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핵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핵구는 무과립구의 일종으로, 말초 혈액에서 가장 큰 세포 유형이며, 면역계에서 탐식 작용, 항원 제시, 사이토카인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골수에서 생성되어 혈류를 순환하며,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나 수지상 세포로 분화한다. 단핵구는 CD14, CD16 등의 세포 표면 수용체 발현에 따라 고전적, 비고전적, 중간 단핵구로 분류되며, 이들의 수치는 다양한 질병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단핵구 수가 증가하는 단핵구증가증과 감소하는 단핵구감소증이 존재하며, 이는 염증, 감염, 면역 억제 치료 등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 체세포
체세포는 다세포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로서 생식세포와 구별되며 불임성을 가지고, 종에 따라 생식세포계열과 분리되기도 하지만 체세포 배 발생 능력을 보이기도 하며, 유전 정보, 복제, 유전자 변형, 바이오뱅킹, 세포 노화 연구 등에 활용된다. - 세포 - 세포질
세포질은 핵을 제외한 세포 내부를 채우는 물질로, 세포질 기질, 세포소기관, 세포질 내포물로 구성되어 세포 형태 유지, 항상성 유지, 세포소기관 지탱, 물질대사 관련 물질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액체 또는 젤 형태를 띤다. - 세포생물학 - 세포융합
세포융합은 둘 이상의 세포가 융합하여 하나의 세포를 만드는 과정으로, 동종 또는 이종 세포 융합으로 나뉘며 품종 개량, 단일클론 항체 생산, 질병 치료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세포생물학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단핵구 |
---|
2. 구조
단핵구는 외관상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 과립화되지 않은 세포질을 가지고 있어[44][1] 무과립구로 분류되지만, 드물게 호산성 과립 및/또는 공포를 나타낼 수 있다.[1] 단핵구의 핵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이며, 종종 콩팥이나 말굽 모양처럼 보이도록 엽상/함입되어 있다.[4] 이 특징으로 과립구와 구별된다. 단핵구는 지름이 15um–22um로, 말초 혈액에서 가장 큰 세포 유형이다.[2][3] 인체 내 모든 백혈구의 2%에서 10%를 차지한다.[4]
단핵구는 골수에서 조혈모세포로부터 분화된 전구세포인 단핵모구(monoblast)로부터 생성된다.[5]
단핵구 아형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설명은 유세포 분석법을 통해 1980년대 후반에 이루어졌으며, 이때 CD16 양성 단핵구 집단이 기술되었다.[6][7] 오늘날 인간의 혈액에는 최소 세 가지 유형의 단핵구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39]
3. 생성 과정
4. 종류
# 고전적 단핵구(Classical monocyte): CD14 세포 표면 수용체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CD14++ CD16− 단핵구).
# 비고전적 단핵구(Non-classical monocyte): CD14를 낮은 수준으로 발현하며, CD16 수용체를 추가적으로 함께 발현한다 (CD14+CD16++ 단핵구).[9][40]
# 중간 단핵구(Intermediate monocyte): CD14를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고, CD16을 낮은 수준으로 발현한다 (CD14++CD16+ 단핵구).
인간의 경우, CD14 발현 수준을 사용하여 비고전적 단핵구와 중간 단핵구를 구별할 수 있지만, slan(6-Sulfo LacNAc) 세포 표면 마커가 두 세포 유형을 명확하게 분리하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10][11]
Ghattas 등의 연구진은 중간 단핵구 집단이 단순히 발달 단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고유한 단핵구 아집단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수리 과정과 관련된 표면 수용체(예: 혈관 내피 성장 인자 수용체 타입 1 및 2, CXCR4, Tie-2)를 비교적 높게 발현하며, 이 아집단이 골수에서 특별히 풍부하다는 증거를 제시했다.[12]
생쥐의 경우, 단핵구는 두 개의 하위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5. 기능
단핵구는 면역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평상시에는 조직에 상주하는 대식세포의 수를 유지하고 부족하면 보충하며,[44][37] 조직 감염 부위에서 염증 신호가 발생하면 약 8~12시간 내에 해당 부위로 이동한다.[44][37] 이동 후에는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나 수지상 세포로 분화한다.[44][37] 성인의 경우 단핵구 절반은 비장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동원된다.[45][38] 단핵구는 조혈 줄기 세포에서 유래한 단모세포 전구체로부터 골수에서 생성되며, 혈류에서 약 1~3일 정도 순환한 다음 일반적으로 신체 조직으로 이동하여 분화한다.[46] 단핵구는 혈액에서 가장 큰 세포 유형 중 하나이다.[46]
단핵구와 이들이 분화한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는 면역계에서 크게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탐식 작용, 항원 제시, 사이토카인 생성이다.
- 탐식 작용: 미생물이나 외부 입자를 세포 안으로 삼켜 소화하고 파괴하는 과정이다. 단핵구는 병원체를 표지하는 항체나 보체계 단백질(옵소닌)을 인식하여 탐식하거나, 병원체 표면의 특정 패턴을 직접 인식하는 패턴 인식 수용체를 통해 결합하여 탐식할 수 있다. 또한,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메커니즘을 통해 감염된 우리 몸의 세포를 직접 죽이기도 한다. 이물질을 삼킨 세포 내에는 액포(vacuole)가 관찰될 수 있다.
- 항원 제시: 탐식 작용 후 소화된 병원체의 조각(항원)을 자신의 세포 표면에 제시하는 기능이다. 이 조각은 MHC 분자와 결합하여 표면에 나타나며, 이를 T 림프구가 인식하여 특정 병원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킨다.
- 사이토카인 생성: 단핵구는 다양한 미생물 성분에 의해 직접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되면 TNF, IL-1, IL-12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고, 시간이 지나면 항염증성 사이토카인도 생성하여 면역 반응을 조절한다.
단핵구는 혈액 내에서 표면 표지자 발현 양상에 따라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세 가지 아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39]
구분 | 표면 표지자 | 주요 기능 |
---|---|---|
고전적 단핵구 | CD14++ CD16- | 높은 탐식 작용 능력, 염증 매개 물질 분비 |
비고전적 단핵구 | CD14+ CD16++[40] | 내피 순찰, 종양 괴사 인자 및 인터루킨-12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 다량 생산[22], PD-1 발현을 통한 면역 조절[23] |
중간 단핵구 | CD14++ CD16+ | 뛰어난 항원 제시 및 T 림프구 자극 능력[21] |
단핵구는 기계적으로 활성이 있는 세포이며,[17] 혈류를 따라 이동하며 내피를 따라 천천히 움직이면서 병원체를 감시하는 '순찰'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22] 이러한 단핵구의 이동(주화성)과 기능은 케모카인(예: 단핵구 주화성 단백질-1, 단핵구 주화성 단백질-3), 아라키돈산 대사 산물인 류코트리엔 B4와 5-HETE, 그리고 박테리아가 만드는 N-포르밀메티오닌 류실-페닐알라닌 같은 특정 펩타이드 등 다양한 신호 물질에 의해 조절된다.[24] 특히, 활성화된 단핵구에서 발현되는 PD-1 단백질은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신호를 전달하여, CD4 Th1 세포의 기능을 억제하고 CD4 Th2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23]
6. 분화
혈류를 순환하던 단핵구는 약 1~3일 후[46] 일반적으로 신체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나 수지상 세포로 분화한다.[46] 이렇게 이동한 단핵구는 기존에 조직에 상주하던 대식세포 집단을 보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18]
조직에서 분화된 대식세포는 높은 항균 능력과 탐식작용을 통해 이물질로부터 조직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18] 대식세포는 크고 매끄러운 핵, 넓은 세포질, 그리고 이물질 처리를 위한 많은 내부 소포를 가진다.[18] 일부 대식세포는 단핵구에서 유래하지만, 상당수는 난황낭이나 태아 간에서 출생 전에 이미 형성되기도 한다.[18]
한편, ''시험관 내''(in vitro) 환경에서는 특정 사이토카인인 과립구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GM-CSF)와 인터루킨 4(IL-4)를 첨가하면 단핵구가 수지상 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19]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세포는 전사체 수준에서 여전히 단핵구의 특징을 유지하고 있어, 진정한 의미의 수지상 세포와는 차이가 있다.[20]
7. 임상적 의의
단핵구 수는 전혈구 계산의 일부로 측정되며, 모든 백혈구 중 단핵구의 비율 또는 절대 수치로 표시된다. 이 수치는 질병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단핵구의 아집단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핵구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도 및 질병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5] 또한, 말초 혈액 내 단핵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단핵구증가증은 만성 염증, 스트레스 반응, 특정 질환 등 다양한 병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단핵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는 단핵구감소증 역시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정 단핵구 아형의 변화는 특정 질환과 연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CD14+CD16++ 단핵구의 증가는 심각한 감염(패혈증) 상태에서 관찰될 수 있으며, CD14++CD16+ 중간 단핵구의 증가는 죽상 동맥 경화증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 예측 인자로 활용될 수 있다.
7. 1. 단핵구증가증
단핵구증가증은 말초 혈액 내 단핵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다양한 질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26][27][28][29][30][31][32][33]단핵구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 만성 염증
- 당뇨병[26]
- 스트레스 반응[27]
- 쿠싱 증후군 (부신피질기능항진증)
- 면역 매개 질환
- 육아종성 질환
- 죽상동맥경화증[28]
- 괴사
- 적혈구 재생
- 바이러스 열
- 사르코이드증
- 만성 골수단핵구 백혈병 (CMML)
- 단식 해소[29]
특정 단핵구 아형의 증가는 특정 질환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CD14+CD16++ 단핵구 수치가 높은 것은 심각한 감염(패혈증) 상태에서 발견될 수 있다.[30] 또한, 죽상동맥경화증 환자에게서 CD14++CD16+ 중간 단핵구 수치가 높은 것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31][32]
만성 골수단핵구 백혈병(CMML)은 혈액 1마이크로리터당 단핵구 수가 지속적으로 1,00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CMML 환자의 단핵구 아형 분석 결과, 전형적인 단핵구가 우세하며 CD14lowCD16+ 단핵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33] 비전형적인 단핵구가 없다는 점은 CMML 진단에 도움이 되며, slan과 같은 표지자를 사용하면 진단의 특이성을 높일 수 있다.
7. 2. 단핵구감소증
단핵구감소증은 단핵구 부족과 관련된 백혈구 감소증의 한 형태이다. 단핵구 수가 매우 낮은 경우는 면역 억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치료 후에 나타날 수 있다.[36]또한, 구상체를 동반한 유전성 미만성 백질뇌병증 환자에게서 비전형적인 slan+ 단핵구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 질환은 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 수용체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된 신경 질환이다.[10]
참조
[1]
간행물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1971-08-01
[2]
간행물
ICSH recommendations for the standardization of nomenclature and grading of peripheral blood cell morphological features
2015
[3]
간행물
The Leeds Histology Guide
http://www.histology[...]
2018-04-28
[4]
간행물
How I investigate difficult cells at the optical microscope
2021
[5]
간행물
Revisiting hematopoiesis: applications of the bulk and single-cell transcriptomics dissecting transcriptional heterogeneity in hematopoietic stem cells
2022-03
[6]
간행물
The Monoclonal Antimonocyte Antibody My4 Stains B Lymphocytes and Two Distinct Monocyte Subsets in Human Peripheral Blood.
1988-12
[7]
간행물
Characterization of a human monocyte subpopulation coexpressing CD14 and CD16 antigens.
1989-11
[8]
간행물
Nomenclature of monocytes and dendritic cells in blood
2010-10-21
[9]
간행물
The CD14+ CD16+ blood monocytes: their role in infection and inflammation
2007-03
[10]
간행물
slan-defined subsets of CD16-positive monocytes: impact of granulomatous inflammation and M-CSF receptor mutation
2015-12-10
[11]
간행물
6-Sulfo LacNAc (Slan) as a Marker for Non-classical Monocytes
2019-09-13
[12]
간행물
Monocytes in Coronary Artery Disease and Atherosclerosis
2013-10
[13]
간행물
Nr4a1-Dependent Ly6Clow Monocytes Monitor Endothelial Cells and Orchestrate Their Disposal
2013-04
[14]
간행물
Monitoring of Blood Vessels and Tissues by a Population of Monocytes with Patrolling Behavior
2007-08-03
[15]
간행물
CCN1/CYR61-mediated meticulous patrolling by Ly6C low monocytes fuels vascular inflammation
2016-08-16
[16]
간행물
PD-L1 expression on nonclassical monocytes reveals their origin and immunoregulatory function
2019-06-21
[17]
간행물
Single-cell analysis reveals chemokine-mediated differential regulation of monocyte mechanics
[18]
서적
Janeway Immunologi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8
[19]
간행물
Dendritic cells use macropinocytosis and the mannose receptor to concentrate macromolecules in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lass II compartment: downregulation by cytokines and bacterial products.
1995-08-01
[20]
간행물
Novel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dendritic cell subsets in human and mouse revealed by genome-wide expression profiling
2008
[21]
간행물
Gene expression profiling reveals the defining features of the classical, intermediate, and nonclassical human monocyte subsets
2011-08-04
[22]
간행물
Heterogeneity in the Locomotory Behavior of Human Monocyte Subsets over Human Vascular Endothelium In Vitro
2015-08-01
[23]
간행물
Programmed death-1–induced interleukin-10 production by monocytes impairs CD4+ T cell activation during HIV infection
2010-04
[24]
간행물
Stimulating properties of 5-oxo-eicosanoids for human monocytes: synergism with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and -3.
https://www.jimmunol[...]
1996-11-15
[25]
간행물
Role of Monocytes/Macrophages in Covid-19 Pathogenesis: Implications for Therapy
2020-07-22
[26]
간행물
Bone Marrow Endothelial Cells Regulate Myelopoiesis in Diabetes
2020-04
[27]
간행물
Chronic variable stress activates hematopoietic stem cells
2014-07
[28]
간행물
Ly-6Chi monocytes dominate hypercholesterolemia-associated monocytosis and give rise to macrophages in atheromata
2007-01-02
[29]
간행물
Old and "hangry" monocytes turn from friend to foe under assault
2023
[30]
간행물
The novel subset of CD14+/CD16+ blood monocytes is expanded in sepsis patients
1993-11-15
[31]
간행물
CD14++CD16+ monocytes but not total monocyte numbers predict cardiovascular events in dialysis patients
2008-03
[32]
간행물
CD14++CD16+ Monocytes Independently Predict Cardiovascular Events
2012-10
[33]
간행물
1999-
[36]
논문
Selective depletion of CD14 + CD16 + monocytes by glucocorticoid therapy: Depletion of CD14+ CD16+ monocytes by glucocorticoids
1998-06
[37]
논문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Origin, nature, and fate of their azurophil granules
[38]
논문
Identification of Splenic Reservoir Monocytes and Their Deployment to Inflammatory Sites
[39]
논문
Nomenclature of monocytes and dendritic cells in blood
[40]
논문
The CD14+ CD16+ Blood Monocytes: their Role in Infection and Inflammation, Review
[41]
논문
CD14++CD16+ monocytes but not total monocyte numbers predict cardiovascular events in dialysis patients
[42]
논문
CD14++CD16+ monocytes independently predict cardiovascular events: a cohort study of 951 patients referred for elective coronary angiography
[43]
웹인용
백혈구 ; 인체정보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m.amc.seoul.k[...]
2020-04-23
[44]
저널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Origin, nature, and fate of their azurophil granules
https://www.ncbi.nlm[...]
1971-08
[45]
저널
Identification of splenic reservoir monocytes and their deployment to inflammatory sites
https://www.ncbi.nlm[...]
2009-07-31
[46]
웹인용
Histology Guide ; Blood
http://www.histology[...]
""
2020-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