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부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대부분 김해군에서 편입되어 김해시와 역사적 기반을 공유하며, 낙동강 하구에 위치하여 삼각주 지형이 발달했다. 9개의 행정동과 22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김해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어업, 제조업이 있으며,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이 위치해 있다. 문화 시설로는 가덕도 연대봉, 맥도생태공원 등이 있으며, 대저토마토축제, 강서낙동강갈대꽃축제 등의 축제가 열린다. 교통으로는 김해국제공항,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남해고속도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강서구의 행정 구역 - 대저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은 과거 양산군에서 김해군 대저면으로 통합, 부산직할시 북구를 거쳐 현재 강서구에 속하며 김해국제공항과 다양한 공원이 위치한 교통 및 생태의 요충지이다. - 부산 강서구의 행정 구역 - 강동동 (부산)
강동동은 부산광역시의 법정동으로, 낙동강 삼각주에 속하며, 조선시대에는 김해군 덕도면이었고, 1978년 부산직할시에 편입되면서 법정동으로 신설되었다. - 부산 강서구 - 대항항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에 위치한 대항항은 전통 어로법인 '육수장망 숭어들이' 시연 축제가 열리는 어항이며, 특정 해역은 해양 레저 활동 허가 구역으로 지정되어 창원해양경찰서장의 허가가 필요하다. - 부산 강서구 - 천성항
천성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위치한 지방어항이며, 1992년 지정되었고, 인근 해역은 해양 레저 활동 허가 구역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강서구 (부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서구 |
한자 표기 | 江西區 |
로마자 표기 | Gangseo-gu |
맥큔-라이샤워 표기 | Kangsŏ-gu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소속 광역시 | 부산광역시 |
지역 | 영남 지방 |
행정 구역 | 8개의 행정동, 22개의 법정동 |
인구 | |
총 인구 | 142,902명 (2024년) |
총 세대수 | 61,502세대 (2021년) |
방언 | 경상도 방언 |
정치 | |
구청장 | 김형찬 (국민의힘) |
국회의원 | 김도읍 (국민의힘, 강서구) |
지리 | |
총 면적 | 181.05km² |
상징 | |
구목 | 팽나무 |
구화 | 배꽃 |
구조 | 청둥오리 |
기타 | |
웹사이트 | 강서구청 |
![]() | |
![]() | |
![]() | |
![]() |
2. 역사
강서구는 대부분 경상남도 김해군에서 부산시로 편입되었기 때문에 김해시와 역사적 기반을 공유한다. 다만, 대저동은 조선 시대에 양산군에 속해있다가 1906년에 김해군으로 편입되었고, 가덕도동은 웅천군(기존 진해시인 진해구) , 창원군, 의창군을 거쳐 1989년 강서구에 편입되었다.
- 42년: 변한 12국 중 하나인 '''구야국'''(狗邪國)에서 9간이 수로왕을 받들어 '''가락국'''(금관가야)이 건국되었다.
- 532년(신라 법흥왕 19년): 가락국 10대 왕인 구형왕이 신라에 항복하여 '''금관군'''이 되었다.
- 630년(신라 문무왕 20년): 금관소경
- 756년(신라 경덕왕 15년): 김해소경
- 940년(고려 태조 23년): 김해부
- 1413년(조선 태종 3년): 김해도호부
- 1896년(조선 고종 33년): 김해군
- 1898년(광무 2년): 김해군 녹산면, 명지면
- 1899년(광무 3년): 가락면과 덕도면 신설.
- 1906년: 양산군 대상면(현 대저1동)과 대하면(대저2동)이 김해군에 편입되면서 대저면으로 통합되었다.
- 1914년 4월 1일: 덕도면이 가락면에 편입되었다.
- 1973년 7월 1일: 대저면이 대저읍으로 승격하였다.[5]
- 1978년 2월 15일: 김해군 대저읍, 명지면과 가락면 동부(옛 덕도면 지역) 등 낙동강 삼각주가 부산직할시 북구에 편입되었다.[6]
- 1983년 5월 1일: 시 직할 강서출장소 설치.
- 1983년 12월 15일: 대저2동의 을숙도, 일웅도가 사하구에 편입되었다.[7]
- 1989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북구 일부(낙동강 삼각주)와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가락면, 의창군 천가면(가덕도)을 관할로 '''강서구'''가 신설되었다.[8] 천가동에는 구청 직할의 천가출장소가 설치되었다.[8]
-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강서구[9]
- 1995년 3월 1일: 경상남도 진해시 용원동의 일부(0.95 km2)가 송정동에 편입되었다.
- 2000년 2월 25일: 부산경남경마공원 건설에 관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사이의 합의로 범방동의 일부(1.03 km2)가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으로 이관되고, 김해시 장유면 수가리의 같은 면적이 범방동에 편입되었다.
- 2004년 3월 30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하였다.
- 2007년 3월 2일: 행정구역 경계정비로 경상남도 진해시 용원동의 일부가 송정동에 편입되었다.
- 2008년 6월 21일: 하천 구역의 경계를 정비하면서 강서구의 낙동강 월경지 일부가 북구와 사상구에 편입되었다.
- 2015년 1월 30일: 천가동의 동이름이 가덕도동으로 변경되었다.
- 2018년 1월 1일: 명지동이 명지1동과 명지2동으로 분동하였다.
- 2025년 1월 1일: 녹산동이 녹산동, 신호동으로 분동 예정이다.
3. 지리
낙동강 하구 지역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으며, 낙동강이 운반하는 토사량이 많으며 경사가 완만하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어 운반물질의 퇴적으로 인한 삼각주 지형이 발달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10]
낙동강 하구는 1만 년 전에는 지금보다 북쪽인 김해시 대동면과 북구 금곡동 사이까지 바닷물이 들어오는 거대한 만입(灣入)이었으나, 해수준면의 상승에 따라 완신세의 두꺼운 충적층으로 매립된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강서구의 대저동, 강동동, 명지동은 낙동강 삼각주에 위치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대저도, 대사도, 덕도, 제도, 맥도, 둔치도, 명지도 등이 있었다. 이런 낙동강의 하중도(河中島)들은 1934년 대저제방이 축조된 뒤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10]
김해평야와 그 서쪽 녹산동의 산지와 가덕도 등 도서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11] 가덕도에는 자생하는 동백군락지가 있고, 동양에서 손꼽히는 철새도래지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다.[11]
낙동강과 서낙동강 사이의 삼각주와 서낙동강 서안(西岸)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역 서부 해상에는 가덕도가 있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상구, 북구와, 서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김해시와 인접해 있다. 또한, 가덕도에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남서쪽으로 경상남도 거제시가 있으며, 2010년 개통된 거가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강서구는 대한민국 동남단에 위치하여 남해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편으로, 연평균 기온은 14~15℃, 연평균 강수량은 1,700~1,800mm, 연평균 풍속은 4~5m/sec이다. 여름에는 남남서풍,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조수간만의 차이는 비교적 적은 편으로 평균 조차는 1.4m이다. 고극조위 2.8m, 저극조위 0.85m로 그 차는 약 2m에 달하며, 이때 발생하는 조류의 에너지와 조량이 삼각주의 사주에 영향을 주어 하천을 통해 운반되는 물질의 이동과 퇴적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의 차이가 적고 강수량도 충분하며, 여름철에는 해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고 겨울철에는 바다와 북쪽 산악의 영향으로 기온이 비교적 높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바람이 강하고 건조하여 산간 지역과 도서 지역에 산불 발생 위험이 높고 해안과 해상 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3. 1. 지형
낙동강 하구 지역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으며, 낙동강이 운반하는 토사량이 많으며 경사가 완만하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적어 운반물질의 퇴적으로 인한 삼각주 지형이 발달하기에 알맞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다.[10]낙동강 하구는 1만 년 전에는 지금보다 북쪽인 김해시 대동면과 북구 금곡동 사이까지 바닷물이 들어오는 거대한 만입(灣入)이었으나, 해수준면의 상승에 따라 완신세의 두꺼운 충적층으로 매립된 삼각주가 형성되었다. 강서구의 대저동, 강동동, 명지동은 낙동강 삼각주에 위치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대저도, 대사도, 덕도, 제도, 맥도, 둔치도, 명지도 등이 있었다. 이런 낙동강의 하중도(河中島)들은 1934년 대저제방이 축조된 뒤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10]
김해평야와 그 서쪽 녹산동의 산지와 가덕도 등 도서 지역으로 형성되어 있다.[11] 가덕도에는 자생하는 동백군락지가 있고, 동양에서 손꼽히는 철새도래지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다.[11]
낙동강과 서낙동강 사이의 삼각주와 서낙동강 서안(西岸)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역 서부 해상에는 가덕도가 있다.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상구, 북구와, 서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김해시와 인접해 있다. 또한, 가덕도에서 바다를 사이에 두고 남서쪽으로 경상남도 거제시가 있으며, 2010년 개통된 거가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3. 2. 기후
강서구는 대한민국 동남단에 위치하여 남해의 영향을 받는 지역이다.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편으로, 연평균 기온은 14~15℃, 연평균 강수량은 1,700~1,800mm, 연평균 풍속은 4~5m/sec이다. 여름에는 남남서풍,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을 받는다.조수간만의 차이는 비교적 적은 편으로 평균 조차는 1.4m이다. 고극조위 2.8m, 저극조위 0.85m로 그 차는 약 2m에 달하며, 이때 발생하는 조류의 에너지와 조량이 삼각주의 사주에 영향을 주어 하천을 통해 운반되는 물질의 이동과 퇴적에 영향을 미친다.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의 차이가 적고 강수량도 충분하며, 여름철에는 해풍의 영향으로 기온이 낮고 겨울철에는 바다와 북쪽 산악의 영향으로 기온이 비교적 높다. 그러나 겨울철에는 바람이 강하고 건조하여 산간 지역과 도서 지역에 산불 발생 위험이 높고 해안과 해상 활동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4. 행정
wikitext
thumb
강서구의 행정 구역은 9개 행정동(22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2] 면적은 181.5 km2로 부산광역시의 23.6%를 차지하며,[12] 2023년 5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20,600명, 세대는 54,507 가구이다.[13]
행정동 | 한자 | 면적[14] (km2) | 인구 | 세대 |
---|---|---|---|---|
대저1동 | 大渚1洞 | 17.73 | 5,090 | 3,800 |
대저2동 | 大渚2洞 | 29.26 | 5,776 | 3,558 |
강동동 | 江東洞 | 18.49 | 3,886 | 2,361 |
명지1동 | 鳴旨1洞 | 12.4 | 35,465 | 16,113 |
명지2동 | 鳴旨2洞 | 3.25 | 29,102 | 10,027 |
가락동 | 駕洛洞 | 18.95 | 2,501 | 1,399 |
녹산동 | 菉山洞 | 52.78 | - | - |
가덕도동 | 加德島洞 | 24.56 | 3,009 | 2,177 |
신호동 | 新湖洞 | 4.08 | - | - |
강서구 | 江西區 | 181.5 | 120,600 | 54,507 |
법정동은 가락동(죽림동, 식만동, 죽동동, 봉림동), 녹산동(송정동, 화전동, 녹산동, 생곡동, 구랑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신호동), 가덕도동(동선동, 성북동, 눌차동, 천성동, 대항동) 등 22개로 구성된다.
강서구는 명지동과 녹산동(특히, 신호동)의 해안가를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2008년 12월부터 명지동, 2013년 12월부터 녹산동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3] 반면, 구의 원도심인 대저1동과 대저2동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13]
1985년 51,095명[15], 1990년 79,257명, 1995년 66,542명, 2000년 53,590명, 2005년 45,726명, 2010년 52,207명, 2015년 92,628명, 2020년 133,354명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인구가 감소했으나, 2010년 이후 명지국제신도시, 신호지구 등 개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5월 기준 약 12만 명이다.
연도 | 총인구 |
---|---|
1985년 | 51,095명[15] |
1990년 | 79,257명 |
1995년 | 66,542명 |
2000년 | 53,590명 |
2005년 | 45,726명 |
2010년 | 52,207명 |
2015년 | 92,628명 |
2020년 | 133,354명 |
행정동은 9개 동, 법정동은 22개 동이며, 구청은 구의 북쪽 끝부분인 대저동에 위치한다. 구청장은 강인길(강인길한국어)이다.
행정동 | 법정동 |
---|---|
대저1동 | 대저1동 |
대저2동 | 대저2동 |
강동동 | 강동동 |
명지1동 | 명지동 |
명지2동 | |
가락동 | 죽림동, 식만동, 죽동동, 봉림동 |
녹산동 | 송정동, 화전동, 녹산동, 생곡동, 구랑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
가덕도동 | 동선동, 성북동, 눌차동, 천성동, 대항동 |
신호동 | 신호동 |
4. 1. 행정 구역
강서구의 행정 구역은 9개 행정동(22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2] 면적은 181.5 km2로 부산광역시의 23.6%를 차지하며,[12] 2023년 5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20,600명, 세대는 54,507 가구이다.[13]행정동 | 한자 | 면적[14] (km2) | 인구 | 세대 |
---|---|---|---|---|
대저1동 | 大渚1洞 | 17.73 | 5,090 | 3,800 |
대저2동 | 大渚2洞 | 29.26 | 5,776 | 3,558 |
강동동 | 江東洞 | 18.49 | 3,886 | 2,361 |
명지1동 | 鳴旨1洞 | 12.4 | 35,465 | 16,113 |
명지2동 | 鳴旨2洞 | 3.25 | 29,102 | 10,027 |
가락동 | 駕洛洞 | 18.95 | 2,501 | 1,399 |
녹산동 | 菉山洞 | 52.78 | - | - |
가덕도동 | 加德島洞 | 24.56 | 3,009 | 2,177 |
신호동 | 新湖洞 | 4.08 | - | - |
강서구 | 江西區 | 181.5 | 120,600 | 54,507 |
강서구는 명지동과 녹산동(특히, 신호동)의 해안가를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2008년 12월부터 명지동, 2013년 12월부터 녹산동의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13] 반면, 구의 원도심인 대저1동과 대저2동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13]
법정동은 가락동(죽림동, 식만동, 죽동동, 봉림동), 녹산동(송정동, 화전동, 녹산동, 생곡동, 구랑동, 지사동, 미음동, 범방동, 신호동), 가덕도동(동선동, 성북동, 눌차동, 천성동, 대항동) 등 22개로 구성된다.
4. 2. 인구
1985년 51,095명[15], 1990년 79,257명, 1995년 66,542명, 2000년 53,590명, 2005년 45,726명, 2010년 52,207명, 2015년 92,628명, 2020년 133,354명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인구가 감소했으나, 2010년 이후 명지국제신도시, 신호지구 등 개발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 5월 기준 약 12만 명이다.연도 | 총인구 |
---|---|
1985년 | 51,095명[15] |
1990년 | 79,257명 |
1995년 | 66,542명 |
2000년 | 53,590명 |
2005년 | 45,726명 |
2010년 | 52,207명 |
2015년 | 92,628명 |
2020년 | 133,354명 |
5. 산업
비옥하고 넓은 평야 지역에는 대저, 강동, 가락 화훼단지, 강동 깻잎, 명지 대파, 대저 토마토, 범방미나리, 가락황금쌀 등 우수한 특산물이 생산되고 있고, 민물과 바닷물이 교차하는 낙동강 하구지역에는 굴, 김, 파래 양식이 이뤄지고 있으며, 가덕도 숭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생산되고 있다.[16]
구의 남부(녹산동 신호동)에는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인 르노코리아자동차(구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이 있지만, 구청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구 인구의 53%가 농어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면적의 약 60%(106km2)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강서구에는 국가어항인 천성항이 있다. 지방어항으로는 대항항, 눌차항이 있으며, 어촌정주어항으로는 순아항, 신호항, 대항새바지항이 있다.
5. 1. 어항
강서구에는 국가어항인 천성항이 있다. 지방어항으로는 대항항, 눌차항이 있으며, 어촌정주어항으로는 순아항, 신호항, 대항새바지항이 있다.6. 경제
강서구에는 1개의 국가산업단지(녹산)와 4개의 일반산업단지(부산과학, 화전, 미음 등)가 조성되어 있다. 녹산산업단지는 조립금속, 정밀기계, 석유화학, 섬유의복 기업이 입주해 있다. 르노코리아는 부산 공장에서 중형 SUV인 QM6와 컴팩트 쿠페형 준중형급 SUV인 XM3(아르카나) 등을 생산하고 있다.
구의 남부(녹산동, 신호동)에는 르노코리아자동차 부산공장이 있다.
7. 문화·관광
7. 1. 자연

'''가덕도 연대봉'''은 가덕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다. 연태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신마을'''은 강서구 명지동에 위치하며, 중신마을 옆에 있는 마을로, 청둥오리 서식지로 유명하다.
낙동강 제방도로는 드라이브 코스로 인기가 높다.
'''맥도생태공원'''은 습지 생태 관찰 및 휴식 공간으로 조성되어 있다.
대항어촌체험마을에서는 어촌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7. 2. 문화재
명월사지, 흥국사 등 사찰 유적과 용적사 독성도(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9호), 청량사 석가모니후불탱(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4호) 등 불교 문화재가 있다. 망산도 유주암(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57호), 범방3층석탑(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23호), 눌차왜성(부산시 강서구 지정문화재 기념물), 천성진성(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34호), 가덕도 척화비(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35호) 등 다양한 시대의 유적이 분포한다.생곡 가달고분군(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43호), 범방패총(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44호), 김해 죽도왜성(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47호), 가덕도등대(부산시 지정문화재 기념물 제50호)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적들이 있다. 가덕도 연대산 봉수대, 녹산 성화예산 봉수대, 가덕진성, 금단곶보성지, 가덕도 왜성지성, 가덕도 성북왜성, 녹산장락패총, 가덕도 두문지석묘, 녹산 수참왜관, 생곡 형제 순교자 묘, 이순신 장군 전적비, 가덕도 대항 인공 동굴 등이 있다.
명월사 사왕석(明月寺 蛇王石), 명월사지 허황후 유허비, 명월사 사적비(明月寺 事蹟碑), 경상감사 김상휴 영세불망비, 경상감사 홍재철 영세불망비, 가락 대부교비(大夫橋碑), 가락부사 류덕옥 애민선정비(府使 柳德玉 愛民善政碑), 가덕도 절제사 오후 신묵 영세불망비, 가덕도 절제사 이후 우성 영세불망비, 가덕도 절제사 이후 두용 영세불망비, 경주최씨 정열각, 가락 효자 김석숭 정려비, 녹산 효자 어경덕 지려, 녹산 열부 정부인 성씨 정려비, 남강 조정환 구국기적비, 가덕도 국군 23용사 충혼비, 가락동 6.25 전몰장병 충혼탑 등이 있다.
독립유공자 조정환 흉상, 독립유공자 이수강 흉상, 독립유공자 김근도 흉상과 금수현 작곡 '그네' 노래비, 배재황 시비- 오막살이, 이은상 시비- 낙동강, 이은상 시비- 고향길, 조지훈 시비- 완화삼과 박목월 시비-나그네, 이주홍 시비- 엄마의 품, 칠점산 표석비 등 근현대 인물 관련 기념물이 있다.
7. 3. 축제 및 행사
대저토마토축제는 매년 4월에 열린다. 가덕도숭어축제는 매년 4월에, 명지시장 전어축제는 매년 8월 말에, 강서낙동강갈대꽃축제는 매년 10월에 열린다.7. 4. 유원지
부산경남경마공원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마, 승마 체험, 가족 공원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명지오션시티는 명지동에 위치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퀸덤아파트, 극동스타클래스, 롯데캐슬아파트와 호산나교회 등이 있다. 강서체육공원은 다양한 체육 시설과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서낙동강조정카누경기장은 조정, 카누 경기장과 체험 시설을 갖추고 있다.7. 5. 강서팔경
해강일점 노적봉, 동백군락 아동도, 죽도모연 오봉산, 삼십리방 낙동제, 성화례향 봉화산, 포효무제 연대봉, 명사낙안 진우도, 명월만산 보개산 등이 강서구의 강서팔경이다.8. 교통
남부 지방의 대표적인 관문인 김해국제공항이 강서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 제주 등의 국내 도시와 도쿄, 상하이 등의 외국 도시로 연결된다.
김해국제공항은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을 운항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김해 경전철로 연결된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강서구청역, 체육공원역, 대저역을 지난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서부산유통지구역, 공항역, 덕두역, 등구역, 대저역, 평강역, 대사역을 지난다. 부산신항선(화물선)은 부산신항역, 북철송장역, 남철송장역을 지난다.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중앙고속도로가 관통한다.
거가대교 개통으로 거제시와 연결되었다.
8. 1. 항공
김해국제공항은 국내선 및 국제선 항공편을 운항하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김해 경전철로 연결된다.
8. 2. 철도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강서구청역, 체육공원역, 대저역을 지난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서부산유통지구역, 김해국제공항역, 덕두역, 등구역, 대저역, 평강역,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지난다. 부산신항선(화물선)은 부산신항역, 북철송장역, 남철송장역을 지난다.8. 3. 도로
9. 교육 기관
FAU대학교 부산캠퍼스가 있다.
고등학교는 부산대저고등학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 덕문고등학교, 경일고등학교, 명호고등학교, 부산강서고등학교 등이 있다.
중학교는 가락중학교, 경일중학교, 낙동중학교, 녹산중학교, 대저중학교, 덕문중학교, 명지중학교, 명호중학교, 신호중학교, 지사중학교, 오션중학교 등이 있다.
초등학교는 가락초등학교, 남명초등학교, 녹명초등학교, 녹산초등학교, 대사초등학교, 대상초등학교, 대저초등학교, 덕두초등학교, 명일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명호초등학교, 배영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신명초등학교, 신호초등학교, 오션초등학교, 천가초등학교 등이 있다.
특수학교는 부산한솔학교, 부산혜원학교가 있다.
10. 출신 인물
11. 자매 도시
12. 역대 구청장
역대 강서구청장 목록은 부산 강서구청장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날짜가 2024로만 기재되어 있어 1월 1일로 설정했습니다.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음.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간행물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6]
간행물
법률 제3014호 구미시설치및부산시·경상남도간관할구역조정에관한법률
1977-12-19
[7]
간행물
대통령령 제12248호
[8]
간행물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강서구설치및시·도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9]
간행물
법률 제4789호
1994-12-20
[10]
웹사이트
강서구의 지형
http://www.bsgangseo[...]
2013-06-07
[11]
서적
2012년 강서구 통계연보
(출판사 정보 부족)
[12]
웹사이트
구정기본현황
http://www.bsgangseo[...]
2015-06-13
[1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2020-06-18
[14]
웹사이트
구정 기본 현황
http://www.bsgangseo[...]
2018-02-14
[15]
기타
[16]
서적
2012년 통계연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