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원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원천체는 태양계와 개개의 별들을 제외한, 밤하늘에서 관측되는 천체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망원경의 발달과 함께 심원천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774년 샤를 메시에가 작성한 메시에 목록은 초기 연구의 중요한 결과 중 하나이다. "심원천체"라는 용어는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유래되었으며, 관측에는 쌍안경부터 대형 망원경까지 다양한 장비가 사용된다. 관측자들은 광공해를 줄이기 위해 성운 필터를 사용하며, 메시에 마라톤과 같은 활동을 통해 심원천체를 관측한다. 심원천체는 성단, 성운, 은하 등 다양한 유형의 천체들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마추어 천문학 - 전국밤하늘계속관찰
    전국밤하늘계속관찰은 밤하늘 관측 방법과 장소 정보를 제공하며, 육안, 쌍안경, 사진 촬영을 활용하여 여름철과 겨울철 관측 방법을 안내하고, 밤하늘 밝기를 수치화하여 별 관측에 적합한 장소를 선정한다.
  • 아마추어 천문학 - 천체사진술
    천체사진술은 천체의 사진을 촬영하는 기술로, 초기에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었으나 CCD 기술의 발달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어 천문학 연구 및 취미 활동에 널리 활용된다.
  • 천체 - 변광성
    변광성은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별을 의미하며, 내재적 변광성과 외재적 변광성으로 분류되고, 광도곡선을 통해 분석하며, 우주 거리 측정에도 활용된다.
  • 천체 - 백색왜성
    백색왜성은 중간 이하 질량의 항성이 핵융합 중단 후 남은 고밀도 천체로, 전자축퇴압으로 중력 붕괴를 막으며, 쌍성계에서 신성이나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고, 최종적으로 흑색왜성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심원천체
개요
종류항성 이외의 천체
관련 용어성운
성단
은하
퀘이사
블레이자
심원천체 목록 (일부)
성운M1 - 게 성운
M8 - 석호 성운
M16 - 독수리 성운
M17 - 오메가 성운
M20 - 삼렬 성운
M27 - 아령 성운
M42 - 오리온 성운
M57 - 고리 성운
NGC 2392 - 에스키모 성운
NGC 3132 - 남쪽 반지 성운
NGC 6543 - 고양이 눈 성운
NGC 7293 - 나선 성운
성단M13 - 헤르쿨레스자리 구상성단
M45 - 플레이아데스 성단 (좀생이별)
은하M31 - 안드로메다 은하
M33 - 삼각형자리 은하
M51 - 소용돌이 은하
M64 - 검은 눈 은하
M81 - 보데 은하
M82 - 시가 은하
M101 - 바람개비 은하
M104 - 솜브레로 은하
NGC 253 - 조각가자리 은하
기타NGC 5139 - 오메가 센타우리 (구상성단)
NGC 2070 - 타란툴라 성운

2. 용어의 기원과 분류

밤하늘에서 별이 아닌 천체를 찾고 분류하는 일은 망원경의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다.[18] 초창기 이러한 작업 결과 중 하나는 1774년에 샤를 메시에가 작성한 메시에 목록이다. 이 목록은 103개의 "성운"과 희미한 천체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샤를 메시에가 이 목록을 만든 이유는 자신이 찾고 있던 혜성과 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방해가 되는 천체들을 따로 모아 놓기 위해서였다.[19] 망원경이 발달하면서 그가 정리한 희미한 성운들은 성간운, 성단, 은하같은 보다 정확한 과학적인 용어들로 바뀌게 된다.

"심원천체"라는 단어 자체는 현대의 아마추어 천문학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가 정확히 언제부터 쓰이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스카이 앤드 텔레스코프" 잡지에 실렸던 "딥스카이의 신비"(Deep-Sky Wonders영어)라는 칼럼 덕에 널리 쓰이게 되었다.[20] 이 칼럼은 릴런드 코플런드(Leland S. Copeland)가 1941년에 처음 시작했으며, 그동안 주로 월터 스콧 휴스턴(Walter Scott Houston)이 담당하였고, 현재는 수 프렌치(Sue French)가 쓰고 있다. 휴스턴의 칼럼과 이를 묶어 낸 책 덕분에 이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되었는데,[21] 그는 이 칼럼에서 잘 알려졌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심원천체들이 있는 밤하늘의 일부분을 독자들에게 매달 하나씩 소개하곤 했다.

3. 관측 활동

심원천체 관측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 활동과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몇몇 밝은 천체들은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지만, 대부분의 어두운 심원천체들은 충분한 빛을 모으는 큰 구경의 망원경을 필요로 한다.[22]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천체들은 하늘에서 망원경으로 찾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돕소니안식 망원경처럼 넓은 시야와 큰 구경을 갖춘 망원경이 심원천체 관측에 선호되었고, 자동으로 천체의 위치를 찾아주는 망원경(GoTo 망원경)이 인기를 끌게 되었다.[23]

어두운 천체를 보기 위해서는 도시의 밝은 불빛이 방해가 되지 않는, 밤하늘이 어두운 지역에서 관측해야 하므로, 많은 아마추어 천문인들은 가볍고 움직이기 쉬운 망원경을 선호한다.[24] 이러한 광공해의 영향을 줄이고, 좀 더 나은 대비(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해 관측자들은 특정한 파장의 빛만 통과시키는 성운필터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UHC 필터와 O-III 필터가 있다.

아마추어 천문인들은 심원천체를 관측하는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그중 하나는 메시에 마라톤으로, 하룻밤 사이에 110개의 메시에 천체를 모두 찾아내는 것이다. 이 메시에 천체들은 18세기에 상대적으로 작은 망원경으로 발견된 것이기 때문에 현재에도 아마추어 천문인들의 망원경으로 쉽게 찾을 수 있다. 이보다 훨씬 어려운 것은 허셜 400 목록으로, 더 어둡고 많은 천체들을 보아야 하므로, 좀 더 큰 망원경과 많은 경험이 필요하다.

4. 심원천체 목록

심원천체의 정의가 태양계와 개개의 별들을 제외하므로, 심원천체 목록에는 다음과 같은 매우 다양한 천체들이 포함된다.[25]



심원천체에는 여러 가지 천체 유형이 있다. 태양계 천체나 개별 별이 아닌 천체라는 정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예시가 있다.[10]

참조

[1] 서적 40 Nights to Knowing the Sky: A Night-by-Night Sky-Watching Primer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Watson-Guptill Publications
[3] 서적 Blind Watchers of the Sky: The People and Ideas that Shaped Our View of the Univers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Sky and Telescope https://books.google[...] Sky Publishing Corporation
[5] 서적 40 Nights to Knowing the Sky: A Night-by-Night Sky-Watching Primer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6] 서적 The Deep-Sky Observer's Year: A Guide to Observing Deep-Sky Objects Throughout the Year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 서적 Observer's Handbook 2005 https://books.google[...] Royal Astronomical Soc of Canada 2004-09-01
[8] 서적 The Observer's Handbook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9] 서적 The Amateur Astronomer's Guide to the Deep-Sky Catalogs https://books.google[...] Springer New York 2011-01-01
[10] 서적 Concise Catalog of Deep-sky Objects: Astrophysical Information for 500 Galaxies, Clusters and Nebula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 백과사전 Black hole
[12] 백과사전 Active glactic nucleus
[13] 백과사전 Nebula
[14] 백과사전 Galaxy
[15] 백과사전 Star cluster
[16] 서적 40 nights to knowing the sky: a night-by-night skywatching primer http://books.google.[...]
[17]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universe http://books.google.[...]
[18] 서적 Blind watchers of the sky http://books.google.[...]
[19] 서적 Blind watchers of the sky http://books.google.[...]
[20] 서적 Sky and telescope http://books.google.[...]
[21] 서적 40 nights to knowing the sky: a night-by-night skywatching primer http://books.google.[...]
[22] 서적 The deep-sky observer's year http://books.google.[...]
[23] 서적 Observer's Handbook 2005 http://books.google.[...]
[24] 서적 The Observer's Handbook Royal Astronomical Society of Canada
[25] 서적 Concise catalog of deep-sky objects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