7] 서적 オール・アバウトフィギュアスケート ぴあ(ぴあワンダーランドSpecial) 2005-11
[8] 웹사이트 Cain's 'Ave Maria' free skate wins day at Liberty http://web.icenetwor[...]
[9] 웹사이트 The Inside Edge: Programs with vocals on the way http://www.icenetwor[...]
[10] 웹사이트 PHANEUF HOPES TO REDISCOVER LOVE OF SKATING WITH ORSER http://www.tsn.ca/fi[...]
[11] 웹사이트 Phaneuf: 'I've done everything I wanted to' http://web.icenetw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