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총 36라운드를 진행하는 아르메니아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다. 시즌 종료 후 최하위 팀은 1부 리그로 강등되고, 1부 리그 우승팀은 프리미어리그로 승격된다. 2024-25 시즌에는 알라슈케르트, 아라라트 예레반, 아라라트-아르메니아, 퓨니크, 우라르투, 웨스트 아르메니아, 노아, 시라크, 반, 간자사르 등 10개 팀이 참가한다. 1992년 이후 퓨니크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으며, 현재 IDBank가 리그의 메인 스폰서이다. 아르메니아 공영 텔레비전과 Vivaro Sport에서 중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퓨니크
FC 퓨니크는 1992년 호메네트멘 예레반으로 창단되어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서 16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진출 등의 성적을 거둔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이다. - 아르메니아 축구에 관한 - FC 아라라트 예레반
FC 아라라트 예레반은 1935년 창단된 아르메니아의 축구 클럽으로, 소련 시절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차지하며 전성기를 누렸고, 아르메니아 독립 후에도 리그 우승과 컵 우승을 기록하며 현재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하고 흐라즈단 스타디움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1992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 |
|---|---|
| 기본 정보 | |
![]() | |
| 국가 | 아르메니아 |
| 대륙 | UEFA |
| 창립 연도 | 1992년 |
| 참가 팀 수 | 11 |
| 강등 | 아르메니아 1부 리그 |
| 리그 단계 | 1 |
| 국내 컵 대회 | 아르메니아 컵 아르메니아 슈퍼컵 |
| 대륙 컵 대회 | 챔피언스리그 유로파컨퍼런스리그 |
| 현재 시즌 | 2024–25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
| 웹사이트 | premierleague.ffa.am |
| 최근 우승 | |
| 우승 팀 | 퓨니크 (16회 우승) |
| 최다 우승 팀 | 퓨니크 (16회 우승) |
| 방송 | |
| 방송사 | 아르메니아 TV YouTube |
| 기타 정보 | |
| 언어 | (아르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영어) |
2. 진행 방식
리그는 여덟 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당 네 번씩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총 28라운드의 경기를 진행한다. 시즌이 종료되면 최하위 팀은 1부 리그로 강등되고, 1부 리그 우승팀은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하는 승강제를 운영한다.
2024-25 시즌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참가팀들은 수도 예레반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예레반에는 알라슈케르트, 아라라트 예레반, 아라라트-아르메니아, 퓨니크, 우라르투, 웨스트 아르메니아 등 다수의 팀이 연고를 두고 있다. 이 외에도 아르마비르, 귬리, 차렌차반, 카판 등 다른 주요 도시들에도 참가팀이 위치해 있다.
2008시즌에는 원래 프리미어리그에 참가할 예정이었던 레르네인 아트사크가 참가를 포기하였고, 1부 리그 팀 가운데 유일하게 승격 자격이 있었던 FC 디나모 예레반마저 해체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2008시즌은 2007시즌과 동일한 팀 구성으로 리그가 진행되었다.
현재 아르메니아 리그는 프리미어리그와 1부 리그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 리그는 주로 프리미어리그 팀들의 2군 팀으로 이루어져 있다.
3. 참가 팀 (2024-25 시즌)
3. 1. 참가팀 목록
wikitext
| 클럽 | 소재지 | 경기장 | 수용 인원 |
|---|---|---|---|
| 알라슈케르트 | 예레반 (셴가비트) | 알라슈케르트 스타디움 | 6,850 |
| 아라라트 예레반 | 예레반 (켄트론)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 14,403 |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예레반 (아반) |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스타디움 | 1,428 |
| 간자사르 | 카판 | 간자사르 스타디움 | 3,500 |
| 노아 | 아르마비르 | 아르마비르 시립 경기장 | 3,100 |
| 퓨니크 | 예레반 (켄트론) | 바즈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 | 14,403 |
| 시라크 | 귬리 | 귬리 시립 경기장 | 4,000 |
| 우라르투 | 예레반 (말라티아-세바스티아) | 우라르투 스타디움 | 4,860 |
| 반 | 차렌차반 | 차렌차반 시립 경기장 | 5,000 |
| 웨스트 아르메니아 | 예레반 | 주니어 스포츠 스타디움 | 1,200 |
4. 역사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는 스폰서십 계약에 따라 리그 명칭이 변경되어 왔다.
- VBET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2020–2022)
- Fastex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2022-2023)
- IDBank 아르메니아 프리미어리그 (2023-현재)
4. 1. 소련 시대 챔피언
- 1936 디나모 예레반
- 1937 디나모 예레반
- 1938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39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40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41–44 ''개최 안됨''
- 1945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46 디나모 예레반
- 1947 디나모 예레반
- 1948 디나모 예레반
- 1949 디나모 예레반
- 1950 우로자이 예레반
- 1951 시나라르 예레반
- 1952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53 카르미르 드로시 레니나칸 (크라스노예 즈나먀)
- 1954 스파르타크 예레반
- 1955 히미크 키로바칸
- 1956 FIMA 예레반
- 1957 카르미르 드로시 레니나칸 (크라스노예 즈나먀)
- 1958 FIMA 예레반
- 1959 FIMA 예레반
- 1960 텍스틸시치크 레니나칸
- 1961 텍스틸시치크 레니나칸
- 1962 텍스틸시치크 레니나칸
- 1963 로코모티프 예레반
- 1964 히미크 키로바칸
- 1965 아락스 예레반
- 1966 엘렉트로테흐니크 예레반
- 1967 코타이크
- 1968 아락스 예레반
- 1969 아락스 예레반
- 1970 모토르 예레반
- 1971 FIMA 예레반
- 1972 즈베즈다 예레반
- 1973 코타이크
- 1974 FIMA 예레반
- 1975 코타이크
- 1976 코타이크
- 1977 아락스 예레반
- 1978 카나즈 예레반
- 1979 아라가츠 레니나칸
- 1980 아라가츠 레니나칸
- 1981–86 ''개최 안됨''
- 1987 아라가츠 레니나칸
- 1988 엘렉트로테흐니크 예레반
- 1989 FC 카판
- 1990 아라라트-2 예레반
- 1991 시유니크 카판
4. 2. 역대 우승 팀 (1992년 이후)
| 시즌 | 우승 | 준우승 | 3위 |
|---|---|---|---|
| 1992 | 시라크, 호메네트멘 (공동 우승) | — | 바난츠 |
| 1993 | 아라라트 예레반 | 시라크 | 바난츠 |
| 1994 | 시라크 (2) | 호메네트멘 | 아라라트 예레반 |
| 1995 | 과도기 시즌 (우승팀 없음) | ||
| 1995–96 | 퓨닉 (2) | 시라크 | 예레반 |
| 1996–97 | 퓨닉 (3) | 아라라트 예레반 | 예레반 |
| 1997 | 예레반 | 시라크 | 에레부니-호메넨 |
| 1998 | 체멘트 아라라트 | 시라크 | 예레반 |
| 1999 | 시라크 (3) | 아라라트 예레반 | 체멘트 아라라트 |
| 2000 | 아락스 아라라트 (2) | 아라라트 예레반 | 시라크 |
| 2001 | 퓨닉 (4) | 즈바르트노츠 AAL | 스파르타크 예레반 |
| 2002 | 퓨닉 (5) | 시라크 | 바난츠 |
| 2003 | 퓨닉 (6) | 바난츠 | 시라크 |
| 2004 | 퓨닉 (7) | 미카 | 바난츠 |
| 2005 | 퓨닉 (8) | 미카 | 바난츠 |
| 2006 | 퓨닉 (9) | 바난츠 | 미카 |
| 2007 | 퓨닉 (10) | 바난츠 | 미카 |
| 2008 | 퓨닉 (11) | 아라라트 예레반 | 간자사르 |
| 2009 | 퓨닉 (12) | 미카 | 울리세스 |
| 2010 | 퓨닉 (13) | 바난츠 | 울리세스 |
| 2011 | 울리세스 | 간자사르 | 퓨닉 |
| 2012–13 | 시라크 (4) | 미카 | 간자사르 |
| 2013–14 | 바난츠 | 시라크 | 미카 |
| 2014–15 | 퓨닉 (14) | 울리세스 | 시라크 |
| 2015–16 | 알라슈케르트 | 시라크 | 퓨닉 |
| 2016–17 | 알라슈케르트 (2) | 간자사르 | 시라크 |
| 2017–18 | 알라슈케르트 (3) | 바난츠 | 간자사르 |
| 2018–19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퓨닉 | 바난츠 |
| 2019–20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2) | 노아 | 알라슈케르트 |
| 2020–21 | 알라슈케르트 (4) | 노아 | 우라르투 |
| 2021–22 | 퓨닉 (15)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알라슈케르트 |
| 2022–23 | 우라르투 (2) | 퓨닉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 2023–24 | 퓨닉 (16) | 노아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4. 3. 클럽별 우승 횟수
wikitext| 클럽 | 우승 | 준우승 | 우승 시즌 |
|---|---|---|---|
| 퓨니크 | 16 | 3 | 1992 (공동), 1995-96, 1996-97,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4-15, 2021-22, 2023-24 |
| 시라크 | 4 | 7 | 1992 (공동), 1994, 1999, 2012-13 |
| 알라슈케르트 | 4 | 0 | 2015-16, 2016-17, 2017-18, 2020-21 |
| 우라르투 (구 FC 바난츠) | 2 | 5 | 2013-14, 2022-23 |
| 아라라트-아르메니아 | 2 | 2 | 2018-19, 2019-20 |
| 아락스 아라라트 (구 FC 체멘트) | 2 | 0 | 1998, 2000 |
| 아라라트 예레반 | 1 | 4 | 1993 |
| 울리세스 | 1 | 1 | 2011 |
| 예레반 | 1 | 0 | 1997 |
| 미카 (구 미카 아슈타라크) | 0 | 4 | |
| 간자사르 카판 | 0 | 2 | |
| 노아 | 0 | 3 | |
| 즈바르트노츠-AAL | 0 | 1 |
4. 4. 역대 최다 득점자
게감 호브하니스랸호메네트멘
갈루스트 페트로랸
게보르그 가자랸
장-자크 부구이
쉬라크
미란 마나시얀
미란 마나시얀
아르타크 예디가랸
알라슈케르트
유수프 오투반조
