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인두수축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래인두수축근은 인두의 아래쪽 부분을 구성하는 근육으로, 방패연골에서 시작하는 방패인두부분과 반지연골에서 시작하는 반지인두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근육은 음식물을 식도로 보내는 삼킴 작용과 호흡, 말하기에 관여하며, 특히 수면 중 인두를 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아래인두수축근의 기능 이상은 젠커 게실, 삼킴 장애,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 등의 임상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두 (해부학) - 비인두암
비인두암은 에프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으로 발생하는 비인두 상피의 악성 종양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나 진행될수록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세계보건기구는 이를 세 가지 아형으로 분류하고 이비인후과적 검사, 영상 검사,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면역요법 등을 통해 치료하고, 특히 중국 남부 지역에서 발생률이 높습니다. - 인두 (해부학) - 인후염
인후염은 상기도 감염으로 인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급성 및 만성으로 나뉘며 바이러스, 세균, 자극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둔 치료가 이루어진다. - 두경부 근육 - 빗모뿔근
빗모뿔근은 목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후두 내재근으로, 윤상연골에 부착되어 서로 교차하며, 혈액과 신경 공급을 받아 후두 입구를 보호하는 괄약근 역할을 한다. - 두경부 근육 - 얼굴근육
얼굴근육은 표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뇌졸중, 벨 마비 등으로 손상되어 얼굴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아래인두수축근 | |
---|---|
개요 | |
이름 | 아래인두수축근 |
라틴어 이름 | musculus constrictor pharyngis inferior |
![]() | |
![]() | |
이는곳 | 반지연골, 방패연골 |
닿는곳 | 인두솔기 |
신경 분포 | 인두신경얼기, 되돌이후두신경, 위후두신경 |
작용 | 삼키기 |
2. 구조
아래인두수축근은 방패연골(갑상연골)에서 시작하는 방패인두부분(갑상인두부)과 반지연골(윤상연골)에서 시작하는 반지인두부분(윤상인두부)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12] 각 부분의 이는곳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하위 섹션들을 참고할 수 있다.
근섬유는 뒤안쪽으로 뻗어 나가 반대편 아래인두수축근과 함께 섬유로 이루어진 인두솔기에 닿는다. 인두솔기는 인두의 뒤쪽 정중선에 위치한다. 방패인두부분은 제2형 근섬유(해당성, 속근섬유)를, 반지인두부분은 제1형 근섬유(산소 대사, 지근섬유)를 주로 사용한다.[13] 근섬유의 종류는 출생 이후 바뀔 수 있다.[14]
아래쪽 섬유는 수평 방향이며 식도의 돌림섬유로 연속된다. 나머지 섬유는 위로 비스듬하게 올라가 중간인두수축근과 겹친다. 반지인두부분은 위식도조임근(UES)과 같은 근육으로, 식도 입구의 조임근으로 작용한다.[15]
2. 1. 방패인두부분 (갑상인두부)
방패인두부분(갑상인두부)은 방패연골에서 시작되는 아래인두수축근의 윗부분이다.[12]방패인두부분은 방패연골판 측면의 빗선, 빗선 뒤쪽 표면에서 뒤쪽 경계까지, 그리고 방패연골 아래뿔에서 시작된다.[12]
여기서 시작된 근섬유는 뒤안쪽으로 뻗어 나가 반대편 아래인두수축근과 함께 섬유로 이루어진 인두솔기에 닿는다. 인두솔기는 인두의 뒤쪽 정중선에 위치한다.[12]
방패인두부분은 제2형 근섬유(해당성, 속근섬유)를 주로 사용하며,[13] 근섬유의 종류는 출생 이후 바뀔 수 있다.[14] 아래쪽 섬유는 수평 방향이며 식도의 돌림섬유로 연속된다. 나머지 섬유는 위로 비스듬하게 올라가 중간인두수축근과 겹친다.[12]
2. 2. 반지인두부분 (윤상인두부)
반지인두부분은 반지연골에서 시작한다.[12] 앞쪽에서는 양쪽 반지방패근 사이의 공간에서, 뒤쪽에서는 방패연골 아래뿔이 반지연골에 붙는 관절면에서 근육이 시작된다.[12]이곳에서 출발한 근섬유는 뒤안쪽으로 뻗어 나가 반대편 아래인두수축근과 함께 섬유로 이루어진 인두솔기에 닿는다. 인두솔기는 인두의 뒤쪽 정중선에 위치한다. 반지인두부분은 제1형 근섬유(산소 대사, 지근섬유)를 주로 사용한다.[13] 근섬유의 종류는 출생 이후 바뀔 수 있다.[14]
아래쪽 섬유는 수평 방향이며 식도의 돌림섬유로 연속된다. 아래인두수축근의 반지인두부분은 위식도조임근(UES)과 같은 근육으로, 식도 입구의 조임근으로 작용한다.[15]
2. 3. 근섬유의 주행 및 구성
아래인두수축근은 방패연골에서 시작하는 방패인두부분(갑상인두부, thyropharyngeal part)과 반지연골에서 시작하는 반지인두부분(윤상인두부, cricopharyngeal part)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12]- 방패인두부분: 방패연골판 측면의 빗선, 빗선 뒤쪽의 표면에서 뒤쪽 경계까지, 그리고 방패연골 아래뿔에서 근육이 시작된다.
- 반지인두부분: 앞쪽에서는 양쪽 반지방패근 사이의 공간에서, 뒤쪽에서는 방패연골 아래뿔이 반지연골에 붙는 관절면에서 근육이 시작된다.
이러한 이는곳에서 출발한 근섬유는 뒤안쪽으로 뻗어 나가 반대편 아래인두수축근과 함께 섬유로 이루어진 인두솔기(인두의 뒤쪽 정중선)에 닿는다. 방패인두부분은 제2형 근섬유(해당성, 속근섬유)를, 반지인두부분은 제1형 근섬유(산소 대사, 지근섬유)를 주로 사용한다.[13] 근섬유의 종류는 출생 이후 바뀔 수 있다.[14]
아래쪽 섬유는 수평 방향이며 식도의 돌림섬유로 연속된다. 나머지 섬유는 위로 비스듬하게 올라가 중간인두수축근과 겹친다. 아래인두수축근의 반지인두부분은 위식도조임근(UES)과 같은 근육으로, 식도 입구의 조임근으로 작용한다.[15]
2. 4. 신경 분포
아래인두수축근은 인두신경얼기와 되돌이후두신경에서 나온 가지들의 지배를 받는다.[15] 이 신경들은 미주신경에서 나온다.[15] 이러한 신경 분포는 위인두수축근, 중간인두수축근과 비슷하다.인두의 근육들에 분포하는 감각신경은 미주신경, 혀인두신경, 삼차신경의 가지인 위턱신경 등에서 나온다.[16] 아래인두수축근은 인두얼기에서 뻗어나온 가지,[4] 되돌이후두신경, 상후두신경의 바깥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되돌이후두신경이 윤상인두 부분의 가장 흔한 지배 신경임)의 지배를 받는다.[5] 이 모든 가지와 신경은 미주신경(CN X)에서 나온다.[4]
2. 5. 변이
아래인두수축근은 인두결절근막의 뒷부분이나 위인두수축근, 인두바닥근막의 후방 부분과 합쳐지는 해부학적 변이가 있을 수 있다.[16][6]3. 기능
아래인두수축근은 인두의 아래쪽 부분을 움직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17][7]
3. 1. 삼킴 (연하 작용)
음식물 덩어리가 인두로 넘어오면 올림근들이 이완하면서 인두가 내려간다. 아래인두수축근은 다른 인두의 수축근들과 함께 수축하여 음식물 덩어리를 아래쪽의 식도로 보낸다.[15][17] 음식을 삼키는 동안 인두수축근들이 수축하여 인두의 꿈틀운동을 일으킨다.[15]3. 2. 호흡
숨을 쉬거나 말하는 동안 부분적으로 사용되며,[15][4] 특히 수면 중 인두가 열린 채로 있을 수 있게 한다.[18][8]4. 임상적 중요성
아래인두수축근은 젠커게실, 삼킴장애(연하곤란),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R-CPD), 방사선 손상 등 여러 임상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 부조화된 근육 수축이나 이완 장애는 젠커게실 발생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젠커게실은 아래인두수축근의 두 부분 사이의 틈새인 킬리안삼각에서 발생하며, 음식물 등이 게실에 들어가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지인두부분의 운동 조절 부전은 삼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19][20]
심한 경우, 젠커게실은 트림을 할 수 없는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R-CPD)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이는 근육 이완 불능이 부분적인 원인이다. 보톡스나 반지인두부분 절개가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또한, 아래인두수축근은 화학 요법-강도 조절 방사선 요법으로 손상될 수 있으며, 이는 삼킴장애를 일으켜 경관영양을 필요로 할 수 있다.[21]
4. 1. 젠커 게실 (Zenker's Diverticulum)
근수축이 제대로 협동되지 않는 반지인두연축이나 아래인두수축근의 이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 젠커게실 발생의 주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젠커게실은 아래인두수축근의 두 힘살(방패인두부분과 반지인두부분) 사이의 작은 공간인 킬리안삼각에서 발생한다. 게실은 점막 일부가 인두의 경계 바깥쪽에 포착되면서 발생한다. 음식이나 다른 물질이 게실에 들어가게 되면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지인두부분의 운동이 제대로 협동되지 않으면 삼킴장애가 생길 수 있다.심각한 경우 젠커게실은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Retrograde Cricopharyngeus Dysfunction, R-CPD)와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R-CPD는 트림을 할 수 없게 되는 질환이다. 이는 근육이 이완될 수 없게 되는 데에 부분적으로 원인이 있다. 보톡스나 반지인두부분의 절개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19][20]
4. 2. 삼킴 장애 (연하곤란)
근수축이 제대로 조화롭게 일어나지 않는 반지인두연축이나 아래인두수축의 이완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 젠커게실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젠커게실은 아래인두수축근의 두 힘살(방패인두부분과 반지인두부분) 사이의 작은 공간인 킬리안삼각에서 발생한다. 게실은 점막 일부가 인두의 경계 바깥쪽에 포착되면서 발생한다. 음식이나 다른 물질이 게실에 들어가게 되면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반지인두부분의 운동이 제대로 조화롭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삼킴장애(연하곤란)가 생길 수 있다.[19][20]심각한 경우 젠커게실이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Retrograde Cricopharyngeus Dysfunction, R-CPD)와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R-CDP는 트림을 할 수 없게 되는 질환이다. 이는 근육이 이완할 수 없게 되는 데에 부분적으로 원인이 있다. 보톡스나 반지인두부분의 절개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아래인두수축근은 화학 요법-강도 조절 방사선 요법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21] 이로 인해 삼킴장애(연하곤란)가 생겨 환자가 무언가를 혼자 삼키지 못하고 경관영양을 계속 이용해야 할 수 있다.[21]
4. 3.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 (R-CPD)
심각한 경우 젠커 게실은 역행성 반지인두 기능장애(R-CPD)와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R-CPD는 트림을 할 수 없게 되는 질환이다.[19][20] 이는 근육이 이완될 수 없게 되는 데에 부분적으로 원인이 있다. 보톡스나 반지인두부분의 절개가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9][10]4. 4. 방사선 손상
아래인두수축근이 화학 요법-강도 조절 방사선 요법(chemotherapy-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21][11] 이로 인해 삼킴장애(연하 곤란)가 생겨 환자가 스스로 음식을 삼키지 못하고 경관영양(영양 튜브)을 계속 이용해야 할 수 있다.[21][11]참조
[1]
웹사이트
Origin, insertion and nerve supply of the muscle
http://www.meddean.l[...]
[2]
논문
Histochemical Study of the Canin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Implications for its Function
https://doi.org/10.1[...]
1998-01-01
[3]
논문
Postnatal Changes in the Types of Muscle Fibre in the Canin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https://doi.org/10.1[...]
1999-01-01
[4]
논문
Neuromuscular compartments and fiber-type regionalization in the human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https://onlinelibrar[...]
2001
[5]
논문
Innervation of the human cricopharyngeal muscle by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and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https://link.springe[...]
2016
[6]
간행물
Anatomy, Head and Neck, Pharyngeal Muscl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7]
논문
Function of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http://link.springer[...]
1997-05
[8]
논문
Respiratory functions of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and sternohyoid muscles during sleep
https://dx.doi.org/1[...]
1986-04-01
[9]
논문
Partial Cricopharyngeal Myotomy for Treatment of Retrograde Cricopharyngeal Dysfunction
2020
[10]
논문
Inability to Belch and Associated Symptoms Due to Retrograde Cricopharyngeus Dysfun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2019
[11]
논문
Dose to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predicts prolonged gastrostomy tube dependence with concurrent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for locally-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https://www.scienced[...]
2014-03-01
[12]
웹사이트
Origin, insertion and nerve supply of the muscle
http://www.meddean.l[...]
[13]
논문
Histochemical Study of the Canin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Implications for its Function
https://doi.org/10.1[...]
1998-01-01
[14]
논문
Postnatal Changes in the Types of Muscle Fibre in the Canin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https://doi.org/10.1[...]
1999-01-01
[15]
논문
Neuromuscular compartments and fiber-type regionalization in the human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https://onlinelibrar[...]
2001
[16]
서적
Anatomy, Head and Neck, Pharyngeal Muscl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17]
논문
Function of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Muscle
http://link.springer[...]
1997-05
[18]
논문
Respiratory functions of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and sternohyoid muscles during sleep
https://dx.doi.org/1[...]
1986-04-01
[19]
논문
Partial Cricopharyngeal Myotomy for Treatment of Retrograde Cricopharyngeal Dysfunction
2020
[20]
논문
Inability to Belch and Associated Symptoms Due to Retrograde Cricopharyngeus Dysfun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2019
[21]
논문
Dose to the inferior pharyngeal constrictor predicts prolonged gastrostomy tube dependence with concurrent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for locally-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https://www.scienced[...]
201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