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글리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글리콘은 특정 식물에서 추출되며, H-NMR 및 HMBC 실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등의 방법을 통해 검출 및 분석된다. 아글리콘은 죽상동맥경화증 플라크 형성 억제에 기여하지 못했지만, 쥐의 인지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 임상적 중요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리코사이드 - 사포닌
    사포닌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배당체의 일종으로, 계면활성제, 백신 보조제 등으로 사용되며 세포막 파괴 및 용혈 작용으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이다.
  • 글리코사이드 - 말티톨
    말티톨은 설탕 대체재로 사용되는 이당류 감미료로, 칼로리가 낮고 충치를 유발하지 않으며, 다양한 식품 및 제약 산업에서 활용되지만 과량 섭취 시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 탄수화물 화학 - 당단백질
    당단백질은 탄수화물이 단백질에 공유결합된 복합체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구조 유지, 물질 수송, 면역 반응, 세포 부착 및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 분자이다.
  • 탄수화물 화학 - 당화
    당화는 아밀라아제 효소나 산을 이용하여 다당류인 전분을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누룩이나 맥아를 사용하여 일본주, 소주, 맥주, 위스키, 엿, 감주 등 다양한 식품 및 주류 제조에 활용된다.
아글리콘
정의
개요아글리콘(aglycone) 또는 제닌(genin)은 글리코사이드 분자에서 당 부분이 제거된 후 남은 부분을 지칭함. 글리코사이드는 당과 비당 분자가 결합된 형태이며, 아글리콘은 이 비당 부분에 해당됨.
어원아글리콘(aglycone)이라는 용어는 '단맛이 없는' 또는 '당이 없는'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음.
화학적 특성
구조아글리콘은 다양한 화학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테르페노이드, 페놀, 알칼로이드 등이 될 수 있음. 글리코사이드 결합은 아글리콘의 특정 위치에서 형성되며, 이 결합이 가수분해되면 당과 아글리콘으로 분리됨.
생리활성많은 아글리콘은 생리 활성을 나타내며, 약물, 독소, 향료 등으로 사용됨. 글리코사이드 형태로 존재할 때는 활성이 없거나 낮지만, 당이 제거되면 활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예시
스테로이드 아글리콘디기톡시제닌(digitoxigenin), 디곡시제닌(digoxigenin) 등은 강심 배당체의 아글리콘으로, 심장 질환 치료에 사용됨.
플라보노이드 아글리콘케르세틴(quercetin), 캠페롤(kaempferol) 등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플라보노이드의 아글리콘으로, 다양한 식물에 존재함.
안트라퀴논 아글리콘알로에-에모딘(aloe-emodin), 라인(rhein) 등은 완하 효과를 가지는 안트라퀴논의 아글리콘으로, 약용 식물에 함유되어 있음.
응용
약학아글리콘은 약물 개발의 중요한 대상으로, 특정 질병 치료에 효과적인 아글리콘을 찾거나, 아글리콘의 구조를 변형하여 약효를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식품식품 중의 글리코사이드는 맛, 향, 색 등에 영향을 미치며, 아글리콘은 이러한 특성에 기여함. 특정 아글리콘은 항산화, 항균 등의 기능성을 나타내기도 함.
화학아글리콘은 화학 연구에서 글리코사이드의 구조를 분석하고, 새로운 글리코사이드를 합성하는 데 사용됨.

2. 검출

아글리콘은 H-NMR 및 이핵 다중 결합 상관(HMBC) 실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검출 및 정량화할 수 있다.[3][4]

2. 1. H-NMR 및 HMBC 실험

아가베속(Agave spp.) 식물에서 아글리콘을 추출하고 확인하는 데 H-NMR 및 이핵 다중 결합 상관(HMBC) 실험을 사용한다. 이핵 다중 결합 상관(HMBC) 실험은 질량 분석법과 결합하여 아글리콘의 구조 및 기능 분석에 활용될 수 있다.[3]

2. 2.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리모노이드의 글리콘과 배당체 샘플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방법을 통해 동시에 정량화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진 용매 시스템과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사용하여 0.25μg~의 감도로 샘플을 분리하고 검출한다.[4]

3. 임상적 중요성

아글리콘은 여러 질병 예방 및 치료에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인간 대동맥 내피 세포 연구에서 아글리콘은 세포 이동을 멈추게 했지만, 죽상동맥경화증 플라크 형성의 초기 단계인 단핵구 부착은 멈추지 못했다.[5]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아글리콘이 쥐의 인지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가포식 반응, mTOR 조절, 플라크 축적 감소 및 β-아밀로이드 수치 감소를 보였다.[6]

3. 1. 죽상동맥경화증

인간 대동맥 내피 세포 연구에서 아글리콘은 세포 이동을 억제했지만, 죽상동맥경화증 플라크 형성 초기 단계인 단핵구 부착은 막지 못했다.[5]

3. 2. 노화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섭취가 노화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에 미치는 이점을 탐구한 연구에서 아글리콘은 쥐의 인지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아글리콘을 섭취한 쥐는 강력한 자가포식 반응, mTOR 조절, 플라크 축적 감소 및 β-아밀로이드 수치 감소를 보였다.[6]

참조

[1] 논문 Nomenclature of carbohydrates (IUPAC Recommendations 1996). http://www.chem.qmul[...] 1996-01
[2] 서적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1997
[3] 논문 Features in the NMR spectra of the aglycones of Agave spp. saponins. HMBC method for aglycone identification (HMAI) 2021-01
[4] 논문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itrus limonoid aglycones and glucosid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2007-05
[5] 논문 Ellagitannin metabolites, urolithin A glucuronide and its aglycone urolithin A, ameliorate TNF-α-induced inflammation and associated molecular markers in human aortic endothelial cells 2012-05
[6] 논문 The polyphenol oleuropein aglycone protects TgCRND8 mice against Aß plaque pathology 2013-08-08
[7] 웹인용 2-Carb-33 http://www.chem.qmul[...] 2018-04-21
[8] 간행물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ition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