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십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선은 몸, 말, 뜻으로 짓는 열 가지 선행을 의미한다. 몸으로 짓는 선행은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이며, 말로 짓는 선행은 불망어, 불기어, 불악구, 불양설이다. 뜻으로 짓는 선행은 불탐욕, 부진에, 불사견이다. 십선은 불교에서 강조하는 윤리적 가르침으로, 악을 행하지 않고 선을 행하는 것을 통해 긍정적인 삶을 추구하도록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 (불교) - 오계
    오계는 불교 윤리의 기본 강령으로, 불교도가 지켜야 할 살생, 도둑질, 사음, 거짓말, 음주를 금하는 다섯 가지 계율이다.
  • 선 (불교) - 십계 (불교)
    십계는 불교에서 사미, 사미니가 지켜야 할 열 가지 계율로, 불살생, 불투도, 불음행, 불망어, 불음주를 포함하여 출가 수행자의 생활 규범을 담고 있으며, 사미니의 십계는 낭비와 사치를 금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재가 신도의 오계와 유사하나 불음행계가 불사음계로 바뀌는 차이가 있다.
  • 불교 계율 - 팔리 삼장
    팔리 삼장은 상좌부 불교의 경전으로, 율장, 경장, 논장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율장은 승가의 규율을, 경장은 부처의 설법을, 논장은 불교 철학을 담고 있다.
  • 불교 계율 - 바라이죄
    바라이죄는 불교 율장에서 출가 수행자가 지켜야 할 계율을 어기는 죄목으로, 비구는 사바라이, 비구니는 팔바라이죄를 지켜야 한다.
  • 명수 10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1967년 반공주의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5개국이 설립한 국제기구로, 냉전 종식 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가 가입하여 현재 10개국 체제를 유지하며 경제 통합 및 동아시아 지역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역내외 안보 및 인권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 명수 10 - 십상시
    십상시는 후한 영제 시기에 권력을 장악하고 부패를 저지르며 백성을 수탈하다가 하진을 살해하고 난을 일으켰으나 원소에게 몰락하여 후한 왕조 멸망을 가속화시킨 환관 12명을 지칭한다.
십선
십선계
종류불교 윤리
의미10가지 착한 행위
범주계율
관련 경전화엄경
불설십선업도경
내용
몸(身)으로 짓는 선불살생(不殺生):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음
불투도(不偸盜): 남의 것을 훔치지 않음
불사음(不邪婬): 삿된 음행을 하지 않음
입(口)으로 짓는 선불망어(不妄語): 거짓말을 하지 않음
불양설(不兩舌): 이간질하는 말을 하지 않음
불악구(不惡口): 나쁜 말을 하지 않음
불기어(不綺語): 꾸며서 하는 말을 하지 않음
뜻(意)으로 짓는 선불탐욕(不貪欲): 탐내지 않음
부진에(不瞋恚): 성내지 않음
불사견(不邪見): 그릇된 견해를 갖지 않음
참고 문헌
관련 서적불설십선업도경

2. 십선의 내용

십선은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신삼, 身三), 말로 짓는 네 가지 선행(구사, 口四),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의삼, 意三)을 말한다.


  • 신삼(身三): 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 구사(口四): 불망어, 불기어, 불악구, 불양설
  • 의삼(意三): 불탐욕, 부진에, 불사견


화엄경』 십지품 제2 「보살주이구지」에서는 보살로서 해야 할 열 가지 좋은 일, 즉 십선을 계율로 제시하고 있다. 십선은 육도윤회에서 벗어나 극락왕생하기 위해 실천해야 할 덕목으로 여겨진다.

2. 1. 신삼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

몸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은 다음과 같다.

  • 불살생: 사람이나 동물 등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
  • 불투도: 남의 재물을 훔치지 않는다.
  • 불사음: 배우자 이외의 사람과 부정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2. 1. 1. 불살생(不殺生)

사람이나 동물 등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불교에서는 생명 존중 사상을 강조하며, 모든 생명은 존엄하다고 가르친다. 고의로 생물을 죽이지 않는 것은 십선 중 하나이다.[2]

2. 1. 2. 불투도(不偸盜)

남의 재물을 훔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재물을 취하는 것을 금하는 가르침이다. 주어지지 않은 것을 자신의 것으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도 포함된다.[2]

2. 1. 3. 불사음(不邪婬)

불사음(不邪婬)은 배우자가 아닌 사람과 부정한 관계를 맺지 않는 것을 말한다.[2] 이는 불륜 등 도덕에 어긋나는 관계를 맺지 않는 것으로, 건전한 성 윤리를 강조하는 가르침이다.

2. 2. 구사 (말로 짓는 네 가지 선행)

십선에서 말로 짓는 네 가지 선한 행위는 다음과 같다.

  • 불망어(不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을 하지 않는다.
  • 불기어(不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미는 말을 하지 않는다.
  • 불악구(不惡口): 남을 괴롭히거나 나쁜 말(욕설)을 하지 않는다.
  • 불양설(不兩舌): 이간질을 하지 않는다.

2. 2. 1. 불망어(不妄語)

거짓말이나 헛된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2] 진실을 말하고, 다른 사람을 속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화엄경』 십지품 제2 「보살주이구지」에서는 보살로서 해야 할 열 가지 좋은 일 중 하나로 불망어를 제시하고 있다.

musāvādā veramaṇī|무사와다 베라마니pi는 망어(妄語)를 떠나는 것을 뜻하며, mṛṣāvādāt prativirataḥ|므르샤와닷 프라티위라타sa 역시 같은 의미를 가진다.[2]

"밧차여, 망어는 불선이다. 망어에서 떠나는 것은 선이다."라는 구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2. 2. 2. 불기어(不綺語)

진실이 없는, 교묘하게 꾸미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무의미하거나 해로운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samphappalāpā veramaṇī|삼팝팔라빠- 웨-라마니-pi sambhinna-pralāpāt prativirataḥ|삼빈나 프랄라파트 프라티비라타sa[3]

2. 2. 3. 불악구(不惡口)

남을 괴롭히거나 욕설 등 나쁜 말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부드럽고 친절한 말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불악구는 십선 중 구업(口業)에 해당하며, 난폭한 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3] 팔리 경전의 대밧차경에서는 악구는 불선(不善)이며, 악구에서 떠나는 것은 선(善)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2. 2. 4. 불양설(不兩舌)

이간질을 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사람들 사이의 갈등을 조장하는 말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화엄경』 십지품 제2 「보살주이구지」에서 보살로서 해야 할 열 가지 좋은 일 중 하나로 권장된다.[3]

2. 3. 의삼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

뜻으로 짓는 세 가지 선행은 다음과 같다.

  • 불탐욕(不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 부진에(不瞋恚): 성내지 않는다.
  • 불사견(不邪見):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2. 3. 1. 불탐욕(不貪欲)

탐내어 그칠 줄 모르는 욕심을 부리지 않는 것이다. 이는 과도한 욕심을 경계하고 만족할 줄 아는 마음을 가지는 것을 뜻한다. 팔리 경전의 중부 73 대밧차경에서는 탐욕은 불선이며, 불탐욕은 선이라고 말한다.[2] 의업(意業) 중 하나인 불탐욕(不貪欲)은 anabhijjhā|아나비자pi, anabhidhyāluḥ|아나비디알루sa로 표기되며, 탐욕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3]

2. 3. 2. 부진에(不瞋恚)

성내지 않음. 심한 분노를 품지 않는 것이다. 『화엄경』 십지품의 제2 「보살주이구지」에서는 보살로서 해야 할 열 가지 좋은 일 중 하나로 불진에(不瞋恚)를 권하고 있다.

"밧차여, 진에는 불선이다. 불진에는 선이다."

  • 팔리 경전 중부73 대밧차경


의업(意業) 중 하나이며, 진심(瞋心)이 없는 것(abyāpādapi, avyāpannacittaḥsa)에 해당한다.[3]

2. 3. 3. 불사견(不邪見)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는 인과의 도리를 믿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불교에서는 연기(緣起)와 사성제(四聖諦) 등의 가르침을 통해 올바른 세계관을 확립할 것을 강조한다.

"밧차여, 사견은 불선이다. 정견은 선이다."[2]

3. 십선의 실천

십선은 단순히 열 가지 행위를 나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3. 1. 십선의 적극적 실천

정의로운 사람은 정의로운 일을 행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며, 단지 불의한 일을 하지 않는다고 정의로운 사람이라고 칭할 수는 없다. 우선은 악을 행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십악을 행하지 않는 불악(不惡)만으로는 선(善)을 이룰 수는 없다. 참된 선은 선을 행하는 것이다. 십선의 적극적 실천은 다음과 같다.

  • '''방생(放生):''' 남을 살리는 생활
  • '''근면(勤勉):''' 남을 돕는 생활
  • '''정음(正淫):''' 올바른 성생활
  • '''정어(正語):''' 성실한 말
  • '''진어(眞語):''' 정직한 말
  • '''애어(愛語):''' 화합될 말
  • '''실어(實語):''' 고운 말
  • '''보시(布施):''' 욕심을 버리는 생각
  • '''자비(慈悲):''' 기뻐하는 생각
  • '''지혜(智慧):''' 슬기로운 생각

3. 1. 1. 방생(放生)

남을 살리는 생활을 하는 것이다.

3. 1. 2. 근면(勤勉)

남을 돕는 생활을 하는 것이다.

3. 1. 3. 정음(正淫)

正淫|정음중국어이란 올바른 성생활을 하는 것을 뜻한다.[1]

3. 1. 4. 정어(正語)

정어(正語)는 성실한 말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3. 1. 5. 진어(眞語)

정직한 말을 하는 것이다.[1]

3. 1. 6. 애어(愛語)

화합될 말을 하는 것이다.

3. 1. 7. 실어(實語)

고운 말을 하는 것이다.

3. 1. 8. 보시(布施)

보시는 욕심을 버리는 생각이다.[1]

3. 1. 9. 자비(慈悲)

기뻐하는 생각을 하는 것이다.[1]

3. 1. 10. 지혜(智慧)

슬기로운 생각을 가지는 것이다.[1]

참조

[1] 문서 雑阿含経
[2] 웹사이트 Dharmaskandha -Gretil http://gretil.sub.un[...]
[3] 웹사이트 Dasabhumikasutram - GRETIL http://gretil.sub.u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