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호초등학교는 1944년 명지공립국민학교 신호분교로 개교하여, 1950년 신호국민학교로 개칭되었다. 1996년 현재의 신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해 있다. 동백꽃을 교화로, 소나무를 교목으로 하며, 학교 캐릭터는 '고둥이와 꾀순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강서구의 초등학교 - 천가초등학교
1931년 개교한 천가초등학교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과 분교장 편입, 2000년대 이후 분교장 통폐합 및 시설 확충, 오케스트라 창단 등을 거치며 교육 환경 개선과 학생들의 예술 교육에 힘쓰고 있으며, 가덕도 척화비가 교내에 위치하고 다양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 부산 강서구의 초등학교 - 오션초등학교
오션초등학교는 2016년 3월 1일에 개교하여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다양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도서관, 컴퓨터실 등의 시설을 갖춘 학교이며, 입학식, 운동회 등의 주요 행사를 개최하고 다양한 분야의 인물을 배출했다. - 1928년 개교 - 한성고등학교
한성고등학교는 1928년 경성실업전수학교로 설립되어 한성상업학교, 한성중학교를 거쳐 1951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41년 준공된 본관 건물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 1928년 개교 - 공주여자고등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는 1928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공립 여자 고등학교로, 1952년 3년제 고등학교로 개편, 공주여자중학교와 분리되었으며, 현재는 현대화된 교육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구덕초등학교
구덕초등학교는 1967년 3월 9일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 남항초등학교
남항초등학교는 1939년 남항공립심상소학교로 개교하여 광복 후 남항공립국민학교를 거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지속적인 교육 시설 현대화와 프로그램 다양화를 통해 발전해 온 공립 초등학교이다.
신호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호초등학교 |
한자 표기 | 信護初等學敎 |
개교 | 1941년 6월 10일 |
설립 형태 | 공립 |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산단2로75번길 12 |
학생 수 | 569명 (2015년 4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43명 (2015년 4월 1일 기준) |
관할 관청 | 부산광역시북부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신호초등학교 웹사이트 |
2. 학교 연혁
1928년 3월 1일 사설신호학당이 개설되었다. 1936년 3월 1일 신호사설학습강습소로 개칭되었다. 1941년 6월 10일 명지국민학교 부설간이학교 설립이 인가되었고, 1944년 4월 1일 '''명지공립국민학교 신호분교'''로 개교하였다. 1950년 2월 17일 '''신호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설립인가 1월 22일)(3학급)
1986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인가(1학급)를 받았다. 1989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 신호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
2003년 8월 18일 현재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2015년 2월 24일 학교 증축공사를 완료하여 일반교실 18실, 특별교실 3실 등을 확보하였다.
2020년 5월 11일 운동장 스탠드에 차양막을 설치하였다. 2021년 2월 7일 1학년 교실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하였고, 2월 19일에는 부산형 블렌디드 교실 구축사업을 완료하였다. 같은 날 제72회 졸업식을 통해 103명이 졸업하여 총 1,72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1년 3월 1일에는 25학급(특수 1학급 포함)을 편성하여 전교생 573명이 재학 중이며, 말레이시아 페낭 충칭초등학교와 국제교류학습 협약을 체결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28년 ~ 1950년)
1928년 3월 1일 사설신호학당이 개설되었다. 1936년 3월 1일 신호사설학습강습소로 개칭되었다. 1941년 6월 10일 명지국민학교 부설간이학교 설립이 인가되었고, 1944년 4월 1일 '''명지공립국민학교 신호분교'''로 개교하였다. 1950년 2월 17일 '''신호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설립인가 1월 22일)(3학급)2. 2. 발전기 (1950년 ~ 1996년)
1950년 2월 17일 신호국민학교가 개교하였다(설립인가 1월 22일)(3학급). 1986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인가(1학급)를 받았다. 1989년 1월 1일 부산광역시로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 신호초등학교로 개칭하였다.2. 3. 현대화 및 국제화 (1996년 ~ 현재)
1996년 3월 1일 신호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3년 8월 18일 현재 위치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2015년 2월 24일 학교 증축공사를 완료하여 일반교실 18실, 특별교실 3실 등을 확보하였다.2020년 5월 11일 운동장 스탠드에 차양막을 설치하였다. 2021년 2월 7일 1학년 교실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하였고, 2월 19일에는 부산형 블렌디드 교실 구축사업을 완료하였다. 같은 날 제72회 졸업식을 통해 103명이 졸업하여 총 1,72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2021년 3월 1일에는 25학급(특수 1학급 포함)을 편성하여 전교생 573명이 재학 중이며, 말레이시아 페낭 충칭초등학교와 국제교류학습 협약을 체결하였다.
3. 학교 상징
- 교화는 동백꽃이다. 동백꽃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강인한 정신력을 함양시키고, 훌륭한 인재를 많이 배출해냄을 뜻한다. 늘 푸름을 자랑하고 광택이 있으며 겨울을 상징하는 꽃으로 한자로는 동백(冬柏), 산다화(山茶花)라고 부른다. 동백 나무는 다른 식물들이 활동하지 않는 겨울에 타는 듯한 붉은 빛의 꽃을 피우다가 봄이 되어 다른 꽃들이 피기 시작하면 꽃이 지기 시작한다.
- 교목은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비바람·눈보라의 역경 속에서 푸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뜻한다. 상록교목으로 높이 20∼30m, 지름 1∼2m에 달하며 수피(樹皮)는 흑갈색이고 동아(冬芽)는 은백색이며 길이 12∼18mm이고 잎은 짙은 녹색이며 길이 9∼14cm, 너비 1.5mm로서 약간 비틀리고 끝이 뾰족하며 아린(芽鱗)은 회백색으로 2-3년 동안 남아있다.
- 학교 캐릭터는 '고둥이와 꾀순이'이다. 신호갯벌에 서식하는 생물 중 게와 고동을 의인화하였다.
4. 학교 동문
신호초등학교 출신 동문들은 사회 각 분야에서 활동하며 학교의 명예를 드높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분류:신호초등학교 동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