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새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새우는 십각목에 속하는 갑각류의 일종으로, 전 세계의 다양한 수역에 서식하며 식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분류학적으로는 수정란을 수중에 방출하는 근새아목과 알을 복지에 품어 보호하는 포란아목으로 나뉘며, 전통적으로는 유영아목과 보행아목으로 구분되기도 했다. 새우는 머리, 가슴, 배로 구성된 몸체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부속지를 통해 이동, 먹이 섭취, 호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새우는 잡식성이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인간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어업과 양식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성 해산물 - 홍합
    홍합은 수질 오염 지표로 활용되며 검은색 껍데기와 푸른색 속살을 가지며 식용으로 이용되고 족사는 접착제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는 조개류이다.
  • 동물성 해산물 - 복어
    복어는 몸을 부풀려 방어하고 독을 지닌 물고기로, 섭취 시 신경 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자격증을 갖춘 요리사가 조리하면 식용으로 사용되며, 한국, 일본 등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된다.
  • 십각목 - 징거미새우
    징거미는 여러 환경에 살며 생태계를 유지하는 갑각류로, 애완용, 낚시 미끼, 식용으로 사용될 뿐 아니라 문화적 소재로도 활용된다.
  • 십각목 -
    쏙은 십각목 쏙과에 속하는 갑각류로, 갯벌에 굴을 파고 서식하며 낚시 미끼나 식재료로 이용된다.
  • 식용 갑각류 - 바닷가재
    바닷가재는 집게발을 가진 바닷가재과의 갑각류로, 단단한 외골격, 푸른색 피, 긴 수명, 다양한 해저 서식지, 잡식성 특징을 가지며 식용으로 활용되지만 종교적으로 금기시되기도 하고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54종이 알려져 있다.
  • 식용 갑각류 - 대게
    대게는 북서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해역에 서식하는 암적색의 십각목 홍게과 게로,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높지만 과도한 어획과 기후변화로 개체 수 감소 문제가 심각하며, 수컷과 암컷에 따라 다양한 지역 명칭으로 브랜드화되어 판매된다.
새우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학명Macrura
명명자Latreille, 1802
한국어 이름에비 (해로, 蝦)
영어 이름Shrimp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아목장미아목 (폐지)
하위 분류근새아목
포란아목의 일부
오토히메에비하목
코에비하목
가재하목
무카시이세에비하목
아나에비하목
아나자코하목
이세에비하목
센쥬에비하목
형태
크기2 cm ~ 25 cm
참고 자료
인용 웹해양 생물에 대한 정보
인용 저널흰 새우 (Penaeus setiferus)의 남획

2. 분류

새우는 길고 가는 근육질의 배와 긴 더듬이를 가진 헤엄치는 갑각류이다. 바닷가재와 달리, 새우는 잘 발달된 배다리(수영다리)와 가는 다리를 가지고 있어 걷기보다는 헤엄치기에 더 적합하다. 과거에는 걷기와 헤엄치기의 차이가 유영아목과 보행아목이라는 아목 분류의 주요 기준이었다.[9]

새우는 크게 두 아목으로 나눌 수 있다. 수정란을 물속에 바로 방출하는 근새아목(Dendrobranchiata)과 알을 배다리에 품어 보호하는 포란아목(Pleocyemata)이다. 포란아목에는 집게류와 게도 포함된다.

다음 분류는 De Grave 등 (2009년)의 연구를 따른다.[141]

'''근새아목 (Dendrobranchiata)'''

암컷이 수정란을 품지 않고 물속에 방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알은 물속을 떠다니며 발생하고, 유생 시기에는 플랑크톤으로 생활한다.



'''포란아목 (Pleocyemata)'''

암컷이 수정란을 배다리에 붙여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유생 시기는 근새아목처럼 플랑크톤으로 보내지만, 일부 종은 알 속에서 유생 시기를 보내고 부화하기도 한다. 집게류와 게도 이 아목에 속한다.

2. 1. 명칭

일본어의 えび|에비일본어는 원래 포도 또는 그 색깔을 의미했다. 포도 색깔과 비슷하다는 점에서 새우를 えび|에비일본어라고 부르게 되었다. 현재도 葡萄色|포도색일본어이라고 쓰고 えびいろ|에비이로일본어라고 읽는 관습이 남아 있다. 한자 표기인 海老|해로일본어나 蛯일본어는 굽은 허리와 긴 수염을 늙은이에 비유한 것이다.[122] 한자 표기인 鰕일본어나 蝦일본어는 중국에서도 새우를 의미하는 한자이다.[122] 한자 표기에 대해, 일본왕새우 등 바다 밑을 걷는 대형 새우류를 海老일본어, 螧일본어, 또는 蛯일본어로, 벚꽃새우 등 바다 속을 헤엄치는 소형 새우를 蝦일본어, 魵일본어, 또는 鰕일본어로 표기한다고 말해지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지는 않다.

영어에서의 명칭은 크기에 따라 나뉘어 있으며, 보리새우 정도의 크기는 prawn|프론영어, 작은 새우는 shrimp|슈림프영어라고 한다. 그러나 “새우(shrimp)”와 “대하(prawn)”는 일반 명칭이지 학명이 아니다. 이들은 구어 또는 속어로, 과학 용어처럼 공식적인 정의가 없다. 이들은 분류군이 아니며, 경계의 의미가 거의 없는 편의상의 용어이다.[11] 갑각류 분류학자인 찬 틴얌(Tin-Yam Chan)에 따르면, “‘새우’와 ‘대하’라는 용어는 알려진 어떤 분류군에도 명확하게 대응하지 않는다. ‘새우’라는 용어가 때때로 더 작은 종에 적용되는 반면, ‘대하’는 더 큰 종에 더 자주 사용되지만, 두 용어 사이에는 명확한 구분이 없으며, 사용법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혼란스럽거나 심지어 반대이기도 하다.”[110] 1980년에 저술한 L. B. 홀트후이스는 “단일 지역 내에서도” ‘대하’와 ‘새우’라는 용어가 일관되지 않게 사용되었으며, 미국에서는 상업적으로 어획되는 더 큰 종을 일반적으로 ‘새우’라고 부르고, 다른 영어권 국가에서는 ‘대하’라고 부르지만 예외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일반화했다.[111]

큰발가재새우. 대하는 때때로 큰 새우 또는 민물 새우라고 불리지만, 이 큰 민물 생물은 카리데아류 새우이며, 대하라고 거의 불리지 않는다.


“새우(shrimp)”라는 용어의 범위를 둘러싸고 많은 혼란이 있으며, 혼란의 일부는 작다는 연상에서 비롯된다. 이는 작지 않은 새우와 같은 종에 문제를 야기한다. “점보 새우”라는 표현은 모순어로 볼 수 있는데, “점보 대하”라는 상업적 명칭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제이다.[112] “새우(shrimp)”라는 용어는 14세기경 중세 영어 shrimpeenm에서 유래했는데, 중세 저지 독일어 schrempengml과 유사하며, 수축하거나 주름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고대 노르웨이어 skorpnanon는 시들어 말라붙는 것을 의미하거나, skreppanon는 마른 사람을 의미한다.[113][114] “대하(prawn)”라는 용어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 단어의 초기 형태는 15세기 초 영국에서 “prayne, praine” 및 “prane”으로 나타났다.[115][116][117] 언어학자 아나톨리 리버만에 따르면, 영어에서 “새우(shrimp)”가 “작다”와 어떻게 연관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어떤 게르만어도 새우를 크기와 연관짓지 않는다… 로망스어도 마찬가지다… 어떤 상황에서 그 이름이 갑각류에 적용되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118]

유럽에서 새우와 대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는 유럽 해안선을 따라 수많이 발견되는 보통 새우와 보통 대하에 의해 형성되었다. 보통 새우, ''Crangon crangon''은 1758년 칼 린네에 의해 분류되었고, 보통 대하, ''Palaemon serratus''는 1777년 토마스 페넌트에 의해 분류되었다. 보통 새우는 작은 굴착 종으로 새우가 작다는 개념과 일치하는 반면, 보통 대하는 훨씬 크다. “진짜 새우” 또는 “진짜 대하”라는 용어는 특정인이 새우 또는 대하라고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때때로 사용된다.[11] 이것은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그러한 용어는 “새우”와 “대하” 자체에 과학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과학 문헌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수년에 걸쳐 “새우”와 “대하”의 사용 방식이 바뀌었고, 현재 이 용어들은 거의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때때로 일부 생물학자들은 특정 일반 명칭을 특정 분류군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선언하지만, 이러한 명칭의 일반적인 사용은 변함없이 계속되는 것으로 보인다.[11][119]

참고로, 물방개새우, 벼룩새우, 가재붙이, 지네새우, 갯지렁이새우, 새미새우, 잎새우, 옆새우, 갯가재(갯가재새우) 등은 이름에 “새우”가 붙어 있거나, 생김새가 새우와 비슷하지만, 모두 십각류가 아닌 다른 계통이며, 갑각류이기는 하지만 새우는 아니다. 꼬마새우는 새우와 마찬가지로 십각류이고 영어 명칭도 “squat lobster”이지만, 소라게 등과 함께 이미류에 포함되어 있으며, 새우는 아니다.

3. 형태

유럽갈색새우(''Crangon crangon'')의 구조


새우의 몸은 와 마찬가지로 키틴질을 포함하는 단단한 외골격으로 덮여 있으며, 여러 개의 몸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몸은 크게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머리와 가슴은 하나로 합쳐져 두흉부를 이루고, 이는 두흉갑이라는 단단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124] 두흉갑은 머리 부분 뒷가장자리 피부 주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통 아가미를 둘러싸고 보호한다.[17] 눈마디를 포함하면 머리는 6마디, 가슴은 8마디, 배는 7마디로 총 21개의 몸마디로 구성된다.

각 몸마디에는 기본적으로 한 쌍의 부속지가 있으며, 총 19쌍의 부속지가 부위에 따라 형태와 기능이 분화되어 있다.[124]

  • 머리 부속지 (5쌍): 겹눈 사이에는 보통 움직이지 않는 뾰족한 인 이마뿔(rōstrum|로스트룸la)이 있다. 이마뿔은 갑각이 앞으로 단단하게 연장된 것으로, 공격이나 방어, 또는 뒤로 헤엄칠 때 몸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3][10] 두 개의 겹눈은 안자루 위에 달려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움직임 감지에 뛰어나다. 두 쌍의 더듬이는 감각 기관으로 기능하는데, 긴 더듬이는 주변 환경 파악에, 짧은 더듬이는 먹이 탐색에 주로 쓰인다.[3][10] 그 외에 먹이를 씹는 큰턱과 작은턱(2쌍)이 있다.
  • 가슴 부속지 (8쌍): 앞의 3쌍은 턱다리로, 먹이를 잡거나 입으로 옮기는 등 입틀의 일부로 기능한다. 뒤의 5쌍은 가슴다리(pereiopods)로, 십각목의 특징인 10개의 다리를 이룬다. 이 다리들은 걷거나 기어 다니는 데 사용되며, 일부 종에서는 앞쪽 한두 쌍이 집게(chelae) 형태로 발달하여 먹이를 잡거나 싸우는 데 쓰인다.[3][10][11][15]
  • 배 부속지 (6쌍): 배는 6개의 마디로 나뉘며, 각 마디는 얇은 껍질로 덮여 있고 내부에 잘 발달된 근육이 있다. 앞 5개 마디에는 각각 한 쌍의 배다리(pleopods)가 달려 있어 주로 앞으로 헤엄치는 데 사용된다. 종에 따라 알을 품거나 호흡 보조, 교미 등에 이용되기도 한다. 마지막 여섯 번째 마디는 미절(telson)로 끝나며, 양옆에 납작한 부속지인 미부 2쌍이 붙어 있다. 미절과 미부가 함께 부채 모양의 꼬리 부채(tail fan)를 형성하며, 헤엄칠 때 방향을 조절하는 키 역할을 한다.


새우는 새우 도약을 통해 뒤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새우는 위험을 감지하면 배 근육을 이용해 꼬리 부채를 강하게 아래로 튕겨 순간적으로 뒤로 빠르게 도약하여 도망친다. 이를 새우 도약 반응(caridoid escape reaction)이라고 한다.[3][10][11]

새우는 성장 과정에서 낡은 외골격을 벗는 탈피를 반복하며, 이때 손상되거나 잃어버린 부속지를 재생하기도 한다.

내부에는 호흡계, 소화계, 순환계, 배설계, 신경계, 감각 기관, 근육계 등이 있다. 호흡은 주로 가슴다리 부근에 위치하고 두흉갑으로 덮인 아가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감각 기관으로는 눈 외에도 몸의 평형을 감지하는 평형포, 촉각 기능을 하는 감각털 등이 있다.

새우


바닷가재




새우는 바닷가재와 같은 다른 십각목 갑각류와 형태적으로 구분된다. 새우는 일반적으로 길고 가는 몸통과 잘 발달된 배, 긴 더듬이를 가지며 헤엄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진다. 반면 게는 배가 매우 작고 짧으며 두흉갑 아래로 접혀 있고, 넓고 납작한 두흉갑과 짧은 더듬이를 가진다. 바닷가재는 새우와 비슷하게 크고 긴 배를 가지지만, 몸통이 더 크고 튼튼하며 집게발이 크게 발달한 경우가 많다. 이동 방식에서도 새우는 배다리를 이용한 유영이 중요하지만, 바닷가재와 게는 주로 튼튼한 가슴다리를 이용해 해저를 걷는다.[3][10][12][11][38][13][14]

3. 1. 생태

새우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대부분의 해안과 하구의 해저뿐만 아니라 강과 호수에서도 발견된다. 수많은 종이 존재하며, 각 종은 특정 서식지에 적응한 모습을 보인다.[3] 대부분의 새우 종은 바다에 서식하는 해양성이지만, 기재된 종의 약 4분의 1은 담수에서 발견된다.[16] 해양 종은 열대 지방부터 극지방까지 분포하며, 최대 5000m 깊이의 심해에서도 서식한다.[17] 거의 모든 새우는 물속에서 생활하지만, ''Merguia'' 속의 두 종은 예외적으로 맹그로브 육지에서 상당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생활을 한다.[18][19]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새우를 찾아볼 수 있다.

서식지주요 종류
담수긴팔새우류, 줄새우, 민물새우류
타이드풀이나 잘피밭갯줄새우, 북방새우
얕은 바다 모래/진흙 바닥총새우, 보리새우, 흰다리새우, 시바새우, 털새우, 부채새우
얕은 바다 산호초나 암초살사새우, 숨은새우류
심해벚꽃새우, 흰새우, 붉은새우(단새우), 붉은대하



대부분의 새우는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17] 크기가 작은 새우는 주로 플랑크톤을 먹고, 몸집이 큰 새우는 바다 바닥에 사는 유기물을 먹는다. 일부 종은 특정한 섭식 방식에 특화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이 있는 다리를 체처럼 사용하여 물속의 부유물을 걸러 먹는 여과 섭식을 하거나, 바위에 붙은 조류를 긁어먹기도 한다.[17] 청소 새우로 알려진 종들은 다른 물고기의 몸에 붙은 기생충이나 죽은 조직(괴사 조직)을 먹으며 공생 관계를 이루기도 한다.[17]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는 동족을 잡아먹는 경우도 보고되었다.[17] 반대로 새우는 물고기나 바닷새 등 다양한 포식자의 중요한 먹이가 되며, 때로는 보피리다과에 속하는 기생충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17]

새우는 주로 가슴다리를 이용해 걷거나(파행류), 배다리를 움직여 헤엄친다(유영류). 평소에는 천천히 앞으로 이동하지만, 위협을 느끼면 배를 빠르게 굽혔다 펴는 동작으로 순식간에 뒤로 도약하는 새우 도약 반응을 보인다.[3][10][11] 일부 종들은 계절에 따라 서식지를 옮기는 회유를 하는데, 보통 여름철에는 연안이나 얕은 곳으로 이동하고 겨울철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산란기가 되면 이른 봄이나 여름에 번식을 위해 연안, 내만, 내해의 얕은 곳으로 모여들기도 한다.

새우의 종류에 따라 독특한 행동 양식을 보이기도 한다.


  • 도둑게 새우류는 좌우 크기가 다른 비대칭적인 집게를 가지며, 특히 큰 집게를 부딪쳐 '딱'하는 매우 큰 소리를 낼 수 있다. 이 소리는 매우 커서 소나 탐지나 수중 통신을 방해할 정도이며,[22][23][24] 때로는 이 소리로 작은 먹이를 기절시키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약 600종이 분포한다.[21]
  • 작은 크기의 황제 새우는 바다 민달팽이나 바다 오이와 같은 다른 해양 생물과 함께 살아가며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이들은 숙주 동물의 몸 표면을 청소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25]
  • 눈이 먼 호랑이 도둑게 새우는 시력이 좋은 노란 갯지렁이와 짝을 이루어 생활하는 경우가 있다. 새우는 안전한 굴을 파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갯지렁이는 굴 입구에서 포식자의 접근을 감시하는 파수꾼 역할을 한다.


새우의 생식 과정은 교미, 수정, 산란, 포란, 부화, 그리고 유생 발생 단계로 이루어진다. 암컷은 알을 낳은 후 배다리에 붙여서 부화할 때까지 보호하는데, 이를 포란이라고 한다. 갓 부화한 유생은 매우 작은 플랑크톤 형태로, 몇 차례의 탈피와 변태 과정을 거치며 점차 성체 새우의 모습을 갖추게 된다. 이 유생 단계는 보통 2주에서 4주 정도 소요된다.

민물새우의 일종인 *Caridina ensifera* 암컷은 여러 수컷으로부터 받은 정자를 몸 안에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한 배에서 나온 새끼들이라도 아비가 다른 경우가 있다.[26] 연구에 따르면, 암컷은 유전적으로 자신과 거리가 먼 수컷의 정자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26] 이는 근교 약세(가까운 친척 간의 교배로 인해 자손의 생존력이나 번식 능력이 떨어지는 현상)를 피하고 자손의 유전적 다양성과 생존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27]

3. 2. 인간과의 관계

소금 위에 구워 먹는 새우구이


태국의 새우 요리인 꿍솟 섀 남쁘라


새우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어 세계 각국에서 귀중한 식량 자원으로 이용된다. 한국 연안과 민물에도 약 80여 종이 서식하며,[128] 다양한 요리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동물 사료나 낚시 미끼로도 쓰인다. 전 세계 새우 어획량의 상당 부분이 아시아에서 이루어지며, 새우 양식 또한 활발하다.

새우는 새우튀김, 새우구이, 새우젓, 새우볶음밥, 새우 초밥, 새우찜, 새우 버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식재료이다. 삶아서 말리거나 찌개, 탕 등 국물 요리에도 널리 쓰인다.

오래전부터 인류는 새우를 식용해왔다. 멕시코에서는 고대에 새우를 말리던 시설의 흔적이 발견되었고,[60][61] 북미 남동부 해안에서는 기원전 600년경의 새우잡이 증거가 확인되었다.[62][63][65] 고대 로마폼페이 유적에서는 새우 장식이 있는 점토 용기가 발견되었으며,[65] 고대 그리스의 작가 아테네오스는 그의 저서 ''데이프노소피스타이''에서 "모든 생선 중 가장 맛있는 것은 무화과 잎에 싸인 어린 새우"라고 언급하며 새우를 맛있는 음식으로 묘사했다.[64]

북미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나무나 식물 섬유로 만든 어로장벽과 덫, 그물 등을 이용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새우를 잡았다. 이후 유럽 정착민들이 1735년 프랑스에서 해변 저인망 어업을 도입했으며, 루이지애나의 케이준 어부들은 흰 새우를 잡아 햇볕에 말리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에는 캘리포니아 골드러시에 참여했던 중국 이민자들이 샌프란시스코 만에서 작은 새우(''Crangon franciscorum'')를 잡아 말려 수출하면서 미국 새우 산업이 시작되었다.[65] 20세기 들어 내연 기관과 오터 트롤의 발달로 저인망 어업이 산업화되었고, 초기에는 햇볕 건조나 통조림 방식으로 가공되던 새우는 냉동 기술의 발달로 전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주요 수산물이 되었다.[65]

1970년대부터는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새우 양식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수요 증가와 자연산 어획의 문제점 등이 맞물려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성장했다.[65] 2007년 이후로는 양식 생산량이 자연산 어획량을 넘어서는 등[59] 중요한 공급원으로 자리 잡았다. (상세한 어업 및 양식 현황은 #어업 및 양식 참조)

새우는 식용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낚시 미끼나 동물 사료로 쓰이기도 하며, 체리새우 (''Neocaridina heteropoda''), 아마노새우 (''Caridina multidentata''), 대나무새우 등 일부 종은 관상용으로 수족관에서 길러지기도 한다.[109] 또한, 윌리엄 호가스의 그림 ''새우 소녀''처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Caridina cantonensis'' 순백색 새우


''Neocaridina heteropoda var. red'' 체리 새우


''Caridina cantonensis'' 크리스탈 레드 비 새우


한편, 일반적으로 '새우'라고 불리는 생물 중에는 십각목이 아닌 다른 갑각류도 많다. 생물학자 Greg Jensen은 "새우는 바닷가재, 따개비 또는 게가 아닌 거의 모든 갑각류를 의미하는 것 같다"고 언급하기도 했다.[3] 예를 들어 브라인 새우, 조개 새우, 요정 새우, 올챙이 새우(이상 새각류), 장구벌레새우, 물벼룩, 유령 새우(이상 연갑류), 씨앗 새우(패각류) 등이 '새우'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3] 이들은 생김새나 생태가 우리가 흔히 식용하는 십각목 새우와는 매우 다르다.[11] 크릴 역시 작은 새우와 비슷하여 "크릴 새우"라고 불리기도 한다.[43][44]

3. 2. 1. 영양

새우는 다른 해산물처럼 단백질, 칼슘, 요오드가 풍부하면서도 식품 에너지는 낮다.[105] 풍부한 칼슘은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밀도 강화에 도움을 주어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타우린키토산 성분은 혈관 속 유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주며, 뇌세포 활성화를 촉진해 기억력, 인지능력 등 뇌 기능 향상에도 기여한다. 맛의 기본이 되는 다양한 아미노산 역시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128]

새우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고 수은 함량은 낮다.[104] 콜레스테롤의 중요한 공급원이기도 한데, 조리 방법에 따라 100g당 122mg에서 251mg의 콜레스테롤을 함유한다.[105] 하지만 새우에는 포화지방이 많이 들어있지 않아, 오히려 LDL과 HDL 콜레스테롤 비율을 개선하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순환계 건강에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106]

다만, 새우는 갑각류 중에서도 가장 흔한 식품 알레르겐 중 하나이므로[108][129]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3. 2. 2. 어업 및 양식



=== 어업 ===

새우를 상업적으로 잡는 데는 주로 저인망 어업, 주낙, 통발, 자망 등이 이용된다.[92] 저인망 어업은 배로 그물을 끌어 해저의 새우를 잡는 방식이며, 태평양 북서부 일부 지역에서는 미끼를 넣은 통발을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 연안에서는 통발이나 자망을 이용한 어획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새우 저인망 어업은 목표종 외에 다른 해양 생물을 함께 잡는 부수 어획 비율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997년 FAO(유엔식량농업기구) 보고에 따르면, 새우 약 0.45kg를 잡기 위해 최대 약 9.07kg의 다른 생물이 함께 잡혔다가 버려졌으며, 세계 평균은 약 2.59kg에 달했다.[92] 저인망, 특히 새우 저인망은 어류나 고래류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93] 부수적으로 잡혔다가 다시 바다에 버려지는 생물들은 대부분 죽거나 죽어가는 상태이며, 이는 해당 해역의 생태계 균형을 교란할 수 있다.[94] 전 세계적으로 새우 저인망 어업은 전체 어획량의 약 2%에 불과하지만, 전 세계 부수 어획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적으로 수천 종의 새우가 있지만, 상업적으로 중요한 종은 약 20종에 불과하다. 주요 상업용 새우는 대부분 덴드로브란키아타(Dendrobranchiata) 아목에 속하며, 그중 상당수는 펜네우스 새우(penaeid shrimp)이다. 가장 많이 어획되는 종은 아키아미 새우(*Acetes japonicus*), 북방새우(*Pandalus borealis*), 남방거친새우(*Trachysalambria curvirostris*) 등이다. 이들 종이 야생 포획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전 세계 야생 새우 포획량은 양식 새우 생산량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59]

주요 상업용 새우 종 (2010년 FAO 통계 기준)[59]
분류일반명학명최대 길이 (mm)서식 수심 (m)서식지2010년 생산량 (천 톤)
자연산양식산총계
덴드로브란키아타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2300–72해양, 기수127212722
홍다리얼룩새우 (블랙타이거)Penaeus monodon Fabricius, 17983360–110해양, 기수210782992
아키아미 새우Acetes japonicus Kishinouye, 190530얕은 곳해양574-574
남방거친새우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1860)9813–150해양294-294
중국흰새우Fenneropenaeus chinensis (Osbeck, 1765)18390–180해양10845153
바나나새우Fenneropenaeus merguiensis (De Man, 1888)24010–45해양, 기수9320113
카리데아북방새우Pandalus borealis (Krøyer, 1838)16520–1380해양361-361
기타 모든 종14902201710
총계312937886917



=== 양식 ===



새우 양식은 사람이 소비하기 위한 새우를 기르는 수산업의 한 형태이다. 상업적인 새우 양식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특히 미국, 일본, 서유럽 등지의 높은 수요에 힘입어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2003년 전 세계 양식 새우 생산량은 160만 톤을 넘어섰고, 그 가치는 약 90억달러에 달했다. 2010년에는 양식 생산량이 390만 톤에 이르러, 같은 해 야생 어획량 310만 톤을 넘어섰다.[59]

전 세계 양식 새우의 약 75%는 아시아에서 생산되며, 특히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이 주요 생산국이다. 나머지 25%는 주로 라틴 아메리카에서 생산되는데, 브라질에콰도르가 주요 생산국이다. 주요 수출국은 인도, 에콰도르, 태국, 인도네시아, 중국 등이며, 주요 수입국은 미국, 유럽 연합, 일본, 한국 등이다.[95][98]

초기 새우 양식에서는 크기가 큰 홍다리얼룩새우(*Penaeus monodon*, 흔히 '블랙타이거'로 불림)가 선호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 질병에 강하고 성장이 빠른 흰다리새우(*Litopenaeus vannamei*)가 주요 양식종으로 자리 잡았다. 2010년 기준 흰다리새우 생산량은 272만 톤으로, 홍다리얼룩새우 생산량(78만 톤)을 크게 앞질렀다.[59] 흰다리새우는 사육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성장 속도가 빨라 양식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97]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새우를 해삼이나 다른 어종과 함께 기르는 복합양식도 이루어진다.

그러나 새우 양식 산업은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 등지에서는 양식장 건설을 위해 생태적으로 중요한 맹그로브 숲이 무분별하게 파괴되는 환경 문제가 심각하다.[101] 또한, 양식장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문제도 지적된다. 2014년과 2015년에는 태국 어선에서 강제 노동과 같은 심각한 인권 침해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이들 어선에서 잡힌 생선이 양식 새우의 사료로 사용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었다.[99][100]

동물 복지 문제도 제기된다. 많은 양식장에서 암컷 새우의 산란을 촉진하기 위해 마취 없이 눈자루(안병)를 절단하는 방식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새우에게 극심한 고통과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유럽 유통업체들은 이러한 관행을 금지하고 있다.[127][131][132][133] 또한 과밀 사육으로 인한 수질 오염, 질병 확산 등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102]

새우 양식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염성 질병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134]

  • 황두병 (Yellowhead disease, YHD): 황두병 바이러스(''Yellowhead virus'')[135] 감염으로 발생하며, 주로 홍다리얼룩새우에 치명적이다. 동남아시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 전염성 피하 조혈기 괴사증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IHHN): 파르보바이러스의 일종인 IHHNV[136] 감염으로 발생하며, 어린 새우의 폐사율이 높다.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다.
  • 타우라 증후군 (Taura syndrome, TS): 타우라 증후군 바이러스(''Taura syndrome virus'', TSV)[137] 감염으로 발생하며, 주로 흰다리새우에 영향을 미친다. 아메리카 대륙과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한다.
  • 바큘로바이러스 감염증 (Baculovirus infections): ''Baculovirus penaei''(BP)[138][139] 또는 ''Penaeus monodon''-type baculovirus (MBV)[140] 감염으로 발생하며, 유생기에 높은 폐사율을 보인다. 각각 아메리카 대륙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주로 발생한다.

4. 새우 관련 문화

새우는 여러 문화권에서 중요한 식재료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속담 등을 통해 문화적으로도 친숙하게 나타난다. 또한 최근에는 새우의 감수성에 대한 과학적, 사회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4. 1. 속담


  •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 강한 자들끼리 싸우는 통에 아무 상관 없는 약한 자가 중간에 끼어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새우로 잉어를 낚는다 (잡는다): 작은 것을 투자하여 큰 이익을 얻었을 경우를 의미한다. 즉, 적은 노력이나 비용으로 기대 이상의 큰 성과나 행운을 얻었을 때 사용된다.
  • 새우 벼락 맞던 이야기를 한다: 이미 지나간 일을 다시 꺼내어 쓸데없이 이러쿵저러쿵 이야기할 때 쓰는 말이다. 과거의 일을 불필요하게 끄집어내어 현재 상황과 관련 없는 이야기를 하는 것을 꼬집는 표현이다.

4. 2. 감수성

2005년, EU의 과학자들은 새우가 고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명확한 과학적 증거가 존재한다고 주장했다.[125] 2022년에는 영국에서 동물복지(감각)법이 제정되어 새우의 감각이 인정되었다.[126] 더욱 인도적인 새우 도살을 위한 노력도 시작되었다.[127]

참조

[1] 웹사이트 Shrimp http://www.britannic[...] 2012-08-20
[2] 서적
[3] 서적
[4] 웹사이트 A bouillabaisse of fascinating facts about fish http://www.nefsc.noa[...] 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2009-10-22
[5] 논문 White shrimp (Penaeus setiferus) recruitment overfishing
[6] 서적
[7] 웹사이트 Shrimp https://web.archive.[...] 2012-08-18
[8] 웹사이트 Prawn https://web.archive.[...] 2012-08-18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is is not a weasel: a close look at nature's most confusing term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2] 서적
[13] 서적 Out of Thin Air: Dinosaurs, Birds, and Earth's Ancient Atmosphere https://books.google[...] National Academies Press
[14] 논문 The composition of the exoskeleton of two crustacea: The American lobster Homarus americanus and the edible crab Cancer pagurus. 2007-10
[15] 웹사이트 Decapod http://www.britannic[...] 2012-08-20
[16] 서적 Global diversity of shrimps (Crustacea: Decapoda: Caridea) in freshwate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8-01
[17] 서적 Intertidal Invertebrates of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8] 논문 The occurrence of the semi-terrestrial shrimps Merguia oligodon (De Man 1888) and M. rhizophorae (Rathbun 1900) (Crustacea Decapoda Hippolytidae) in Africa
[19] 논문 Notes on Merguia oligodon (De Man 1888) the Indo-Pacific semi-terrestrial shrimp (Hippolytidae Natantia)
[20] 서적 Guide to Marine Life: Caribbean, Bahamas, Florida https://books.google[...] Aqua Quest Publications
[21] 논문 Morphological phylogeny of alpheid shrimps: parallel preadaptation and the origin of a key morphological innovation, the snapping claw 2006-12
[22] 뉴스 Shrimp, bubble and pop http://news.bbc.co.u[...] 2000-09-21
[23] 뉴스 Sleuths solve case of bubble mistaken for a snapping shrimp https://www.nytimes.[...] 2000-09-26
[24] 뉴스 Sea creatures trouble sonar operators – new enzyme https://www.nytimes.[...] 1947-02-02
[25] 웹사이트 Indo-Pacific Periclimines Shrimp (An Overview) https://web.archive.[...]
[26] 논문 Molecular evidence for high frequency of multiple paternity in a freshwater shrimp species Caridina ensifera 2010-09-14
[27] 논문 The genetics of inbreeding depression 2009-11
[28] 웹사이트 Decapoda: Reptantia http://palaeos.com/m[...] 2012-09-07
[29] 웹사이트 Decapoda: Caridea http://palaeos.com/m[...] 2012-08-20
[30]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prawn and a shrimp? https://web.archive.[...] 2012-08-24
[31] 서적
[32] 웹사이트 Decapoda http://palaeos.com/m[...] 2012-08-20
[33]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Shrimp http://www.fao.org/f[...] 2012-08-24
[35] 서적 Codex Alimentarius: Code of practice for fish and fishery products ftp://ftp.fao.org/do[...] Joint FAO and WHO Food Standards Programme
[36]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37] 논문 Carideorum Catalogus: the Recent species of the dendrobranchiate, stenopodidean, procarididean and caridean shrimps (Crustacea: Decapoda) http://www.zoologisc[...] 2011
[38] 웹사이트 Crabs, crayfish and other crustaceans – Lobsters, prawns and krill http://www.TeAra.gov[...] 2009-03-02
[39] 웹사이트 The Caridean shrimp: Shrimp Anatomy – Illustrations and Glossary http://chucksaddicti[...] 2008
[40] 논문 Sperm–egg interaction in the palaemonid shrimp Palaemonetes http://fsf.fra.affrc[...] 2001
[41] 서적 Shrimps and prawn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FAO 1980
[42]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Shrimps and Krill http://www.eolss.net[...] UNESCO
[44] 웹사이트 Euphausiidae Dana, 1852 https://www.marinesp[...] 2012-08-16
[45] 서적 Webster's New World College Dictionary http://www.yourdicti[...] Wiley Publishing 2010
[46] 서적 The animal kingdom: arranged after its organization, forming a natural history of animals, and an introduction to comparative anatomy W. S. Orr and co. 1851
[47] 서적 Rotifers and Artemia for Marine Aquaculture: a Training Guide University of Tasmania 1996
[48] 서적 Pennak's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Porifera to Crustacea John Wiley and Sons 2001
[49] 서적 The Light and Smith Manual: Intertidal Invertebrates from Central California to Oreg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50] 서적 The Waterbug Book: A Guide to the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of Temperate Australia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002
[51] 사전 OED
[52] 서적 The Fossil Book: a record of Prehistoric Life https://archive.org/[...] Courier Dover Publications 1996
[53] 서적 The Biology of Mysids and Euphausiids Academic Press 1980
[54] 서적 Seashore Life of Florida and the Caribbean https://archive.org/[...] Courier Dover Publications 2002
[55] 웹사이트 Mysidacea: Families, Subfamilies and Tribes http://crustacea.net[...] Australian Museum 2000-10-02
[56] 웹사이트 Japanese skeleton shrimp – Caprella macho http://www.marlin.ac[...] Marine Life Information Network: Biology and Sensitivity Key Information Sub-programm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2012-02-02
[57] 웹사이트 Caprella mutica Schurin, 1935 – Japanese skeleton shrimp http://www.nobanis.o[...] NOBANIS: European Network on Invasive Alien Species 2012-02-02
[58]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1982
[59] 웹사이트 FishStat database http://faostat.fao.o[...]
[60] 논문 An Ancient Shrimp Fishery in South Coastal Mexico https://books.google[...] 1991
[61] 웹사이트 Reconstructing mobility patterns of late hunter-gatherers in coastal Chiapas, Mexico: The view from the shellmounds http://www.anth.ucsb[...]
[62] 간행물 Aboriginal Subsistence and Settlement Archaeology of Kings Bay Locality http://ufdc.ufl.edu/[...] University of Florida, Department of Anthropology, Gainesville, FL 1985
[63] 간행물 Evidence for Aboriginal Shrimping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of North America http://ufdc.ufl.edu/[...] 1987
[64] 서적 Deipnosophistae http://digicoll.libr[...] 0300
[65] 서적 2009
[66] 서적 The sea fisherie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1883
[67] 서적
[68]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69] 웹사이트 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www.fao.org/f[...] 2012-06
[70] 웹사이트 Litopenaeus vannamei (Boone, 1931) https://www.marinesp[...] 2018-07-25
[71]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72] 웹사이트 Penaeus monodon (Fabricius, 1798) http://www.fao.org/f[...] 2012-06
[73] WoRMS Penaeus monodon (Fabricius, 1798) 2018-07-25
[74] 서적 Western Indian Ocean: Fishing Area 5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75]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76] 웹사이트 Acetes japonicus (Kishinouye, 1905) http://www.fao.org/f[...] 2012-06
[77] WoRMS Acetes japonicus Kishinouye, 1905 2018-07-25
[78] 웹사이트 Trachypenaeus curvirostris (Stimpson, 1860) ftp://ftp.fao.org/d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2-04-28
[79] 서적 Global Study of Shrimp Fisherie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80]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81] 웹사이트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1860) http://www.fao.org/f[...] 2012-06
[82] WoRMS Trachysalambria curvirostris (Stimpson, 1860) 2018-07-25
[83] 웹사이트 Penaeus chinensis (Osbeck, 1765) http://www.fao.org/f[...] 2012-06
[84]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85] WoRMS Fenneropenaeus chinensis (Osbeck, 1765) 2018-07-25
[86] 웹사이트 Penaeus merguiensis (De Man, 1888) http://www.fao.org/f[...] 2012-06
[87]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88] WoRMS Fenneropenaeus merguiensis (De Man, 1888) 2018-07-25
[89] 간행물 FAO species catalogue ftp://ftp.fao.org/do[...] 1980
[90] 웹사이트 Pandalus borealis (Krøyer, 1838) http://www.fao.org/f[...] 2012-06
[91] WoRMS Pandalus borealis (Krøyer, 1838) 2018-07-25
[92] 서적 Discards and bycatch in shrimp trawl fisherie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93] 웹사이트 Final Habitat Plan for the South Atlantic Region http://www.safmc.net[...] South Atlantic Fisheries Management Council 1998
[94] 서적 Shifting Gears. Addressing the Collateral Impacts of Fishing Methods in U.S. Waters http://www.mcbi.org/[...] Island Press
[95] 웹사이트 Global farmed shrimp production in 2016 remains stagnant or lessens http://www.fao.org/i[...] 2017-12-24
[96] 서적 Kaplan
[97] 서적 Aquaculture: Farming Aquatic Animals and Pla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98] 웹사이트 Shrimp http://www.asc-aqua.[...] 2012-09-07
[99] 뉴스 AP Investigation: Is the fish you buy caught by slaves? http://www.bigstory.[...] The Associated Press 2015-03
[100] 뉴스 Revealed: Asian slave labour producing prawns for supermarkets in US, UK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6
[101] 웹사이트 Seafood Red list http://www.greenpeac[...] 2012-08-06
[102] 뉴스 You don't want to know where your shrimp comes from https://www.fastcomp[...] Fast Company 2023-01-12
[103] 저널 Comparative economics of shrimp farming in Asia
[104] 저널 Mercury concentrations and omega-3 fatty acids in fish and shrimp: Preferential consumption for maximum health benefits
[105] 웹사이트 Cholesterol Content in Seafoods http://www.dietaryfi[...] 2007-01-07
[106] 논문 Effects of shrimp consumption on plasma lipoproteins http://www.ajcn.org/[...]
[107] 웹사이트 What is Masago? Ebiko? Tobiko? https://www.koloajod[...] 2016-01-26
[108] 웹사이트 Common Food Allergens http://www.foodaller[...] Food Allergy & Anaphylaxis Network 2007-06-24
[109] 웹사이트 Freshwater Shrimp in the Aquarium http://www.thekrib.c[...] The Krib 2006-07-19
[110] 간행물 Shrimps and prawns ftp://ftp.fao.org/do[...]
[111] 서적 Shrimps and prawns of the world ftp://ftp.fao.org/do[...]
[112] 서적 Jumbo shrimp & other almost perfect oxymorons: contradictory expressions that make absolute sense https://books.google[...] Putnam 1986-11-20
[113]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Shrimp http://www.etymonlin[...]
[114]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12-08-05
[115] 웹사이트 prawn http://www.etymonlin[...] 2012-08-05
[116] 웹사이트 Prawn http://www.merriam-w[...] 2012-08-05
[117] 블로그 After ‘shrimp’ comes ‘prawn’ http://blog.oup.com/[...] Oxford University Press's Blog 2012-05-16
[118] 블로그 A scrumptious shrimp with a riddle http://blog.oup.com/[...] Oxford University Press's Blog 2012-04-18
[119] 논문 A Guide to the Natant Decapod Crustacea (Shrimps and Prawns) of New Zealand http://nzetc.victori[...]
[120] 논문 Two new caridean shrimps, one representing a new family, from marine pools on Ascension Island (Crustacea: Decapoda: Natantia)
[121] 논문 A new subfamilial arrangement for the Dromiidae de Haan, 1833, with diagnoses and descriptions of new genera and specie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http://www.mnhn.fr/p[...]
[122] 서적 あて字のおもしろ雑学 永岡書店 1988
[123] 웹사이트 Lobster definition and meaning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2020-09-08
[124] 논문 食卓で学ぶ甲殻類のからだのつくり : エビ・カニ・シャコ類の教材化に関する研究 広島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科 2022-02-11
[125] 웹사이트 The EFSA Journal (2005) 292, 1-46 - Opinion on the “Aspects of the biology and welfare of animals used for experimental and other scientific purposes” https://efsa.onlinel[...] 2022-12-03
[126] 웹사이트 Animal Welfare (Sentience) Act 2022 Government Bill https://bills.parlia[...] 2022-12-03
[127] 웹사이트 Can providing free electrical stunners move the needle on shrimp welfare practices? https://www.globalse[...] 2024-02-20
[128] 서적 まいにちの中高生のお弁当250 学研プラス 2015-02-00
[129] 웹사이트 食品のアレルギー物質として「えび」「かに」の表示が 義務づけられ、平成 22 年 6 月 4 日から完全施行されます! http://www.caa.go.jp[...] 消費者庁 2019-06-07
[130] 웹사이트 The default trajectory for animal welfare means vastly more suffering https://forum.effect[...] 2024-10-12
[131] 웹사이트 エビの眼柄切除 暫定的指標 2023年3月~4月 https://asc-aqua.org[...] 2024-02-20
[132] 웹사이트 The shocking practice that shows prawn farming is as cruel as factory farming. Have you ever heard of 'eyestalk ablation'? https://animalsaustr[...] 2024-02-20
[133] 웹사이트 5. PREPARATION OF BROODSTOCK FOR SPAWNING https://www.fao.org/[...] 2024-02-20
[134] 웹사이트 1水産防疫疾病(エビ類)について http://www.tomita-ph[...] 富田薬品株式会社 2019-06-07
[135] 웹사이트 イエローヘッド病 Yellowhead Disease http://www.fish-jfrc[...]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019-06-07
[136] 웹사이트 伝染性皮下造血器壊死症 http://www.fish-jfrc[...]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019-06-07
[137] 웹사이트 タウラ症候群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9-06-07
[138] 웹사이트 バキュロウイルス・ペナエイによる感染症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9-06-07
[139] 웹사이트 バキュロウイルス・ペナエイ感染症 http://www.fish-jfrc[...]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019-06-07
[140] 웹사이트 モノドン型バキュロウイルス感染症 http://www.fish-jfrc[...] 日本水産資源保護協会 2019-06-07
[141] 논문 A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genera of decapod crustaceans https://hdl.handle.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