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누비아스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누비아스속은 열대 우림의 하천이나 물속에서 서식하며, 수족관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생 식물이다. 아누비아스는 낮은 광량과 영양 요구량, 초식성 물고기가 먹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관리가 용이하며,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여 기른다. 인공 환경에서는 포기 분열이나 측면 싹으로 번식하며, 씨앗으로도 번식이 가능하다. 아누비아스속에는 다양한 종이 있으며, 특히 아누비아스 바테리는 여러 변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7년 기재된 식물 - 황벽나무
    황벽나무는 아시아 북동부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짙은 노란색 내피와 한약재 및 염료 사용, 특히 수피를 건조한 황백의 약용 효과, 그리고 목재 및 건강 보조 식품 활용이 특징이다.
  • 1857년 기재된 식물 - 풀또기
    풀또기는 관상 가치가 높아 정원수나 조경수로 이용되는 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이다.
  • 천남성아과 - 곤약
    곤약은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덩이줄기를 가공한 식품으로, 낮은 칼로리와 풍부한 식이섬유를 함유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용되며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식용으로 사용된다.
  • 천남성아과 - 아메리카토란속
    아메리카토란속은 남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중앙 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되는 천남성과 속으로, 독특한 꽃차례 구조와 풍뎅이 수분 전략을 가지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활용되고 가루는 저자극성 특성을 지닌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아누비아스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Anubias barteri var. nana on a bogwood (top view)
학명Anubias
명명자Schott
이명Amauriella Rendle
모식종A. afzelii
모식종 명명자Schott
하위 분류
Anubias afzelii
Anubias barteri
Anubias barteri var. angustifolia
Anubias barteri var. barteri
Anubias barteri var. caladiifolia
Anubias barteri var. coffeefolia
Anubias barteri var. glabra
Anubias barteri var. nana
Anubias gigantea
Anubias gilletii
Anubias gracilis
Anubias hastifolia
Anubias heterophylla
Anubias pynaertii

2. 생태

아누비아스속은 열대 우림의 숲 바닥을 흐르는 하천이나 물속에서 서식하며, 물가의 바위나 나무에 착생한다. 큰 나무에 의해 빛이 차단된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내음성이 강하며, 어두운 곳에서도 잘 자란다. 약간 경도가 있는 물을 선호하는 종이 많다.

3. 이용

''아누비아스''속, 특히 다양한 형태의 ''A. 바테리''[3]는 일반적으로 수족관에서 사용되며, 보통 바위나 유목에 부착된다.[3] 대부분의 식물과 달리, ''아누비아스''는 일반적으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하며 수중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다. 수족관에서는 그늘진 곳에 두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잎에 이끼가 생길 수 있다.[3]

''아누비아스''는 광량 및 영양 요구량이 매우 낮고, 초식성 물고기가 이것을 먹지 않기 때문에(몇 가지 예외는 존재) 많은 수족관 애호가들에게 유지 관리가 가장 쉬운 식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4] 이것이 바로 ''아누비아스''가 아프리카 시클리드금붕어가 있는 수족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식물 중 하나인 이유이다.[4]

인공 환경에서의 번식은 포기 분열 또는 측면 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포기는 생존을 위해 항상 기질 위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식물이 죽는다.[4] ''아누비아스''를 흙에 직접 심기보다는,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4] 이는 뿌리줄기와 뿌리가 묻히는 대신 노출될 때 성장하고 번성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4] 씨앗으로 ''아누비아스''를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4]

이 속의 모든 종의 자연적인 성장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 일반적으로 3주마다, 또는 더 느리게 잎을 생산한다.

''아누비아스''는 수면 위(수생)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팔루다리움에서 사용할 수 있다.

3. 1. 목적

아누비아스속 식물은 주로 독특한 잎을 감상하거나 착생하는 성질을 이용해 레이아웃을 만드는 수생 관엽식물로 취급된다.[3] 특히 A. 바테리는 수족관에서 널리 사용되며,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여 기른다. 대부분의 식물과 달리 아누비아스는 은은한 조명을 선호하며 수중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다. 수족관에서는 그늘진 곳에 두어야 잎에 이끼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4]

아누비아스는 유지 관리가 쉬운 식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낮은 광량과 영양 요구량, 그리고 초식성 물고기가 잘 먹지 않는 특성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프리카 시클리드금붕어가 있는 수족관에서도 기를 수 있다.

인공 환경에서는 포기 분열이나 측면 싹으로 번식시킬 수 있다. 포기는 생존을 위해 항상 기질 위에 있어야 하며, 흙에 직접 심기보다는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씨앗으로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아누비아스속 식물은 자연적인 성장 속도가 느린 편이며, 일반적으로 3주마다 잎을 하나씩 생산한다.

3. 2. 유통

유럽이나 동남아시아의 농장에서 재배된 것이 주로 유통되고 있지만, 현지에서 채집된 것도 유통된다. 수족관 세계에서는 비교적 대중적인 수초이며, 많은 가게에서 판매되고 있다.

3. 3. 재배

''아누비아스''속, 특히 다양한 형태의 ''A. 바테리''는 일반적으로 수족관에서 사용되며, 보통 바위나 유목에 부착된다.[3] 대부분의 식물과 달리, ''아누비아스''는 일반적으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하며 수중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다. 수족관에서는 그늘진 곳에 두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잎에 이끼가 생길 수 있다.[3]

''아누비아스''는 광량 및 영양 요구량이 매우 낮고, 초식성 물고기가 이것을 먹지 않기 때문에(몇 가지 예외는 존재) 많은 수족관 애호가들에게 유지 관리가 가장 쉬운 식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4] 이것이 바로 ''아누비아스''가 아프리카 시클리드금붕어가 있는 수족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식물 중 하나인 이유이다.[4]

인공 환경에서의 번식은 포기 분열 또는 측면 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포기는 생존을 위해 항상 기질 위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식물이 죽는다.[4] ''아누비아스''를 흙에 직접 심기보다는,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4] 이는 뿌리줄기와 뿌리가 묻히는 대신 노출될 때 성장하고 번성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4] 씨앗으로 ''아누비아스''를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4]

이 속의 모든 종의 자연적인 성장 속도는 상당히 느리다. 일반적으로 3주마다, 또는 더 느리게 잎을 생산한다.

''아누비아스''는 수면 위(수생)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팔루다리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살아있는 상태로 재배하며, 뿌리가 성장하여 활착할 때까지 고무줄이나 면실을 사용하여 돌이나 유목에 묶는다. 수중에서는 비교적 성장이 느리고, 잎이 조류에 덮여버리는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새우조개를 조류 제거 목적으로 수중에 도입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풀을 수면 위로 꺼내어 목초액 등을 뿌려 조류만 죽이는 방법도 있다. 원래는 수중보다 강가의 암반이나 쓰러진 나무 위에 서식하는 식물이므로, 테라리움이나 아쿠아테라리움 등 수면 위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수초 중에서는 비교적 쉽게 수중 환경에 순응하지만 건조에는 약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수면 위에서의 성장은 수중보다 약간 빠르다. 수중에서도 개화는 하지만, 수면 위에서는 꽃을 더 잘 피운다.

4. 번식

인공 환경에서는 포기 분열 또는 측면 싹으로 번식할 수 있다.[4] 포기는 생존을 위해 항상 기질 위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식물이 죽는다.[4] ''아누비아스''를 흙에 직접 심기보다는,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4] 이는 뿌리줄기와 뿌리가 묻히는 대신 노출될 때 성장하고 번성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4] 씨앗으로 ''아누비아스''를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4]

5. 아누비아스 속의 종

아누비아스 아프젤리이(''Anubias afzelii'' Schott), 아누비아스 바테리(''Anubias barteri'' Schott), 아누비아스 기간테아(''Anubias gigantea'' Chevalier ex Hutchinson), 아누비아스 질레티(''Anubias gilletii'' De Wildeman & Durand), 아누비아스 그라실리스(''Anubias gracilis'' Chevalier ex Hutchinson), 아누비아스 하스티폴리아(''Anubias hastifolia'' Engler), 아누비아스 헤테로필라(''Anubias heterophylla'' Engler), 아누비아스 피나에르티이(''Anubias pynaertii'' De Wildeman) 등 다양한 종과 변종이 알려져 있다.


  • 아누비아스 아프젤리이(''Anubias afzelii'' Schott): 좁은 잎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아누비아스로, 줄기를 가진 식물이다. 잎자루는 최대 20cm, 잎은 13–35cm 길이, 3–1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30cm이며, 22 - 28°C 온도, pH 6.0 - 7.0, 2 - 6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2개월마다 잎 1개 정도의 성장 속도를 보인다.

  • 아누비아스 바테리(''Anubias barteri'' Schott):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앙구스티폴리아''는 좁은 잎을 가졌으며 ''아프젤리이''와 유사하지만 훨씬 작다. 잎자루는 최대 32cm, 잎은 최대 18cm 길이, 최대 3.5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10-15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8.0, 8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2개월에 1개 잎 성장.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바테리''는 콤팩트하고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23cm, 잎은 7–23cm 길이, 4–11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45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9.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3개월에 1개 잎 성장.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칼라디폴리아''는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54cm, 잎은 10–23cm 길이, 5–14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7–30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2개월에 1개 잎 성장.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글라브라''는 좁은 잎을 가진 큰 아누비아스이다. 잎자루는 최대 35cm 길이이며, 잎은 창 모양으로 최대 21cm 길이, 9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30–50cm이며, 22 - 27°C 온도, pH 5.5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연간 잎 4-8개 성장.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나나''는 난쟁이, 기는 성질,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5cm 길이이며, 잎은 최대 6cm 길이, 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5–10cm이며, 22 - 27°C 온도, pH 5.5 - 9.0, 3 - 10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매달 잎 1개 성장.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커피폴리아''는 커피처럼 주름이 많고 쭈글쭈글한 잎을 가지고 있으며, 새싹은 커피 색과 비슷하다. 수중 육성보다 기중 육성이 더 용이하다.

  • 아누비아스 기간테아(''Anubias gigantea'' Chevalier ex Hutchinson): 큰 화살표 모양의 잎을 가졌으며, 잎자루는 최대 83cm 길이다. 잎은 최대 30cm 길이, 14cm 너비이며, 최대 28cm 길이, 10cm 너비의 큰 측면 엽이 있다. 수족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아누비아스 질레티(''Anubias gilletii'' De Wildeman & Durand): 처음에는 심장 모양이었다가 나중에는 긴 뒷가장자리를 가진다. 잎자루는 최대 40cm이며, 잎은 화살표 모양으로 25cm 길이, 12–13cm 너비이고, 측면 엽은 최대 13cm 길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40cm이며, 22 - 27°C 온도, pH 6.0 - 8.0, 4 - 10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연간 잎 2-6개 성장.

  • 아누비아스 그라실리스(''Anubias gracilis'' Chevalier ex Hutchinson): 잎자루는 최대 33cm이며, 잎은 삼각형 심장 모양으로 12cm 길이, 4–10cm 너비이고, 측면 엽은 최대 7cm 길이, 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0–30cm이며, 24 - 27°C 온도, pH 6.0 - 8.0, 5 - 12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연간 잎 2-6개 성장.

  • 아누비아스 하스티폴리아(''Anubias hastifolia'' Engler): 긴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으며, 잎자루는 최대 67cm 길이다. 잎은 최대 33cm 길이, 14cm 너비이며, 측면 엽은 최대 26cm 길이, 8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30–50cm이며, 22 - 27°C 온도, pH 6.0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연간 잎 2-6개 성장.

  • 아누비아스 헤테로필라(''Anubias heterophylla'' Engler): 매우 큰 종으로, 키가 큰 수족관에 적합하다. 잎자루는 최대 66cm 길이며, 잎은 38cm 길이, 13cm 너비이고, 때로는 매우 짧은 기저엽이 있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60cm이며, 24 - 27°C 온도, pH 5.5 - 8.0, 5 - 12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연간 잎 2-4개 성장.

  • 아누비아스 피나에르티이(''Anubias pynaertii'' De Wildeman): 잎자루는 최대 45cm이며, 잎은 최대 29cm 길이, 14cm 너비이다.

5. 1. 주요 종 및 변종

아누비아스 아프젤리이(''Anubias afzelii'' Schott), 아누비아스 바테리(''Anubias barteri'' Schott), 아누비아스 기간테아(''Anubias gigantea'' Chevalier ex Hutchinson), 아누비아스 질레티(''Anubias gilletii'' De Wildeman & Durand), 아누비아스 그라실리스(''Anubias gracilis'' Chevalier ex Hutchinson), 아누비아스 하스티폴리아(''Anubias hastifolia'' Engler), 아누비아스 헤테로필라(''Anubias heterophylla'' Engler), 아누비아스 피나에르티이(''Anubias pynaertii'' De Wildeman) 등 다양한 종과 변종이 알려져 있다.

  • 아누비아스 아프젤리이(''Anubias afzelii'' Schott): 좁은 잎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아누비아스로, 줄기를 가진 식물이다. 잎자루는 최대 20cm, 잎은 13–35cm 길이, 3–1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30cm이며, 22 - 28°C 온도, pH 6.0 - 7.0, 2 - 6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2개월마다 잎 1개 정도의 성장 속도를 보인다.

  • 아누비아스 바테리(''Anubias barteri'' Schott):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앙구스티폴리아''는 좁은 잎을 가졌으며 ''아프젤리이''와 유사하지만 훨씬 작다. 잎자루는 최대 32cm, 잎은 최대 18cm 길이, 최대 3.5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10-15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8.0, 8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바테리''는 콤팩트하고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23cm, 잎은 7–23cm 길이, 4–11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45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9.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칼라디폴리아''는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54cm, 잎은 10–23cm 길이, 5–14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7–30cm이며, 20 - 27°C 온도, pH 5.5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글라브라''는 좁은 잎을 가진 큰 아누비아스이다. 잎자루는 최대 35cm 길이이며, 잎은 창 모양으로 최대 21cm 길이, 9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30–50cm이며, 22 - 27°C 온도, pH 5.5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나나''는 난쟁이, 기는 성질,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다. 잎자루는 최대 5cm 길이이며, 잎은 최대 6cm 길이, 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5–10cm이며, 22 - 27°C 온도, pH 5.5 - 9.0, 3 - 10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 ''아누비아스 바테리'' var. ''커피폴리아''는 커피처럼 주름이 많고 쭈글쭈글한 잎을 가지고 있으며, 새싹은 커피 색과 비슷하다. 수중 육성보다 기중 육성이 더 용이하다.

  • 아누비아스 기간테아(''Anubias gigantea'' Chevalier ex Hutchinson): 큰 화살표 모양의 잎을 가졌으며, 잎자루는 최대 83cm 길이다. 잎은 최대 30cm 길이, 14cm 너비이며, 최대 28cm 길이, 10cm 너비의 큰 측면 엽이 있다. 수족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아누비아스 질레티(''Anubias gilletii'' De Wildeman & Durand): 처음에는 심장 모양이었다가 나중에는 긴 뒷가장자리를 가진다. 잎자루는 최대 40cm이며, 잎은 화살표 모양으로 25cm 길이, 12–13cm 너비이고, 측면 엽은 최대 13cm 길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40cm이며, 22 - 27°C 온도, pH 6.0 - 8.0, 4 - 10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아누비아스 그라실리스(''Anubias gracilis'' Chevalier ex Hutchinson): 잎자루는 최대 33cm이며, 잎은 삼각형 심장 모양으로 12cm 길이, 4–10cm 너비이고, 측면 엽은 최대 7cm 길이, 3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20–30cm이며, 24 - 27°C 온도, pH 6.0 - 8.0, 5 - 12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아누비아스 하스티폴리아(''Anubias hastifolia'' Engler): 긴 심장 모양의 잎을 가졌으며, 잎자루는 최대 67cm 길이다. 잎은 최대 33cm 길이, 14cm 너비이며, 측면 엽은 최대 26cm 길이, 8cm 너비이다. 수족관 내 높이는 30–50cm이며, 22 - 27°C 온도, pH 6.0 - 8.0, 20 dGH 이하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아누비아스 헤테로필라(''Anubias heterophylla'' Engler): 매우 큰 종으로, 키가 큰 수족관에 적합하다. 잎자루는 최대 66cm 길이며, 잎은 38cm 길이, 13cm 너비이고, 때로는 매우 짧은 기저엽이 있다. 수족관 내 높이는 25–60cm이며, 24 - 27°C 온도, pH 5.5 - 8.0, 5 - 12 dGH의 물 경도에서 잘 자란다.

  • 아누비아스 피나에르티이(''Anubias pynaertii'' De Wildeman): 잎자루는 최대 45cm이며, 잎은 최대 29cm 길이, 14cm 너비이다.

6. 관리

대부분의 아누비아스 종은 은은한 조명을 선호하며 수중에서도 꽃을 피울 수 있다.[3] 수족관에서는 그늘진 곳에 두어야 잎에 이끼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3]

아누비아스는 광량 및 영양 요구량이 매우 낮고, 초식성 물고기가 잘 먹지 않아 관리가 쉽다.[4] 이러한 특성 덕분에 아프리카 시클리드나 금붕어가 있는 수족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식물 중 하나이다.[4]

인공 환경에서는 포기 분열 또는 측면 싹으로 번식할 수 있다.[4] 포기는 생존을 위해 항상 기질 위에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썩어서 식물이 죽는다.[4] 아누비아스를 흙에 직접 심기보다는 바위나 유목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4] 뿌리줄기와 뿌리가 묻히는 대신 노출될 때 성장하고 번성할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이다.[4] 씨앗으로 번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4]

자연적인 성장 속도는 상당히 느려, 일반적으로 3주마다, 또는 더 느리게 잎을 생산한다.

참조

[1] 논문 A revision of Anubias Schott (Araceae). (Primitiae Africanae XII) http://edepot.wur.nl[...] 2010-12-26
[2] 논문 Aroideen Skizzen 1857-12
[3] 서적 Aquarium Plants https://archive.org/[...] Krieger Publishing Company
[4] 논문 Die Gattung ''Anubias'' SCHOTT (Araceae)
[5] 간행물 Nova acta Academiae Caesareae Leopoldino-Carolinae Germanicae Naturae Curiosorum 39: 147
[6] 간행물 Oesterreichisches Botanisches Wochenblatt 7: 398
[7] 논문 A revision of Anubias Schott (Araceae). (Primitiae Africanae XII) http://edepot.wur.nl[...] 2010-12-26
[8] 논문 Die Gattung ''Anubias'' SCHOTT (Arace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