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MRT 남북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 MRT 남북선은 싱가포르의 MRT 노선 중 하나로, 1987년 첫 구간이 개통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되어 현재 주롱 이스트 역에서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까지 운행된다. 주요 환승역으로는 주롱 이스트, 우드랜즈, 도비 고트, 시청, 래플스 플레이스 등이 있으며, 숭에이 카둣 역은 다운타운 선과의 환승을 목표로 건설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 MRT의 철도 노선 - 싱가포르 MRT 동서선
싱가포르 MRT 동서선은 1987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되어 파시르 리스역에서 투아스 링크역까지, 창이공항 지선은 타나메라역에서 창이공항역까지 운행하며, 다양한 노선 및 창이 공항과 연결되는 싱가포르 MRT 노선이다. - 싱가포르 MRT의 철도 노선 - 싱가포르 MRT 노스이스트선
싱가포르 지하철 노스이스트선은 여러 역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파러 파크역, 분켕역, 셍캉역, 풍골역 등의 역이 있고, 셍캉역과 풍골역에서는 각각 셍캉 LRT와 향후 풍골선 및 크로스아일랜드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도록 공사가 진행 중이다.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양제철선
광양제철선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인입선으로 건설되어 광양항 개발과 포스코 성장에 기여하며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총 4개의 역을 가진 화물 수송 철도 노선이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싱가포르 MRT 남북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남북선 |
영어 노선명 | North South Line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주롱 이스트역 (Jurong East) [[파일:MRT Singapore Destination 4.svg|25px]] |
종점 | 마리나 사우스 피어역 (Marina South Pier) [[파일:MRT Singapore Destination 5.svg|25px]] |
역 수 | 28 |
운영자 | SMRT Trains (SMRT Corporation) |
영업 거리 | 45 킬로미터 |
궤간 | 1,435 밀리미터 (표준궤) |
선로 수 | 1 |
개통일 | 1987년 11월 7일 |
2. 역사
1987년 11월 7일, 싱가포르 MRT 남북선의 첫 구간인 요추캉 역 ~ 토아파요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7년 12월 12일, 토아파요 역 ~ 래플스 플레이스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8년 12월 31일, 요추캉 역 ~ 이슌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9년 11월 4일, 래플스 플레이스 역 ~ 마리나 베이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0년 3월 10일, 주롱 지선의 주롱 이스트 역 ~ 초아추캉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6년 2월 10일, 이슌 역 ~ 초아추캉 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 주롱 지선 (주롱 이스트 역 ~ 초아추캉 역)이 싱가포르 MRT 남북선에 통합되었다.
2014년 11월 23일, 마리나 베이 역 ~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2019년 11월 2일, 캔버라 역이 개통되었다.
2. 1. 초기 개통 (1987-1990)
싱가포르 MRT 남북선은 1987년 11월 7일 이오추캉 역에서 토아파요 역까지의 구간이 처음으로 개통되었다. 1987년 12월 12일에는 토아파요 역에서 래플스 플레이스 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8년 12월 31일에 이오추캉 역에서 이슌 역까지의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9년 11월 4일, 래플스 플레이스 역에서 마리나 베이 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1990년 3월 10일에는 주롱 지선의 주롱 이스트 역에서 초아추캉 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2. 2. 북부 연장 및 지선 통합 (1996)
1996년 2월 10일, 이슌 역에서 초아추캉 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면서, 기존의 주롱 지선(주롱 이스트 역~초아추캉 역) 구간이 싱가포르 MRT 남북선으로 통합되었다. 이로써 남북선은 북부 지역으로 더욱 확장되었다. 그 이전에는 1987년 11월 7일 이오추캉 역에서 토아파요 역 구간이, 같은 해 12월 12일에는 토아파요 역에서 래플스 플레이스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8년 12월 31일에는 이오추캉 역에서 이슌 역 구간이, 1989년 11월 4일에는 래플스 플레이스 역에서 마리나 베이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1990년 3월 10일에는 주롱 지선의 주롱 이스트 역에서 초아추캉 역 구간이 개통되었다.2. 3. 남부 연장 및 신규 역 개통 (2014-현재)
싱가포르 MRT 남북선은 2014년 11월 23일 마리나 베이 역에서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까지 연장되었다. 2019년 11월 2일에는 캔버라 역이 개통되었다.3. 역 목록
wikitext
역번호 | 한국어 역명 | 영어 역명 | 중국어 역명 | 타밀어 역명 | 환승 노선 |
---|---|---|---|---|---|
NS1 | 주롱 이스트 | Jurong East | 裕廊东zh-cn | ஜூரோங் கிழக்கு | 동서선, 주롱지역선 (공사중) |
NS2 | 부킷 바톡 | Bukit Batok | 武吉巴督zh-cn | புக்கிட் பாத்தோக் | |
NS3 | 부킷 곰박 | Bukit Gombak | 武吉甘柏zh-cn | புக்கிட் கோம்பாக் | |
NS4 | 초아추캉 | Choa Chu Kang | 蔡厝港zh-cn | சுவா சூ காங் | 부킷판장선, 주롱지역선 (공사중) |
NS5 | 유티 | Yew Tee | 油池zh-cn | இயூ டீ | |
NS6 | 숭에이 카둣 | Sungei Kadut | 双溪加株zh-cn | சுங்கை காடூட் | 다운타운선 (계획중) |
NS7 | 크란지 | Kranji | 克兰芝zh-cn | கிராஞ்சி | |
NS8 | 마실링 | Marsiling | 马西岭zh-cn | மார்சிலிங் | |
NS9 | 우드랜즈 | Woodlands | 兀兰zh-cn | ஊட்லண்ட்ஸ் |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10 | 애드미럴티 | Admiralty | 海军部zh-cn | அட்மிரல்ட்டி | |
NS11 | 셈바왕 | Sembawang | 三巴旺zh-cn | செம்பாவாங் | |
NS12 | 캔버라 | Canberra | 坎贝拉zh-cn | கென்பரா | |
NS13 | 이슌 | Yishun | 义顺zh-cn | யீஷூன் | |
NS14 | 카팁 | Khatib | 卡迪zh-cn | காதிப் | |
NS15 | 이오추캉 | Yio Chu Kang | 杨厝港zh-cn | இயோ சூ காங் | |
NS16 | 앙모키오 | Ang Mo Kio | 宏茂桥zh-cn | அங் மோ கியோ | 크로스아일랜드선 (공사중) |
NS17 | 비샨 | Bishan | 碧山zh-cn | பீஷான் | 서클선 |
NS18 | 브래들 | Braddell | 布莱德zh-cn | பிரேடல் | |
NS19 | 토아 파요 | Toa Payoh | 大巴窑zh-cn | தோ பாயோ | |
NS20 | 노비나 | Novena | 诺维娜zh-cn | நொவீனா | |
NS21 | 뉴턴 | Newton | 纽顿zh-cn | நியூட்டன் | 다운타운선 |
NS22 | 오차드 | Orchard | 乌节zh-cn | ஆர்ச்சர்ட் |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23 | 서머셋 | Somerset | 索美塞zh-cn | சாமர்செட் | |
NS24 | 도비 고트 | Dhoby Ghaut | 多美歌zh-cn | டோபி காட் | 동북선, 서클선 |
NS25 | 시청 | City Hall | 政府大厦zh-cn | நகர மண்டபம் | 동서선 |
NS26 | 래플스 플레이스 | Raffles Place | 莱佛士坊zh-cn | ராஃபிள்ஸ் பிளேஸ் | 동서선 |
NS27 | 마리나 베이 | Marina Bay | 滨海湾zh-cn | மரீனா பே | 서클선,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28 | 마리나 사우스 피어 | Marina South Pier | 滨海南码头zh-cn | மரினா சவுத் படகுத்துறை |
3. 1. 본선 (주롱 이스트 - 마리나 사우스 피어)
싱가포르 MRT 남북선은 주롱 이스트 역에서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까지 이어진다. 주롱 이스트 역에서는 싱가포르 MRT 동서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부킷바톡 역, 부킷곰박 역, 초아추캉 역, 유티 역이 주롱 이스트 역과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 사이에 있다. 초아추캉 역에서는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과 환승할 수 있다. 숭에이 카둣 역은 다운타운 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크란지 역, 마실링 역, 우드랜즈 역이 있으며, 우드랜즈 역은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 코스트선과 환승된다. 애드미럴티 역, 셈바왕 역, 캔버라 역, 이슌 역, 카팁 역, 이오추캉 역, 앙모키오 역이 있다. 앙모키오 역은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비샨 역에서는 싱가포르 MRT 서클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브래들 역, 토아파요 역, 노비나 역, 뉴턴 역, 오차드 역, 서머셋 역, 도비고트 역이 이어진다. 뉴턴 역은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과 환승되며, 오차드 역은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 코스트선과 환승된다. 도비고트 역은 싱가포르 MRT 동북선 및 싱가포르 MRT 서클선과 환승된다. 시청 역, 래플스 플레이스 역에서는 싱가포르 MRT 동서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마리나 베이 역은 싱가포르 MRT 서클선 및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 코스트선과 환승된다. 종착역은 마리나 사우스 피어 역이다.역번호 | 한국어 역명 | 영어 역명 | 환승 노선 |
---|---|---|---|
NS1 | 주롱 이스트 | Jurong East | 동서선, 주롱지역선 (공사중) |
NS2 | 부킷 바톡 | Bukit Batok | |
NS3 | 부킷 곰박 | Bukit Gombak | |
NS4 | 초아추캉 | Choa Chu Kang | 부킷판장선, 주롱지역선 (공사중) |
NS5 | 유티 | Yew Tee | |
NS6 | 숭에이 카둣 | Sungei Kadut | 다운타운선 (계획중) |
NS7 | 크란지 | Kranji | |
NS8 | 마실링 | Marsiling | |
NS9 | 우드랜즈 | Woodlands |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10 | 애드미럴티 | Admiralty | |
NS11 | 셈바왕 | Sembawang | |
NS12 | 캔버라 | Canberra | |
NS13 | 이슌 | Yishun | |
NS14 | 카팁 | Khatib | |
NS15 | 이오추캉 | Yio Chu Kang | |
NS16 | 앙모키오 | Ang Mo Kio | 크로스아일랜드선 (공사중) |
NS17 | 비샨 | Bishan | 서클선 |
NS18 | 브래들 | Braddell | |
NS19 | 토아 파요 | Toa Payoh | |
NS20 | 노비나 | Novena | |
NS21 | 뉴턴 | Newton | 다운타운선 |
NS22 | 오차드 | Orchard |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23 | 서머셋 | Somerset | |
NS24 | 도비 고트 | Dhoby Ghaut | 동북선, 서클선 |
NS25 | 시청 | City Hall | 동서선 |
NS26 | 래플스 플레이스 | Raffles Place | 동서선 |
NS27 | 마리나 베이 | Marina Bay | 서클선, 톰슨-이스트 코스트선 |
NS28 | 마리나 사우스 피어 | Marina South Pier |
3. 2. 숭에이 카둣 역 (계획 중)
숭에이 카둣 역은 싱가포르 MRT 남북선의 역으로, 초아추캉역과 크란지역 사이에 위치할 예정이다. 이 역은 다운타운선과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3. 3. 열차
3. 4. 운영 시간
3. 5. 배차 간격
4. 특징
4. 1. 혼잡도
4. 2. 스크린도어
5. 미래 확장 계획
5. 1. 북부 연장
5. 2. 숭에이 카둣 역 신설
5. 3. 주롱 이스트 역 통합 교통 허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