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호작용은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호작용 은하는 중력적 상호작용을 겪고 있는 은하들을 지칭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은하의 형태 변화, 별 형성 촉진, 은하 병합 등의 다양한 현상을 유발한다. 은하 상호작용은 위성은하와의 상호작용, 은하 충돌, 은하 병합, 은하 학대 등 여러 유형으로 나타나며, 은하 충돌 시에는 스타버스트 현상이 발생하여 폭발적인 별 생성이 일어날 수 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 역시 약 45억 년 후 충돌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호작용은하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상호작용은하 - 생쥐 은하
  • 천문학에 관한 - 자외선
    자외선은 요한 빌헬름 리터가 발견한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인체에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오존층 감소로 인해 자외선 지수가 증가하여 주의가 요구된다.
  • 천문학에 관한 - 적외선
    적외선은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된 780 nm에서 1 mm 파장 범위의 전자기파로,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으로 나뉘며 군사, 의료, 산업, 과학,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단층
    단층은 지각 변동으로 암석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전단력에 의해 형성되며, 지진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다양한 자연재해와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ESR, OSL 연대측정법 등으로 연구된다.
  • 과학 및 자연에 관한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상호작용은하
개요
상호작용 은하 NGC 520
상호작용 은하 NGC 520의 모습
설명두 은하의 중력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형태가 왜곡된 은하를 말함.
특징
형태 변화꼬리
다리
고리 구조 등이 나타날 수 있음.
별 생성률증가된 별 생성률을 보이기도 함.
합병최종적으로 하나의 은하로 합병될 수 있음.
타원 은하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
예시
안테나 은하 (NGC 4038/NGC 4039)충돌하는 은하의 대표적인 예
수레바퀴 은하고리 모양 구조를 가진 은하
NGC 520합병 과정에 있는 은하
M81과 M82중력적 상호작용을 하는 은하 쌍
연구
중요성은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함.
관측 방법전파 망원경, 허블 우주 망원경 등을 통해 관측됨.

2. 은하 상호작용의 유형

은하 상호작용은 크게 위성은하와의 상호작용, 은하 충돌, 은하 병합(은하 잡아먹기), 은하 학대로 나눌 수 있다.

이름형태거리
(백만 광년)
등급설명
우리은하와 LMCSMCSBc/SB(s)m/SB(s)m pec0style="text-align:right;" |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소용돌이 은하 (M51)SAc (SB0-a)37+8.4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NGC 2207과 IC 2163SAc/SAbc114+11은하 충돌의 첫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생쥐 은하 (IC 819/20)S0/SB(s)ab300+13.5은하 충돌의 두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NGC 1097SB(s)bc (E6)45+9.5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더듬이 은하 (NGC 4038/9)SAc/SBm45+10.3은하 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NGC 520S100+11.3은하 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2. 1. 위성은하와의 상호작용

거대 은하는 주변의 위성 은하와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위성은하의 중력은 주 은하의 나선 팔을 끌어당기거나,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처럼 위성은하 자체가 주 은하로 흡수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약간의 별 형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별 무리는 별로 인식되기 전에는 때때로 "푸른 덩어리"라고 불렸다.[1]

은하 충돌 애니메이션


천문 관측 초창기부터 알려진 M51에서는 동반 은하의 중력으로 나선 팔이 끌려가는 현상이 관측된다. 스테판의 5중주에서는 4개의 은하에서 조석 작용으로 늘어난 은하성운 꼬리가 연결된 모습이 관측된다.

2. 2. 은하 충돌

은하 충돌은 은하 진화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은하 내부의 물질 분포는 매우 듬성듬성하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충돌이 아니라 중력 상호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3]

충돌하는 두 은하의 운동량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운동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두 은하는 병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들은 서로에게 끌려가 여러 번 관통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결국 하나의 은하로 합쳐진다. 만약 충돌하는 은하 중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훨씬 크다면, 큰 은하는 병합 후에도 거의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는 반면, 작은 은하는 뜯겨져 나가 큰 은하의 일부가 된다. 반면, 두 은하가 서로 관통하는 경우에는 병합만큼 큰 형태 변화가 일어나지 않고, 대체로 원래의 물질과 모양을 유지한다.[4] 한쪽의 질량이 작고 매우 큰 경우, 회전하는 큰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이 일단 중심부로 끌려갔다가 반대 방향으로 튀어나오려 하지만, 이후 중심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어 고리 모양이 될 수 있다. 바퀴 은하를 비롯하여 새롭게 관측된 고리 모양 은하에서도 그러한 형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24]

오늘날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은하 충돌을 자주 시뮬레이션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는 중력, 가스 소산 현상, 별 형성과 피드백 등 현실적인 물리 원리가 적용된다. 역학적 마찰은 은하 쌍의 상대적 운동을 늦추며, 초기 상대 궤도 에너지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 병합이 일어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된 은하 충돌 라이브러리는 파리 천문대 웹사이트 GALMER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생쥐 은하

2. 3. 은하 병합 (Galactic Cannibalism)

은하 병합(galactic cannibalism)은 거대한 은하가 동반 은하와 조석에 의한 중력 상호작용을 통해 동반 은하를 흡수하여, 더 크고 흔히 불규칙한 은하를 만드는 현상이다.[15][16]

둘 이상의 은하가 중력적으로 합쳐질 때 가장 흔하게 불규칙 은하가 만들어지지만, 타원은하가 생성될 수도 있다.

우리은하와 대마젤란 은하소마젤란 은하 사이에서도 현재 은하 병합이 일어나고 있다. 왜소 은하에서 우리 은하로 활꼴을 그리며 중력에 의해 이끌리는 수소의 흐름(마젤란 스트림)이 이 이론의 증거로 여겨진다.

2MASX J16270254+4328340 은하는 다른 은하와 병합되어 수백만 개의 별로 이루어진 미세한 안개가 긴 궤적을 그리며 뿜어져 나오고 있다.

2. 4. 은하 학대 (Galaxy Harassment)

은하 학대(''galaxy harassment'')는 처녀자리 은하단이나 머리털자리 은하단과 같이 은하의 개수밀도가 높은 부유은하단 내에서, 은하가 높은 상대속도로 움직이며 다른 계와의 잦은 근접 조우로 인해 겪는 상호작용의 한 유형이다. 주로 어두운 은하와 밝은 은하 사이에서 발생한다.[33]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이러한 상호작용은 영향을 받는 은하를 불안정한 막대나선은하로 변화시키고, 뒤이어 폭발적 항성생성을 초래한다. 더 많은 접근이 일어나면 각운동량의 손실과 가스의 가열을 야기하며, 그 결과 어두운 나선은하왜소구형은하왜소타원은하로 변화할 수 있다.[33]

이 가설의 증거는 처녀자리 은하단의 조기형 왜소은하에 대한 연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들의 구조에서 원반과 나선팔 구조가 발견되어 이러한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한 원반계였음을 시사한다.[34] 그러나 LEDA 2108986과 같은 고립된 초기형 왜소은하에서도 유사한 구조가 발견되면서 이 가설은 약화되었다.[19][20]

3. 은하 상호작용의 단계

은하 간의 충돌은 은하 진화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다. 은하 내부 물질 분포는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인 충돌이 아닌 중력 상호작용으로 볼 수 있다.

충돌하는 두 은하가 충돌 후에도 계속 이동할 만큼 충분한 운동량을 갖지 못하면 병합이 일어난다. 이들은 서로에게 끌려가 여러 번 관통한 후 결국 하나의 은하를 형성한다. 충돌 은하 중 하나가 훨씬 크다면, 작은 은하는 뜯겨져 큰 은하의 일부가 되고 큰 은하는 대체로 온전하게 유지된다. 반면, 은하들이 서로 관통할 때는 물질과 형태를 대체로 유지한다.

은하 충돌은 현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주 연구되며, 여기에는 중력, 가스 소산, 별 형성과 피드백 등 현실적인 물리 현상이 포함된다. 역학적 마찰은 은하 쌍의 상대 운동을 늦추며, 초기 상대 에너지에 따라 합병 여부가 결정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파리 천문대 웹사이트 GALMER에서 찾아볼 수 있다.[30]

3. 1. 1단계: 접근 및 초기 상호작용

NGC 2207과 IC 2163는 은하 충돌의 첫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대표적인 두 은하이다.[30] 이 단계에서 두 은하는 서로에게 접근하며 중력적 영향을 주고받기 시작한다. 우리 은하대마젤란 은하소마젤란 은하,[30] 소용돌이 은하 (M51)와 그 위성 은하의 상호작용도 이 단계에 해당한다.[30] 이 과정에서 위성 은하의 중력은 주 은하의 나선 팔을 끌어당겨 변형시키기도 한다.

이름형태거리 (백만 광년)등급설명
우리은하와 LMCSMCSBc/SB(s)m/SB(s)m pec0style="text-align:right;" |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소용돌이 은하 (M51)SAc (SB0-a)37+8.4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NGC 2207과 IC 2163SAc/SAbc114+11은하충돌의 첫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3. 2. 2단계: 본격적인 충돌 및 병합 과정

두 은하의 핵이 가까워지면서 중력 상호작용이 강하게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가스와 먼지가 압축되고, 이는 폭발적인 별 형성을 유발한다. 이러한 현상의 예시로 생쥐 은하(IC 819/20)를 들 수 있는데, 이 은하는 은하 충돌의 두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30]

이름형태거리 (백만 광년)등급설명
생쥐 은하 (IC 819/20)S0/SB(s)ab300+13.5은하 충돌의 두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3. 3. 3단계: 병합 후 안정화

두 은하는 하나의 은하로 합쳐지면서 불규칙한 형태를 띤다. 이들은 점차 안정화되어 타원은하원반은하로 진화한다. 더듬이 은하(NGC 4038/9)와 NGC 520이 이러한 병합 후 안정화 단계의 예시이다.[30]

}

| style="text-align:right;"| +10.3

| 은하 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

| NGC 520

| S

| style="text-align:right;"|

| style="text-align:right;"| +11.3

| 은하 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

4. 스타버스트 현상

은하 충돌에서는 별들의 규모에 비해 밀도가 희박하기 때문에 별끼리의 충돌은 드물게 일어난다. 그러나 은하에 가스 성운이 풍부하게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가스 성운이 급속도로 밀도를 증가시켜 폭발적으로 별이 탄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을 스타버스트라고 하며, 스타버스트 은하는 은하 충돌의 결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타버스트 은하 내부에서는 원래의 은하 내에 있던 항성계행성계가 새롭게 탄생한 별로부터의 강한 항성풍의 영향을 받아 환경이 격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4]

5. 주목할 만한 상호작용 은하

거대 은하가 그 위성 은하와 상호작용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위성의 중력은 주 은하의 나선 팔 중 하나를 끌어당길 수 있으며, 궁수자리 왜소 타원 은하가 우리 은하로 잠입하는 경우처럼, 부속 위성이 주 은하로 돌입할 수 있다. 이는 약간의 별 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아 별 무리는 별로 인식되기 전에는 때때로 "푸른 덩어리"라고 불렸다.[1]

이름형태거리 (백만 광년)등급설명
더듬이 은하 (NGC 4038/9)SAc/SBm{{cvt|45|M|}
이름형태거리 (백만 광년)등급설명
우리은하와 LMCSMCSBc/SB(s)m/SB(s)m pec0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소용돌이 은하 (M51)SAc (SB0-a)37+8.4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NGC 2207과 IC 2163SAc/SAbc114+11은하충돌의 첫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생쥐 은하 (IC 819/20)S0/SB(s)ab300+13.5은하충돌의 두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NGC 1097SB(s)bc (E6)45+9.5주인은하와 위성은하의 상호작용
더듬이 은하 (NGC 4038/9)SAc/SBm45+10.3은하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NGC 520S100+11.3은하충돌의 세 번째 단계를 거치고 있는 두 은하
나비 은하 NGC 4567/8SA(rs)bc / SA(rs)bc60+10.9상호작용의 초기 단계
NGC 2936Irr352
12.9



잘 알려진 몇몇 상호작용 은하들의 몽타주

6.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충돌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가 약 45억 년 후에 안드로메다 은하와 충돌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충돌로 두 나선 은하는 병합하여 타원은하[35][36] 또는 거대한 원반은하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37]

7. 시뮬레이션 연구

현재 컴퓨터를 통해 은하 간 충돌에 대한 모의 실험이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에는 중력, 가스 소산 현상, 별 형성과 피드백을 포함한 현실적인 물리 법칙이 사용된다.[30] 역학적 마찰은 은하 쌍의 상대적 운동을 늦추며, 이는 궤도의 초기 상대적 에너지에 따라 어느 시점에서 합병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된 은하 충돌 라이브러리는 파리 천문대 웹사이트 GALMER에서 확인할 수 있다.[5]

참조

[1] 웹사이트 HubbleSite: News - Hubble Finds that "Blue Blobs" in Space Are Orphaned Clusters of Stars http://hubblesite.or[...] 2017-05-24
[2] 뉴스 Best View Yet of Merging Galaxies in Distant Universe http://www.eso.org/p[...] ESO Press Release 2014-08-26
[3] 웹사이트 How the Hubble Space Telescope Changed Our View of the Cosmos https://www.space.co[...] 2015-04-21
[4] 웹사이트 Galaxy Collision Creates 'Space Triangle' in New Hubble Image http://www.nasa.gov/[...] 2022-12-01
[5] 웹사이트 GALMER http://galmer.obspm.[...] 2010-03-27
[6] 웹사이트 Galactic Creatures at Play https://www.spacetel[...] 2019-08-10
[7] 웹사이트 Close encounter https://www.spacetel[...] 2017-05-08
[8] 웹사이트 A close galactic pair https://www.spacetel[...] 2017-04-21
[9] 웹사이트 Two become one http://www.spacetele[...] 2015-12-28
[10] 뉴스 Galactic soup http://www.spacetele[...] ESA/Hubble Picture of the Week 2014-08-18
[11] 뉴스 The messy result of a galactic collision http://www.spacetele[...] 2013-05-29
[12] 웹사이트 Defying cosmic convention https://www.spacetel[...] 2017-03-20
[13] 웹사이트 Hubble Interacting Galaxy 2MASX J09133888-1019196 https://hubblesite.o[...] 2024-08-30
[14] 웹사이트 Hubble Interacting Galaxy ESO 77-14 https://hubblesite.o[...] 2024-08-30
[15] 웹사이트 The last waltz http://www.spacetele[...] 2015-12-14
[16] 웹사이트 APOD: 2010 July 17 - Galaxies in the River https://apod.nasa.go[...] 2022-12-01
[17] 웹사이트 Galaxy Harassment https://supernova.lb[...]
[18] 논문 More evidence for hidden spiral and bar features in bright early-type dwarf galaxies 2002-09
[19] 논문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arly-type Dwarf Galaxies: A Detailed Look at the Isolated Rotating Early-type Dwarf Galaxy LEDA 2108986 (CG 611), Ramifications for the Fundamental Plane's {S}_{K}^{2} Kinematic Scaling, and the Spin-Ellipticity Diagram 2017-05
[20] 논문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early-type dwarf galaxies – the discovery of rotation in isolated, low-mass early-type galaxies 2017-07
[21] 웹사이트 Galactic merger to 'evict' Sun and Earth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4-10-07
[22] 간행물 Our galaxy's collision with Andromeda 2008-06
[23] 논문 Cold molecular gas in merger remnants. I. Formation of molecular gas disks
[24] 웹사이트 https://www.astroart[...]
[25] 웹사이트 ガルメール http://galmer.obspm.[...] 2010-03-27
[26] 뉴스 太陽と地球を『退かせる』銀河の合体 http://space.newscie[...] ニュー・サイエンティスト 2007-05-04
[27] 간행물 2008-06
[28] 웹사이트 相互作用する“おとめ座”のコンパクト銀河群 ダークエネルギーカメラが撮影 https://sorae.info/a[...] sorae 2024-05-28
[29] 문서 천문학용어집 한국천문학회
[30] 웹사이트 GALMER http://galmer.obspm.[...] 2010-03-27
[31] 뉴스 은하 수프 http://www.spacetele[...] 이번 주의 ESA/허블 사진 2014-08-18
[32] 뉴스 은하충돌의 지저분한 결과 http://www.spacetele[...] 2013-05-29
[33] 웹사이트 은하 학대 http://supernova.lbl[...]
[34] 웹사이트 밝은 조기형 왜소은하에 숨겨진 나선팔과 막대 특징에 대한 많은 증거 http://adsabs.harvar[...]
[35] 뉴스 태양과 지구를 '쫓아내는' 은하 병합 http://space.newscie[...] 2007-05-04
[36] 간행물 천문학 2008-06
[37] 저널 병합 잔해 내의 차가운 분자가스. I. 분자 가스 원반의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