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섬은 싱가포르를 구성하는 주요 섬이다. "끝에 있는 섬"을 의미하는 말레이어 "Pulau Ujong"과 "용의 바위"를 뜻하는 크리스탕어 "Pedra Draku" 등으로 불렸다. 1960년대 580km²에서 현재 710km²로 면적이 확장되었으며, 최북단은 셈바왕, 최서단과 최남단은 투아스, 최동단은 창이 만에 위치한다. 과거 일본 점령기에는 쇼난토로 불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섬 - 센토사섬
싱가포르 본섬 남쪽에 위치한 센토사섬은 "평화와 평온"을 의미하는 말레이어 이름을 가진 휴양 섬으로, 과거 군사 기지이자 전쟁 포로 수용소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위락 시설을 갖춘 관광지로 개발되었으며, 2018년에는 북미 정상회담이 개최되기도 했다.
싱가포르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위치 | 동남아시아 |
군도 | 말레이 군도 |
수역 | 싱가포르 해협 남중국해 믈라카 해협 조호르 해협 |
면적 | 730 km2 |
최고점 | 부킷 티마힐 - 163.63 m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싱가포르 섬 |
토착어 명칭 (말레이어) | 풀라우 우종 (Pulau Ujong) |
토착어 명칭 (크리스탕어) | 페드라 드라쿠 (Pedra Draku) |
인구 통계 | |
인구 (2023년) | 5,917,600 명 |
인구 밀도 | 7,804 명/km2 |
민족 구성 | 중국인 말레이인 인도인 유라시아인 |
행정 구역 | |
계획 구역 | 싱가포르 섬의 계획 구역 (외곽 섬 포함) |
이미지 정보 | |
![]() | |
![]() |
2. 어원
템섹(Temasek)은 오늘날 싱가포르가 있는 곳에 있던 초기 정착지의 이름으로 기록되었지만, 섬 자체를 특정하여 언급한 것은 아니었다. 한편, ''푸라우 우종(Pulau Ujong)''은 싱가포르 섬을 언급한 가장 초기의 명칭 중 하나였다. 3세기 중국 기록에 나오는 ''푸뤄중(Pú Luó Zhōng)(蒲羅中)''는 현지 명칭인 ''푸라우 우종(Pulau Ujong)''(Pulau Ujongms, "끝에 있는 섬"이라는 뜻)에 해당한다.[4]
일본이 쇼와 시대에 가장 남쪽에서 점령한 섬이었기 때문에, 쇼난토(昭南島)라는 명칭이었던 시대도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 점령기의 싱가포르를 참조.
남중국해로 가는 싱가포르 해협을 지나는 아시아 각지의 여행객과 상인들은 반드시 이 섬을 지나야 했기에 ''푸라우 우종(Pulau Ujong)''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마찬가지로, 오랑 라우트(Orang Laut) 부족도 싱가포르를 "끝 섬"이라고 불렀다. ''우종 타나(Ujong Tanah)''("가장 먼 곳의 땅") 또는 그 변형된 이름이 유럽 자료에서 싱가포르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5]
크리스탕어(Kristang language)로 된 이 섬의 이름인 ''페드라 드라쿠(Pedra Draku)''("용의 바위" 또는 "용바위")는 세계의 오래된 지도에서 볼 수 있는 용의 꼬리 반도(Dragon's Tail Peninsula)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싱가포르 섬이 현재 위치한 순다랜드(Sundaland)의 옛 소대륙으로 여겨진다. ''페드라 드라쿠(Pedra Draku)''라는 이름은 롱야먼(Long Ya Men)(龍牙門)] 또는 롱야먼(Long Ya Men)으로 불리던 케펠 항(Keppel Harbour) 앞에 있었던 "용의 이빨 문"과도 관련이 있으며, 싱가포르를 용의 꼬리 반도 끝에 있는 섬으로 지칭하는 말레이어 이름 ''푸라우 우종(Pulau Ujong)''과도 관련이 있다.
3. 역사
3. 1. 일본 점령기
일본이 쇼와 시대에 가장 남쪽에서 점령한 섬이었기 때문에, 쇼난토(昭南島)라는 명칭이었던 시대도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 점령기의 싱가포르를 참조.
4. 지리
싱가포르섬은 동서로 약 55 km이고 남북으로 약 28 km이며, 해안선 길이는 201 km이다.[7] 싱가포르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부킷 티마 언덕이며, 이는 화성암과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높이는 163.63 m이다. 북서쪽에는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언덕과 계곡이 많고, 동쪽 지역은 모래가 많고 평평한 지형이다.
1822년 이후로 매립 공사가 진행되어 왔는데, 처음에는 싱가포르를 식민지로 통치했던 영국이 시작하였다. 독립 이후 싱가포르 현 정부는 섬의 면적을 계속 늘려왔으며, 주요 섬의 면적은 1960년대 580 km2에서 현재 710 km2로 증가했다.[8] 주요 섬에 추가로 200 km2의 토지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9]
싱가포르 섬의 최북단은 셈바왕이다. 최서단과 최남단은 투아스에 있다. 섬의 최동단은 창이 만이다.
4. 1. 극한 지점
싱가포르 섬의 최북단은 셈바왕이다. 최서단과 최남단은 투아스에 있다. 섬의 최동단은 창이 만이다.4. 2. 간척 사업
5. 전설
3세기의 전설적인 책인 『오시외국전/呉時外國傳중국어』에 따르면, 싱가포르섬에는 꼬리가 5~6인치나 되는 식인종이 살았다고 한다. 이는 인종적인 함의를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회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Pedra Draku: Excavating a new old Kristang name for the island of Singapore
https://www.instagra[...]
Merlionsman Coaching & Consulting
2022-11-17
[2]
웹사이트
Pulau Ubin Stories
http://habitatnews.n[...]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2004-05-24
[3]
웹사이트
Statistics Singapore – Population
https://www.singstat[...]
2021-06-25
[4]
서적
History of South East Asia
Singapore World Publishing Co.
1961
[5]
서적
Iberians in the Singapore-Melaka Area and Adjacent Regions (16th to 18th Century)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2004-12
[6]
서적
Record of Foreign Countries during the Eastern Wu Period, section on Pu Luo Jong
Singapore 南洋研究所
1971
[7]
웹사이트
Yearbook of Statistics Singapore 2012
http://www.singstat.[...]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2012-10-24
[8]
서적
The book of Singapore’s firsts
Singapore Heritage Society
2006
[9]
웹사이트
Long-Term Plan Review
https://www.ura.gov.[...]
2022-06-13
[10]
웹인용
2014 Population in Brief
http://population.sg[...]
Population SG
2015-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